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을 읽는 10가지 키워드

디지털을 읽는 10가지 키워드

글렌 크리버, 로이스톤 마틴, 숀 큐빗, 데이비드 벨, 데이비드 건틀릿, 미셸 힐메스, 데미언 스튜어드, 마이클 알렌, 제러드 크라우스, 제이미 섹스턴, 맷 힐스, 라스트 모요, 세바스찬 캠프, 팀 퍼싱, 알렉산더 클라크 (지은이), 나보라 (옮긴이)
이음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을 읽는 10가지 키워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을 읽는 10가지 키워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88993166323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1-08-16

책 소개

넘쳐나는 기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무분별한 수용, 일방적인 신뢰. 우리는 혹시 기술의 함정에 빠져 있지는 않은가? 이 책은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그에 비해 뒤떨어진 이해의 간극을 넘어서는 데 길잡이가 되어줄 디지털 문화 입문서다.

목차

머리말

1 디지털 이론: 뉴미디어 연구를 위하여
[사례연구] 디지털 미학

2 넷 상에서 월드와이드웹 항해하기
[사례연구] 위키피디아

3 디지털 텔레비전: HDTV
[사례연구] 디지털 시대의 텔레비전 뉴스 제작기

4 디지털 영화: 가상 스크린
[사례연구] 스타워즈 에피소드 II: 클론의 습격

5 비디오게임: 플랫폼, 프로그램 그리고 플레이어
[사례연구] 바이오쇼크

6 디지털 음악: 생산, 유통 그리고 소비
[사례연구] 아이팟

7 참여문화: 이동성, 상호작용성 그리고 정체성
[사례연구] 소셜 네트워크와 자아정체성

8 디지털 디바이드: 결핍, 불평등 그리고 갈등
[사례연구] 가상 전쟁

9 디지털 민주주의: 개선된 공론장
[사례연구] 아이티의 전자 투표

10 뉴미디어 이후: 언제 어디서나 항상 접속 중
[사례연구] 자연어 처리(NLP)

