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원수 유지관리 매뉴얼

정원수 유지관리 매뉴얼

(공동주거단지나 단독주택을 가꾸기 위한)

권영휴, 김현준, 이태영, 영하정 (지은이)
푸른행복
28,6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740원 -10% 0원
1,430원
24,3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원수 유지관리 매뉴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원수 유지관리 매뉴얼 (공동주거단지나 단독주택을 가꾸기 위한)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식물 일반
· ISBN : 9788993426823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3-03-30

책 소개

공동주거단지나 단독주택에 심어지는 정원수 및 정원이라는 공간을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방법과 지침을 사진과 함께 해설한 정원수 유지관리 매뉴얼이다. 공동주거단지나 단독주택에서 정원수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50종의 나무를 선별하였다.

목차

서문
매뉴얼 개요

제1장 수종별 유지관리 - 낙엽교목
01 감나무
02 계수나무
03 꽃사과나무
04 느릅나무
05 느티나무
06 단풍나무
07 대왕참나무
08 대추나무
09 때죽나무
10 마가목
11 매실나무
12 메타세쿼이아
13 모감주나무
14 모과나무
15 배롱나무
16 백목련
17 복자기
18 산딸나무
19 산벚나무
20 산사나무
21 산수유
22 살구나무
23 상수리나무
24 왕벚나무
25 은행나무
26 이팝나무
27 자귀나무
28 자엽나무
29 자작나무
30 중국단풍
31 층층나무
32 칠엽수
33 튜울립나무
34 팥배나무
35 팽나무
36 회화나무

제2장 수종별 유지관리 - 상록교목
01 가시나무
02 가이즈까향나무
03 구상나무
04 동백나무
05 먼나무
06 서양측백
07 섬잣나무
08 소나무
09 스트로브잣나무
10 아왜나무
11 전나무
12 주목
13 태산목
14 후박나무

제3장 공간별 유지관리
(1) 공동주택
01 단지중심정원
02 단지 내 도로
03 단지출입공간
04 보행로
05 수경공간
06 어린이 놀이터
07 옥상
08 외곽녹지
09 운동공간
10 주동정원
11 주차공간
12 텃밭
13 휴게공간

(2) 단독주택
전정
주정
후정
측정

부록
주요 용어사전
뿌리형태

저자소개

권영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조경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농수산대학 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우건설 조경 및 도시계획부장, 하노이신도시 사업팀장 등을 역임했으며 농촌진흥청과 도시녹화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경기술사, 문화재기술자 등의 자격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는 <돈이 되는 나무>, <정원수 유지관리 매뉴얼>, <정원관리 매뉴얼>,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현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조경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일본 교토대학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다가 현재는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대학에서 조경관리학, 조경생태학, 조경컴퓨터그래픽 등의 과목을 강의하고 있으며 저서로 <정원수 유지관리 매뉴얼>이 있다.
펼치기
이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서울시시설관리공단 조경팀에서 근무하였다. 현재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산림조경학과 연구원으로 조경관리매뉴얼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저서로 <정원수 유지관리 매뉴얼>, <정원관리 매뉴얼>이 있다.
펼치기
영하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한국농수산대학에서 화훼학 전공으로 학사를 취득한 후 현재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에서 화훼장식학 전공으로 재학 중이며,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산림조경학과 연구원으로 도시농업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화훼장식기능사, 독일플로리스트 자격을 가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01. 감나무>
- 감나무과 감나무속 낙엽활엽교목
학 명 : Diospyros kaki Thunb.
영 명 : Kaki, Japanese Persimmon
일본명 : カキ
중국명 : 枾樹
기타명칭 : 돌감나무, 산감나무
원산지 : 한국, 중국, 일본
분 포 : 중부 이남에 자생, 중부 이남에 식재 가능
조경적용도 : 정원수, 공원수, 독립수, 유실수
관상가치 : 광택이 나는 넓은 잎, 붉은 열매, 자연스런 수형
내한성 : 중
내공해성 : 중
내음성 : 양수
토양적응성 : 적윤지
내염성 : 강
이 식 : 곤란

번식
접목번식을 주로 한다. 대목은 돌감(山枾)이나 재배종 감나무 종자인 공대(共臺)와 고욤나무를 이용한다. 접목 시기는 3월 하순에서 4월 하순경이 좋다. 일반적으로 깎기접으로 접목한다. 접수는 2월 중순경 충실한 1년생 가지를 채취하여 7℃ 내외의 저온저장고에 보관 후 이용한다. 단감나무의 접목은 고욤나무와 접목친화성이 적기 때문에 반드시 공대를 이용한다. 전정
정부우세성(頂部優勢性)이 강하여 수고가 점점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 방임상태로 두면 가지가 혼잡해지고 수고가 10m 이상으로 높아져 관리하기 어렵다. 암수한그루 또는 완전화로 1년생 가지에 감이 열리게 된다. 겨울 전정은 12~2월이 적기이다. 얽힌 가지와 전년도에 결실한 가지는 제거한다. 결과모지는 선단부의 눈과 2~3번째 눈이 꽃을 맺는 열매가지가 되므로 30cm 이상의 장과지는 선단을 가볍게 잘라준다. 여름 전정은 6월 하순~7월에 감이 열리지 않은 도장지와 햇빛이 드는 것을 방해하는 가지를 제거한다. 꽃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5월 중순경에 제거한다. 과실이 잘 달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5월 하순경에 인공수분한다. 과실이 과도하게 열리면 6~7월경에 적과(摘果)한다.

이식
중북부지방에서는 가을 식재를 피하고 봄에 식재한다. 남부지방에서는 가을 또는 봄에 식재한다. 뿌리가 깊이 뻗으므로 성목을 이식할 때는 1년 전에 미리 뿌리돌림을 하고 이식 시 지상부와 뿌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기본 수형을 이루는 가지 외에 불필요한 가지는 제거한다. 토양은 배수가 잘되고 보수력이 있으며 토심이 깊은 식양토가 좋다.

시비
우량한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시비를 철저히 한다. 유기질비료를 늦가을에 준다. 7월경 덧거름으로 질소와 칼리 성분이 있는 복합비료를 시비한다. 수세가 약한 경우에는 여름과 가을에 요소, 인산, 칼리 등을 엽면시비한다.

병충해
주요 병충해로는 탄저병, 모무늬낙엽병, 둥근무늬낙엽병, 감꼭지나방 등이 있다. 탄저병은 과실이나 가지에 발생한다. 새 가지에 전염하면 회색 병반이 타원형으로 되고, 감에 발생하면 대부분 낙과한다. 수세를 건강하게 하고 병든 가지는 잘라낸다. 5월에 다이센엠 45,500배액을 살포한다. 모무늬낙엽병은 7월경 잎에 담갈색 또는 암갈색 병반이 생기며 낙엽되고 감의 품질이 저하되므로, 비배관리를 잘하고 6월에 베노밀수화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감꼭지나방은 6월과 8월, 2회 발생한다. 굵은 가지 사이와 수피에 고치를 만들어 월동하며, 어린잎에 피해를 주고 감꼭지 부분으로 파고 들어간다. 발생 최성기에 파단, 더스반수화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