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식물 일반
· ISBN : 9788993426823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3-03-30
책 소개
목차
서문
매뉴얼 개요
제1장 수종별 유지관리 - 낙엽교목
01 감나무
02 계수나무
03 꽃사과나무
04 느릅나무
05 느티나무
06 단풍나무
07 대왕참나무
08 대추나무
09 때죽나무
10 마가목
11 매실나무
12 메타세쿼이아
13 모감주나무
14 모과나무
15 배롱나무
16 백목련
17 복자기
18 산딸나무
19 산벚나무
20 산사나무
21 산수유
22 살구나무
23 상수리나무
24 왕벚나무
25 은행나무
26 이팝나무
27 자귀나무
28 자엽나무
29 자작나무
30 중국단풍
31 층층나무
32 칠엽수
33 튜울립나무
34 팥배나무
35 팽나무
36 회화나무
제2장 수종별 유지관리 - 상록교목
01 가시나무
02 가이즈까향나무
03 구상나무
04 동백나무
05 먼나무
06 서양측백
07 섬잣나무
08 소나무
09 스트로브잣나무
10 아왜나무
11 전나무
12 주목
13 태산목
14 후박나무
제3장 공간별 유지관리
(1) 공동주택
01 단지중심정원
02 단지 내 도로
03 단지출입공간
04 보행로
05 수경공간
06 어린이 놀이터
07 옥상
08 외곽녹지
09 운동공간
10 주동정원
11 주차공간
12 텃밭
13 휴게공간
(2) 단독주택
전정
주정
후정
측정
부록
주요 용어사전
뿌리형태
책속에서
<01. 감나무>
- 감나무과 감나무속 낙엽활엽교목
학 명 : Diospyros kaki Thunb.
영 명 : Kaki, Japanese Persimmon
일본명 : カキ
중국명 : 枾樹
기타명칭 : 돌감나무, 산감나무
원산지 : 한국, 중국, 일본
분 포 : 중부 이남에 자생, 중부 이남에 식재 가능
조경적용도 : 정원수, 공원수, 독립수, 유실수
관상가치 : 광택이 나는 넓은 잎, 붉은 열매, 자연스런 수형
내한성 : 중
내공해성 : 중
내음성 : 양수
토양적응성 : 적윤지
내염성 : 강
이 식 : 곤란
번식
접목번식을 주로 한다. 대목은 돌감(山枾)이나 재배종 감나무 종자인 공대(共臺)와 고욤나무를 이용한다. 접목 시기는 3월 하순에서 4월 하순경이 좋다. 일반적으로 깎기접으로 접목한다. 접수는 2월 중순경 충실한 1년생 가지를 채취하여 7℃ 내외의 저온저장고에 보관 후 이용한다. 단감나무의 접목은 고욤나무와 접목친화성이 적기 때문에 반드시 공대를 이용한다. 전정
정부우세성(頂部優勢性)이 강하여 수고가 점점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 방임상태로 두면 가지가 혼잡해지고 수고가 10m 이상으로 높아져 관리하기 어렵다. 암수한그루 또는 완전화로 1년생 가지에 감이 열리게 된다. 겨울 전정은 12~2월이 적기이다. 얽힌 가지와 전년도에 결실한 가지는 제거한다. 결과모지는 선단부의 눈과 2~3번째 눈이 꽃을 맺는 열매가지가 되므로 30cm 이상의 장과지는 선단을 가볍게 잘라준다. 여름 전정은 6월 하순~7월에 감이 열리지 않은 도장지와 햇빛이 드는 것을 방해하는 가지를 제거한다. 꽃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5월 중순경에 제거한다. 과실이 잘 달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5월 하순경에 인공수분한다. 과실이 과도하게 열리면 6~7월경에 적과(摘果)한다.
이식
중북부지방에서는 가을 식재를 피하고 봄에 식재한다. 남부지방에서는 가을 또는 봄에 식재한다. 뿌리가 깊이 뻗으므로 성목을 이식할 때는 1년 전에 미리 뿌리돌림을 하고 이식 시 지상부와 뿌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기본 수형을 이루는 가지 외에 불필요한 가지는 제거한다. 토양은 배수가 잘되고 보수력이 있으며 토심이 깊은 식양토가 좋다.
시비
우량한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시비를 철저히 한다. 유기질비료를 늦가을에 준다. 7월경 덧거름으로 질소와 칼리 성분이 있는 복합비료를 시비한다. 수세가 약한 경우에는 여름과 가을에 요소, 인산, 칼리 등을 엽면시비한다.
병충해
주요 병충해로는 탄저병, 모무늬낙엽병, 둥근무늬낙엽병, 감꼭지나방 등이 있다. 탄저병은 과실이나 가지에 발생한다. 새 가지에 전염하면 회색 병반이 타원형으로 되고, 감에 발생하면 대부분 낙과한다. 수세를 건강하게 하고 병든 가지는 잘라낸다. 5월에 다이센엠 45,500배액을 살포한다. 모무늬낙엽병은 7월경 잎에 담갈색 또는 암갈색 병반이 생기며 낙엽되고 감의 품질이 저하되므로, 비배관리를 잘하고 6월에 베노밀수화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감꼭지나방은 6월과 8월, 2회 발생한다. 굵은 가지 사이와 수피에 고치를 만들어 월동하며, 어린잎에 피해를 주고 감꼭지 부분으로 파고 들어간다. 발생 최성기에 파단, 더스반수화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