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

장광진, 성환길, 정연옥, 곽준수 (지은이)
푸른행복
24,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농업 > 농업일반
· ISBN : 9788993426045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09-11-30

책 소개

우리 땅에서 자라는 국산 약초를 쉽게 재배해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대로 알려주는 실용적인 지침서.약초를 재배하는 농가들, 귀농 후 약초 재배를 계획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막연한 이론이 아니라 현장에서 활용되는 실제의 방법을 알려주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만들어졌다.

목차

다수확 재배를 위한 주요 약초 10
길경(桔梗:도라지) | 당귀(當歸) | 식방풍(植防風) | 백지(白芷) | 시호(柴胡)
오미자(五味子) | 우슬(牛膝:쇠무릎) | 작약(芍藥) | 지황(地黃) | 황금(黃芩)

농가에서 재배하는 산약초 27
감국(甘菊 | 감초(甘草) | 강황(薑黃:울금) | 결명자(決明子) | 골담초(骨擔草)
구기자(枸杞子) | 구절초(九折草) | 대계(大?:엉겅퀴) | 더덕(羊乳) | 독활(獨活)
맥문동(麥門冬) | 목단(牡丹:모란) | 박하(薄荷) | 백출(白朮:삽주) | 복령(茯?)
산약(山藥:마·참마) | 석창포(石菖蒲) | 유백피(楡白皮) | 음양곽(淫羊藿)
의이인(薏苡仁:율무) | 천마(天麻) | 택사(澤瀉) | 패모(貝母) | 하수오(何首烏)
황기(黃?) | 황정(黃精) | 후박(厚朴)

저자소개

장광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한국농수산대학 특용작물학과 교수(현). 농업인교육원 C.E.O과정 인삼약초전공 주임교수(현).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 인삼전공 주임교수(현). 한국생약협회 GAP 인증위원(현). 농민신문 객원논설위원(현). 한국자원식물학회 회장(2012). 일본 가고시마(鹿兒島)대학 농학박사. 저서로는 <건강약초>, <사계절 산약초>, <약용식물이용도감>, <약·특작 재배기술>, <약용식물의 효능과 재배법>, <산채생산이용학>,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 외 다수
펼치기
성환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약학박사(생약학 전공) 한국국제대학교 제약공학과 석좌교수(현) 경상남도생약연구소 소장(현) 국립경상대학교 의과대·자연대 외래교수 국립순천대학교 한약자원학과 초빙교수 보건복지부 중앙약사 심의위원회 위원 저서: <우리 산야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상·하)>, <이럴 땐 이런 약초>, <생활 속에서 만나는 건강약초>, <약초 민간요법>, <약용식물 및 생약 포켓도감>, <사계절 산약초>, <동의보감 민간약초(포켓)>, <실전 약초재배>, <지리산의 약용식물> 외 다수가 있습니다.
펼치기
정연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야생화를 전문적으로 촬영하고 연구하고 있으며 많은 야생화 도서를 출판하였습니다. 원광대학교와 동 대학원 농학박사이며, 마산대학교 한약재개발과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자원식물학회 상임이사, 한국약용작물협회 정회원, 한국임상보건과학회 이사이며, 현재 야생화연구소 소장(원우바이오텍), 경남 산청 한방항노화포럼 산업위원, 비비플로라 천연물연구소 소장이다. 야생화 개인사진전을 6회 개최했다. 저서로는 『한국 야생화 식물도감-봄편/여름편/가을편』, 『야생화 도감-봄편/여름편/가을편』, 『우리 산야의 야생 약초 도감』,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 『야생화 약초도감』, 『야생화 백과사전-봄편/여름편/가을편』, 『지리산의 야생화 약용식물-상/하』, 『야생화 산약초도감』, 『사계절 야생화 도감』, 『우리 야생난』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곽준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와 동 대학원 석사, 전북대학교 농학박사, 진안약초시험장 연구실장, 마산대학교 한약재개발과 교수, 영산대학교 약선학과 교수, 영산대학교 호텔관광대학장/관광대학원장, (현)대한약선연구원 원장, (현)대한본초학회, 한국약용작물학회 이사. 저서로는 《자연을 담은 건강꽃차·한방약차》, 《야생화 약초도감》, 《야생화 산약초도감》, 《약선식료 입문》, 《약선식 재료》, 《야생화 도감-봄/여름/가을》, 《한약재분류학》, 《약선포제학》, 《약이 되는 산나물 들나물 기르기》, 《질환별 약초 사용백과》, 《최신 약초재배 입문》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당귀