옮긴이 후기

부록: 뉴미디어 연대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소개

글렌 크리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에버리스트위스대학교의 영화와 텔레비전 연구 학과의 교수로서, 쓴 책으로 『데니스 포터: 두 세계 사이에서(Dennis Potter: Between Two Worlds, 1998)』, 『텔레비전 연속극: 작은 스크린 위의 거대한 드라마(Serial Television: Big Drama on the Small Screen, 2004)』, 『노래하는 탐정(The Singing Detective: BFI Television Classics, 2007)』 등이 있다. 또한 같이 쓴 책으로 『텔레비전 장르의 이해(The Television Genre Book, 2001, 2판 2008)』, 『주요 텔레비전 프로그램 50(50 key Television Programmes, 2004)』, 『텔레-비전스: 텔레비전 연구 입문(Tele- Visions: An Introduction to Studying Television, 2006)』 등이 있다.
펼치기
로이스톤 마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널리스트이자 다큐멘터리 감독이며, 디지털 미디어, 민주주의와 실험적 기록영화를 매개하는 데 있어 저널리즘의 역할 등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자이기도 하다. BBC, NBC, CNN 등 유수의 방송사에서 작품이 방영된 바 있으며, 최근에는 『우리의 미디어 만들기(Making Our Media, 2008)』에 독립미디어에 관한 논문을 실었다.
펼치기
숀 큐빗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멜버른대학교의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학과장이며, 미디어 세계화, 미디어아트, 미디어 역사에 관한 방대한 책들을 썼다. 쓴 책으로 『시네마 효과(The Cinema Effect, 2005)』, 『에코미디어(EcoMedia, 2005)』, 『디지털 미학(Digital Aesthetics, 1998)』 등이 있다.
펼치기
데이비드 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리즈대학교의 지리학과에서 비판적 인문지리학을 강의하는 교수이며, 도시문화와 소비 연구센터의 장을 맡고 있다. 가장 최근에 출간한 책으로는 바버라 케네디와 공동 편집한 『사이버컬처 읽기(The Cybercultures Reader, 2판, 2008)』가 있다.
펼치기
데이비드 건틀릿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웨스트민스터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CAMRI) 공동대표. 뛰어난 연구 업적으로 예술인문연구평의회(AHRC)와 공학과학연구평의회(EPSRC)에서 여러 차례 연구 지원을 받았고, BBC, 레고, 테이트미술관을 비롯한 여러 창조적인 기관과 공동으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미디어와 정체성을 다루는 웹사이트 Theory.org.uk와, 창조성과 시각 미디어를 연구하는 웹사이트 ArtLab.org.uk를 운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움직임의 경험》(Moving Experiences, 1995), 《미디어, 젠더 그리고 아이덴티티》(Media, Gender and Identity, 2002), 《창조적 탐험》(Creative Explorations,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데이비드 건틀릿의 다른 책 >
미셸 힐메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위스콘신대학교 메디슨 캠퍼스의 미디어와 문화 연구 학과의 교수이자, 위스콘신 영화와 극장 연구센터의 책임자이다. 미디어 역사에 관한 여러 책에 저자로서 또한 편집자로서 참여하였는데, 『할리우드와 방송: 라디오에서 케이블까지(Hollywood and Broadcasting: From Radio to Cable, 1990)』, 『라디오 보이스: 미국의 방송 1922~1952(Radio Voices: American Broadcasting 1922~1952, 1997)』, 『오로지 접속뿐: 미국 방송의 문화사(Only Connect: A Cultural History of Broadcasting in the United States, 2판 2006)』, 『라디오 읽기: 라디오 문화사 에세이(The Radio Reader: Essays in the Cultural History of Radio, 2001)』, 『텔레비전의 역사(The Television History Book, 2003)』, 『NBC: 미국의 네트워크(NBC: America's Network, 2007)』 등이 그에 해당한다. 현재 라디오와 텔레비전의 형성기 동안 미국과 영국의 방송사가 서로 주고 받았던 영향의 흐름을 역사적으로 추적하는 연구와 두 국가가 전 지구적 문화가 형성되는 데 끼친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데미언 스튜어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근 25년을 국제적인 텔레비전 저널리스트로서 일해왔다. 로이터에서의 오랜 경력을 뒤로 하고, 1997년부터는 영국에서 ITN, 채널5 뉴스, 채널4 뉴스의 프로그램 에디터이자 기자 그리고 책임자로서 일하고 있다. 현재 ITV 런던의 뉴스 책임자이고, 여러 ITN 프로그램에 기자로서 뉴스를 보도하고 있다.
펼치기
마이클 알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런던대학교의 버크벡칼리지에서 영화와 전자미디어 전공을 가르치고 있다. 쓴 책으로 『가족의 비밀: D. W. 그리피스 영화의 특징(Family Secrets: The Feature Films of D.W. Griffith, 1999)』, 『미국 현대영화(Contemporary US Cinema, 2003)』 등이 있으며, 같이 쓴 책로 『CSI 읽기: 텔레비전 쇼의 범죄에 대한 정밀 분석(Reading CSI: Crime Television Under the Microscope, 2007)』이 있다. 또한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역사에 관한 다양한 논문을 발표했으며 현재 미국과 소비에트연방의 우주 경쟁을 다룬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한 책을 준비하고 있다.
펼치기
제러드 크라우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웨일즈의 에버리스트위스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리버풀대학교에서 과학소설 연구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주된 관심사는 일본의 시각문화, 시청각 미디어와 게임에서 나타나는 공상과학과 판타지이다. 최근에 룩셈부르크의 영화와 국가 정체성을 다룬 책과 과학영화의 역사에 관한 연구를 출간했다.
펼치기
