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농업 > 생태농업
· ISBN : 9788993429138
· 출판일 : 2009-09-10
목차
1 흙이란 무엇인가?
- 달에는 바위의 잔해(殘骸) 밖에 없다
- 흙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흙은 살아 있다
- 흙은 만들어진다
- 비옥한 토양이란
- 궁극적인 목푠느, 땅을 갈아 엎지 않는 것
2 흙의 단립(團粒) 구조 체크
- 단립구조란?
- 농사가 쉬워진다
- 누구라도 할 수 있는 단립구조 판정법
3 흙을 가꾸려면
- 유기물에 대해 알자
- 어떤 유기물이 좋은 것인가
- 유기물에 따라 분해가 다르다
4 유기농업에서 중요한 2가지 법칙
- 제1법칙 : 나무는 나무에게 돌려주고, 풀은 풀에게 돌려 준다
- 유기물의 편식
- 제2법칙 : 살아 있는 모든 것에는 존재하는 의미가 있다
5 흙 가꾸기의 구체적인 계책
- 풀을 활용한다
- 풀은 뭐든지 베어버린다
- 풀을 베어 바닥에 깐다
- 풀은 신선한 유기물
- 목초(牧草;가축에게 먹이는 풀)도 이용한다
- 땅을 갈아 엎어서는 안 된다
- 풀을 바닥에 깔면, 좋은 점
- 복합(multi) 풀로 하는 것은 무리인가?
- 잔손이 많이 가지 않는 초생재배(草生栽培)
- 초생재배에 대해
- 4가지 주의해야 할 점
- 공영작물(共榮 作物)을 기본으로 한 간작(間作) 혼작(混作)에 대해
- 윤작(輪作)을 하기 위한 궁리
- 이상적인 흙의 조건은?
- 보비력(保肥力)을 높이면, 이상적인 흙으로 바꿀 수 있다
- 부식능력을 살린다
- 흙을 가꾸는 것은, 토양 생물을 증가시키는 것
- 흙을 가꾸기 위한 3가지 방법
6 흙이 성장하기까지
- 어느 한 농가의 예
- 수확량 감소와 수입 감소(減收)
- 닭, 돼지, 소, 말, 콩, 벼
- 유기물은 한번에 분해되지 않는다
- 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한다
- 뒤처짐을 만회할 수 있을까
- 유기물은 목적이나 용도에 맞게 구별하여 사용한다
-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유기물
- 일본의 풀
7 녹비식물(綠肥植物)
- 콩과 식물
- 벼과 식물
- 녹비작물의 이용법
- 토양생물의 이식방법
8 보카시 거름 만드는 법과 사용법(농업자편)
- 재료(材料)와 주의점
- 제조방법
- 담금법
- 보카시 비료 사용법
9 보카시 비료의 제조법(가정편)
- 음식쓰레기를 재료로 하는 경우
10 보카시 비료의 보충과 주의사항
제2장 식물의 영양
1 영양의 균형(Balance)
- 영양의 의미
- 수경재배(水耕栽培)와 양분
2 식물의 필수원소
(1) 탄소, 산소, 수소
(2) 질소
(3) 인
(4) 칼륨
(5) 마그네슘
(6) 칼슘
(7) 유황
(8) 염소
(9) 철, 망간, 아연, 구리, 수연(몰리브덴)
3 필수원소 결핍과 과잉 증상
- 증상과 진단 방법
- 작물과 토양에 따라 결핍과 과잉 증상은 다르다
제3장 작물(作物) 재배 요령
1 작물(作物)을 잘 키우려면?
- 작물은 인품
- 선인장은 이야기한다
- 작물은 고향을 그리워한다
2 가지과(科)
(1) 가지
(2) 토마토
(3) 고추(피망)
(4) 감자
3 파類(백합과)
(1) 파
(2) 양파
(3) 부추
(4) 염교(락교)
(5) 마늘
4 유채科
(1) 무
(2) 순무(무청)
(3) 양배추
(4) 배추
(5) 절임용 채소류
5 박과
(1) 오이
(2) 호박
6 그 밖의 야채 3종
(1) 시금치
(2) 당근
(3) 딸기
7 콩科
- 질소고정
- 생육 특징
- 콩과 풀과의 경쟁을 극복하려면?
- 콩의 분류
- 수확 증대와 우량품을 얻는 비결
8 진짜(참) 야채
- 대칭성(對稱性)으로 알 수 있는 것
- 조리의 용의함
- 영양가와 맛
9 씨의 보존 방법
- 농가에서 배운 방법
- 탄산가스의 효과를 이용한다
- 씨의 보존방법 - 주의할 점
제4장 질병, 벌레
(1) 서론
(2) 아침 산책에서 배운 것
(3) 병충해를 피하려면
(4) 경종법(耕種法)이란
(5) 벌레
(6) 병해
(7) 정리
제5장 게으른 자의 독백
(1) 유기농업은 이단(異端)
(2) 게으른 백성의 단서
(3) 자연은 유한(有限)한 것이다
(4) 현대농업이 간과하고 있는 것
(5) 흙은 살아 있다
(6) 흙의 기력이 쇠퇴해 진다면?
(7) 해충이 보이지 않는 귤 농원
(8) 환경보전형(環境保全形) 농협에 대해
(9) 21세기 [흙]의 지평(地平)
(10)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