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93324204
· 쪽수 : 174쪽
· 출판일 : 2011-02-28
책 소개
목차
제1장 북한에 부는 한류(韓流)
1. 무엇에 대한 연구인가? _ 15
2.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심층면접 _ 18
3. 심층면접 참여자의 배경과 질문 내용 _ 25
제2장 남한 영상매체의 북한 유통 구조
남한 영상매체는 북한에서 어떻게 확산되고 있을까
1. 지역간 유통 구조: 북?중 국경 지역부터 북한 내륙 전역까지 _ 37
2. 대인간 유통 구조: 시장을 통한 거래와 돌려 보기 _ 44
3. 남한 영상매체의 확산 및 유통 구조의 특징 _ 74
제3장 남한 영상매체 시청과 북한주민 의식 변화
남한 영상매체는 북한주민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1. 정치·경제 분야 의식 변화: 사상의 이완 _ 83
2. 사회·문화 분야 의식 변화: 남한 따라하기 _ 96
제4장 남한 영상매체의 확산과 북한 당국의 대응
남한 영상매체를 시청하다 적발되면 어떻게 될까
1. 기술적 통제: 땜질로 채널 고정하기 _ 109
2. ‘엄중한 처벌’과 ‘뇌물을 통한 뒷거래’ 사이에서 _ 111
제5장 남한 영상매체 시청과 탈북, 그리고 남한 생활
북한에서 본 남한에 대한 환상, 남한에서의 현실은
1. 남한 영상매체 시청이 탈북에 미친 영향 _ 127
2. 북한에서 본 남한 영상매체 내용과 한국 입국 이후 현실 _ 137
제6장 남한 영상매체 확산과 북한 체제 변화
북한, 아래로부터의 변화 가능성은 있을까
1. 남한 영상매체 확산과 문화적 접변 _ 147
2. 북한주민들의 불만은 왜 행동으로 결집되지 않을까? _ 150
3. 남한 영상매체는 북한 체제 변화의 촉매제가 될 수 있을까? _ 154
제7장 글을 맺으며 _ 159
주석 _ 169
참고문헌 _ 173
리뷰
책속에서
남한 영상매체의 유통과 확산 경로를 입체적으로 추적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고자 노력했다. 심층면접 참여자는 33명이지만 섭외를 위해 실제로 접촉한 인원은 100여 명에 이른다. 이는 심층면접 참여자의 출신 지역에 대한 안배 때문이었다.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둔 논의 중 하나는 남한 영상매체가 북한의 어느 지역까지 확산됐는가에 관한 문제였다. 우리는 심층면접 참여자 섭외 과정에서 북한의 행정구역이 표시된 지도를 펼쳐 놓고, “북한에 있을 때 남한 영상매체를 시청한 지역과 장소는 어디입니까”라는 질문을 했다(26쪽).
우리는 면접참여자들에게 북한에서 시청한 남한 영상매체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영화와 드라마 제목이 무엇인지 질문했다. 한 번이라도 본 적이 있거나 기억에 남는 제목들은 모두 나열하도록 했다. 면접참여자들은 드라마와 영화 제목을 또렷이 기억하고 있었고, 줄거리는 물론 자신들이 좋아하는 배우들의 이름을 기억하기도 했다. 면접참여자들의 경우 영화는 <장군의 아들>과 <올가미>, 드라마는 <가을동화>, <천국의 계단> 등을 가장 많이 본 것으로 조사됐다(31쪽).
그동안 북·중 접경지역, 특히 함경북도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중국으로 왕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남한 영상매체의 유통과 시청이 많이 이뤄졌다. 이 지역의 경우 일반 텔레비전을 통해서도 남한 방송이 수신된다는 점은 기존 연구나 탈북자 증언을 통해서 밝혀진 사실이다. 2000년 이후 국경 지역 주민 다수가 남한 방송을 시청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1990년대 고난의 행군기에 당국의 통제 이완과 사회적 일탈의 증가로 인해 중국으로 오가는 것이 수월해지면서 남한 영상매체가 대량으로 유입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 연구 결과 남한 영상매체 전파가 확산되면서 북·중 국경 지역은 물론 북한 내륙 전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유통되는 것으로 확인됐다(37-3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