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실전 약초재배

실전 약초재배

(성분.약효.이용법)

장광진, 곽준수, 성환길 (지은이)
푸른행복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실전 약초재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실전 약초재배 (성분.약효.이용법)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농업 > 농업일반
· ISBN : 9791156370048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4-03-15

책 소개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약용식물 재배 총론’으로서, 약초 재배의 전반적 이론과 기술을 다루었으며 제2부 ‘실전 약초 재배 기술’은 약초 및 약용식물 41종의 재배를 위한 실전편이다.

목차

제1부_ 약용식물 재배 총론
1장. 약용식물 재배의 개념
: 약용식물 재배의 이론, 약용식물 재배학, 약용식물의 정의, 약용식물의 중요성
2장. 약용식물 및 생약의 역사
: 약용식물과 생약, 약용식물의 역사, 우리나라의 약용식물
3장. 약용식물의 재배환경
: 광합성(光合成), 광(光)의 작용, 온도(溫度), 수분(水分),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산소, 기후조건
4장. 약용식물의 토양 환경
: 토양의 조성, 선지(選地)와 정지(整地)
5장. 약용식물 재배와 비료
: 약용식물 성장과 비료, 약용식물의 생장호르몬
: 비료의 종류와 사용법, 합리적인 시비, 시비량(施肥量)과 시비량 환산법
6장. 관개 및 제초 관리
: 관개(灌漑)/배수(排水)/제초(除草)/멀칭과 차광/정지(整地)와 전정(剪定)
7장. 약용식물의 번식
: 종자번식(種子繁殖), 영양번식(營養繁殖), 우량품종과 품종 개량, 번식시설
8장. 약용식물의 병충해 및 방제법
: 약용식물의 병해와 증상, 약용식물의 병원성(病原性), 약용식물의 충해(蟲害), 약용식물 병충해 방제
: 약용식물의 공통병 방제, 약용식물의 친환경 방제
9장. 약용식물의 수확과 가공
: 수확, 약용부위의 채취방법, 건조 및 가공, 저장

제2부_ 실전 약초 재배 기술
감국
감초
강황(울금)
결명자
골담초
구기자
구절초
길경(도라지)
당귀
대계(엉겅퀴)
더덕
독활
맥문동
목단(모란)
박하
백지(구릿대)
백출(삽주)
복령
산약(마?참마)
삼백초
석창포
시호
식방풍
어성초(약모밀)
오미자
우슬(쇠무릎)
유백피
음양곽(삼지구엽초)
의이인(율무)
인삼
작약
지황
천궁
천마
택사
패모
하수오
황금
황기
황정
후박