식물의 생김새와 특징
참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2~3년생 방향성초본식물로 줄기는 짙은 녹색을 띠고 1~1.5m 정도 곧게 자란다. 잎은 삼출(三出)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3개로 갈라지며 다시 2~3개로 갈라진다. 근생엽은 정상엽보다 크고 정상엽은 무병초로 줄기를 감싸고 있다. 꽃은 복산형 취산화서의 양성화로 수술 5개와 암술 1개를 가지고 있으며, 8~9월에 자색의 꽃이 핀다. 열매는 쌍현과로서 9~10월에 익고 종자 1,000개의 무게는 1.4g 정도이다.
일당귀는 다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적자색이고, 독특한 향기가 있으며, 잎은 호생하고 2~3회 3출 복엽이다. 또 꽃은 복산형 화서의 양성화로서 수술 5개와 암술 1개를 가지고 6~7월에 담황색으로 핀다. 열매는 쌍현과로서 8~9월에 익고 종자 1,000개의 무게는 1.8g 정도이다.
약용식물이지만 꽃과 줄기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도 좋으며 특히 뿌리에서 강한 냄새가 나서 옥내 재배 시 집안에 좋은 냄새가 그윽하여 허브 치료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참당귀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동북부 지역에 자생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랭지인 경북 북부지역과 강원도 일대에서 재배하고 있다. 일당귀는 일본 북부지역에 야생하며 일본에서 재배하고 있는 것을 일제 강점기 때 일본에서 들여와 재배하기 시작하였고 현재는 일본에 수출할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재배법
당귀는 씨를 뿌려서 번식해야 하므로 종자 채취를 위해서는 크고 튼튼한 포기를 골라서 밭 한쪽 구석에 3년 정도 묵히면서 인산과 칼리 성분의 거름을 듬뿍 주어 계속 가꾼다. 씨를 흩어서 뿌리기도 하나 줄을 지어 뿌릴 때는 120∼150㎝의 두둑에 15㎝ 간격으로 고랑을 짓고 뿌린다. 씨를 뿌린 후는 고운 흙을 아주 얇게 덮어주고 짚이나 왕겨 같은 것으로 덮어서 땅이 마르지 않게 한다.
수확 및 가공 : 아주심기를 한 그해 늦가을(11~12월)에 잎이 누렇게 변하였을 때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캐낸 후 흙을 털고 줄기와 근두부를 절단하여 1차 선별을 한다. 이때 약초 수확기를 이용하면 능률적이다. 껍질이 황갈색이고 속은 백색이며 부드럽고 향기가 강하게 나면서 직경이 3㎝ 이상이고 길이가 20㎝ 이상인 것이 규격품이다. 당귀는 수확 후 건조 및 관리방법에 따라 외관 품질에 차이가 많다. 특히 당귀의 육질이 변질되면 약재 판매 시 제값을 받지 못한다. 전통적으로 당귀를 세척하면 색택이 갈변하기 때문에 세척을 하지 않고 절단 건조하는 방법을 써 왔으나 최근의 한약재표준공정지침에 따라 수확한 당귀는 1차 선별을 거쳐 작업장으로 이송한 후 원통형 살수 세척기를 이용하여 흙을 세척하고 1차 건조(양건 또는 다목적 온풍건조기를 이용하여 약 40℃에서 건조감량 50% 정도)를 한 후 분류-절단-2차 건조(온풍건조기 40℃)-2차 선별-포장-검사의 과정을 거친다. 특히 세척 시 수돗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마지막에 이온수로 헹구어 주고, 절단 시 절단기의 칼날은 스테인레스 칼날을 사용하여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