제이미 섹스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에버리스트위스대학교의 영화와 텔레비전 연구 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편집하고 함께 쓴 책으로 『음악, 소리 그리고 멀티미디어: 삶에서 가상으로(Music, Sound and Multimedia: From the Live to the Virtual, 2007)』, 『양차대전 사이 영국의 대안영화 문화(Alternative Film Culture in Inter-War Britain, 2008)』 등이 있으며, 어니스트 마티스와 함께 쓴 『컬트 영화: 입문(Cult Cinema: an Introduction)』을 곧 출간할 예정이다.
펼치기
맷 힐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카디프대학교의 저널리즘 학교에서 미디어와 문화 연구를 강의하고 있으며, 쓴 책으로 『팬 문화(Fan Cultures, 2002)』, 『문화이론을 사용하는 법(How to Do Things with Cultural Theory, 2005)』이 있다. 현재 BBC 방송의 「닥터 후」에 관한 책을 쓰고 있으며 월플라워 출판사의 '컬토그라피' 시리즈 중 하나로 영화 「블레이드 러너」에 관한 책 역시 작업 중이다. 컬트 영화와 컬트 텔레비전 프로그램, 그리고 미디어 팬덤에 관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펼치기
라스트 모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의 미디어와 평화 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웨일즈의 에버리스트위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조교로서 재직한 바 있으며, 동대학에서 코스타리카에 위치한 유엔평화대학과의 이중 석사 학위 프로그램에서 강의했다. 국립과학기술대학의 저널리즘과 미디어 연구 학과에서도 미디어 이론과 인쇄 저널리즘에 관련해서 3년간 강의했다.
펼치기
세바스찬 캠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주 퀸즐랜드대학교의 정치학과 국제 연구 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자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윤리학과 전쟁의 법칙 간의 관계, 비판적 안보 연구, 미국의 전쟁, 평화 유지, 그리고 현시대 안보에 뉴미디어가 끼치는 영향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펼치기
팀 퍼싱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5~2006년 사이에 치러진 아이티의 대선과 의회 선거를 관찰하고자 7개 국가가 모인 단체인 '아이티 선거 모니터를 위한 국제 활동'에서 선거 분석관으로 일했으며, 또한 아이티에 위치한 '국제 위기 그룹'에서도 일했다. 1990년 이래 보스니아, 아이티, 미국 등지에서 포토저널리스트이자 분석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브랜다이스대학교에서 박사학위 논문 「민주주의 발전의 초국가적 역학」의 막바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알렉산더 클라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런던에 위치한 로열할러웨이대학교의 컴퓨터과학 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별도의 지도 없이 자연언어를 배우는 과정 및 그것과 모국어 학습 간의 관련성을 다룬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또한 문맥 자유 문법과 문형 변화 학습을 겨루는 대회인 옴팔로스 대회와 텐진노 대회에서 우승한 바 있다. 현재 '파스칼 네트워크 오브 엑설런스'의 일원이다.
펼치기
나보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에서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면서 게임학(Game Studies)를 접했다. 2006년에 <게임플레이 경험에 대한 연구: 디지털 게임 장르를 중심으로>로 석사학위를, 2016년에는 <‘게임성’의 통사적 연구: 한국 전자오락사의 이론적 고찰>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게임의 이론》(2019), 《81년생 마리오》(2017),《뉴미디어포비아》(2013),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2011) 등을 통해 게임 관련 연구를 발표했고, 역서로는 《한류: 역사, 이론, 사례》(2019), 《신한류: 소셜미디어 시대의 초국가적 문화권력》(2017), 《디지털을 읽는 10가지 키워드》(2011), 《비디오게임》(공역,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지금 백 년 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세계를 표현하고, 조작하고, 그 안에서 소통하고 있으며, 우리의 삶과 문화도 이 과정에 따라 필연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일찍이 인쇄술이나 전력의 발달이 그랬던 것처럼, 뉴미디어와 디지털 혁명은 이 세계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는 전 지구적인 문화적 변동의 일부다.


1990년대에 들어 인터넷이 놀랍도록 대중화되면서 하버마스의 이상은 다시 한 번 살아나기 시작했다. 이제 개방적이면서 합리적인 토론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고 […] 동등하게 아이디어들을 논의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긴 것이다. […] 인터넷은 그것이 없었더라면 불참했을 사람들을 토론에 참여시킬 수는 있었지만, (놀랍지 않게도) 그 토론을 통해 어떠한 합의에 이르게는 할 수 없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위키피디아가 이에 대한 하나의 해법을 가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협업적으로 한 주제에 관한 아티클을 '중립적인 관점'에서 만드는 과정 그 자체가 다른 관점을 지닌 사람들로 하여금 보다 성숙한 자세로 자신의 논지를 주장하고 논의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애플 홍보부는 2003년 말까지 아이팟과 아이튠즈에 관련된 6천여 개의 이야기를 전 세계 메이저 간행물에 실었으며, 폭스바겐과 펩시 같은 회사들과도 성공적인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애플은 아이팟을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 전반과 일치시키는 데 성공했는데, 다시 말해 애플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최신 감각'에 부합하면서 여유롭고 우아한 라이프 스타일인 것처럼 만드는 데 성공한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