저자소개

장광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한국농수산대학 특용작물학과 교수(현). 농업인교육원 C.E.O과정 인삼약초전공 주임교수(현).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 인삼전공 주임교수(현). 한국생약협회 GAP 인증위원(현). 농민신문 객원논설위원(현). 한국자원식물학회 회장(2012). 일본 가고시마(鹿兒島)대학 농학박사. 저서로는 <건강약초>, <사계절 산약초>, <약용식물이용도감>, <약·특작 재배기술>, <약용식물의 효능과 재배법>, <산채생산이용학>,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 외 다수
펼치기
성환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약학박사(생약학 전공) 한국국제대학교 제약공학과 석좌교수(현) 경상남도생약연구소 소장(현) 국립경상대학교 의과대·자연대 외래교수 국립순천대학교 한약자원학과 초빙교수 보건복지부 중앙약사 심의위원회 위원 저서: <우리 산야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상·하)>, <이럴 땐 이런 약초>, <생활 속에서 만나는 건강약초>, <약초 민간요법>, <약용식물 및 생약 포켓도감>, <사계절 산약초>, <동의보감 민간약초(포켓)>, <실전 약초재배>, <지리산의 약용식물> 외 다수가 있습니다.
펼치기
곽준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와 동 대학원 석사, 전북대학교 농학박사, 진안약초시험장 연구실장, 마산대학교 한약재개발과 교수, 영산대학교 약선학과 교수, 영산대학교 호텔관광대학장/관광대학원장, (현)대한약선연구원 원장, (현)대한본초학회, 한국약용작물학회 이사. 저서로는 《자연을 담은 건강꽃차·한방약차》, 《야생화 약초도감》, 《야생화 산약초도감》, 《약선식료 입문》, 《약선식 재료》, 《야생화 도감-봄/여름/가을》, 《한약재분류학》, 《약선포제학》, 《약이 되는 산나물 들나물 기르기》, 《질환별 약초 사용백과》, 《최신 약초재배 입문》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감초>
□ 식물의 생김새와 특징 : 감초는 콩과에 속하는 아시아 원산의 다년생 초본(多年生草本)으로 높이는 1m가량이며 줄기 전체에 가는 털이 촘촘하게 나 있다. 꽃은 연한 자주색으로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로 핀다. 종 모양의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길이 6∼8㎝로 꼬투리 모양으로 맺어지며 겉에 털이 별로 없고 종자는 검은빛을 띠고 있다. 약용으로 쓰는 부분은 주로 뿌리를 사용하고 있다. 중국 북부 지방 및 시베리아, 이태리 남부, 만주, 몽고 등지에 자생 또는 재배되는 감초는 그간 전량 수입에 의존했으나 우리나라에서도 재배에 성공하여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다.
□ 재배법 : 감초 재배지는 햇볕이 잘 들고 강우량이 적은 알칼리성 토양이 적합하다. 배수가 좋은 모래땅이나 자갈이 섞인 땅에 15∼20㎝ 간격으로 종자를 줄뿌림한다. 1년생 뿌리를 캐어 15∼20㎝가량씩 잘라 5㎝ 깊이로 심거나(뿌리나누기법) 땅 위로 올라온 줄기를 포기나누기로 번식시킨다. 보통 가을이나 봄, 어느 때 심어도 되지만 추운 지방에서는 봄에 심는 것이 안전하다. 주로 가을은 10월, 봄은 4월에 심는다. 감초는 건조하면 관수를 해주고 습기가 많으면 배수를 좋게 하여 습해로 인한 병해 및 뿌리썩음을 방지한다.
□ 채취 시기 : 가을에 채취하여 알맞게 잘라 햇볕에 말린다. 늦가을에 지상부가 고사(枯死)하면 베어내고 뿌리 근처를 칡뿌리 캐듯이 깊이 파서 수확한다. 감초 재배에서는 수확작업에 가장 많은 노력이 든다. 그러나 요즘은 포크레인을 이용한 작업으로 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 수확 및 가공 : 캔 뿌리는 물에 깨끗이 씻어서 1m 길이로 잘라두었다가 건조한다(양건 또는 건조기 건조). 수확량은 품종 또는 재배 연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3∼4년생의 경우 1,000㎏/10a 정도이다. 감초 뿌리는 직근뿌리와 횡근뿌리의 2가지가 있다. 2가지 뿌리를 모두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가공할 때는 구분해서 하는 것이 좋다.
□ 보관 저장 : 감초에 물을 뿌려 하루 정도 축축한 상태로 보관하여 수분을 흡수하게 한 뒤 쇄절하는 방법도 있으나 여름 장마철에는 감초가 수분을 흡수하여 따로 이런 식으로 하지 않고 바로 절편하여도 된다.
□ 번식 방법 : 종자번식법과 뿌리나누기법이 있는데 주로 뿌리나누기법을 이용한다. 뿌리나누기법의 경우, 번식용 종근을 가을에 수확하여 병충해의 피해가 없고 눈(2∼3개)이 있으며 크고 충실한 것을 15∼20㎝로 잘라서 남부지방에서는 바로 정식하고 추운 지방에서는 깨끗한 모래 속에 저장했다가 이듬해 봄 3월 하순∼4월 상순경에 심는다(남부지방에서도 봄에 심어도 무방하다). 종자번식법은 품종 육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주요 관리법 : 매년 2∼3회 김매기를 철저히 해주어야 한다. 특히 싹이 터서 생육하는 초기에 김매기를 철저히 해야 한다. 늦가을에 경엽이 마르면 월동 전에 지상물을 제거하여 여러 가지 병해충의 월동(越冬) 잠복처(潛伏處)를 없애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겨울 동안에 동해(凍害)가 우려되는 추운 지방에서는 월동 전에 짚 또는 건초, 완숙퇴비 등으로 덮어 안전하게 월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수확량 : 생근으로 1,000㎏/10a/3~4년생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