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88993166323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1-08-1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디지털 이론: 뉴미디어 연구를 위하여
[사례연구] 디지털 미학
2 넷 상에서 월드와이드웹 항해하기
[사례연구] 위키피디아
3 디지털 텔레비전: HDTV
[사례연구] 디지털 시대의 텔레비전 뉴스 제작기
4 디지털 영화: 가상 스크린
[사례연구] 스타워즈 에피소드 II: 클론의 습격
5 비디오게임: 플랫폼, 프로그램 그리고 플레이어
[사례연구] 바이오쇼크
6 디지털 음악: 생산, 유통 그리고 소비
[사례연구] 아이팟
7 참여문화: 이동성, 상호작용성 그리고 정체성
[사례연구] 소셜 네트워크와 자아정체성
8 디지털 디바이드: 결핍, 불평등 그리고 갈등
[사례연구] 가상 전쟁
9 디지털 민주주의: 개선된 공론장
[사례연구] 아이티의 전자 투표
10 뉴미디어 이후: 언제 어디서나 항상 접속 중
[사례연구] 자연어 처리(NLP)
옮긴이 후기
부록: 뉴미디어 연대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지금 백 년 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세계를 표현하고, 조작하고, 그 안에서 소통하고 있으며, 우리의 삶과 문화도 이 과정에 따라 필연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일찍이 인쇄술이나 전력의 발달이 그랬던 것처럼, 뉴미디어와 디지털 혁명은 이 세계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는 전 지구적인 문화적 변동의 일부다.
1990년대에 들어 인터넷이 놀랍도록 대중화되면서 하버마스의 이상은 다시 한 번 살아나기 시작했다. 이제 개방적이면서 합리적인 토론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고 […] 동등하게 아이디어들을 논의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긴 것이다. […] 인터넷은 그것이 없었더라면 불참했을 사람들을 토론에 참여시킬 수는 있었지만, (놀랍지 않게도) 그 토론을 통해 어떠한 합의에 이르게는 할 수 없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위키피디아가 이에 대한 하나의 해법을 가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협업적으로 한 주제에 관한 아티클을 '중립적인 관점'에서 만드는 과정 그 자체가 다른 관점을 지닌 사람들로 하여금 보다 성숙한 자세로 자신의 논지를 주장하고 논의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애플 홍보부는 2003년 말까지 아이팟과 아이튠즈에 관련된 6천여 개의 이야기를 전 세계 메이저 간행물에 실었으며, 폭스바겐과 펩시 같은 회사들과도 성공적인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애플은 아이팟을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 전반과 일치시키는 데 성공했는데, 다시 말해 애플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최신 감각'에 부합하면서 여유롭고 우아한 라이프 스타일인 것처럼 만드는 데 성공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