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농업 > 농업일반
· ISBN : 9788993429176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10-05-25
목차
제 1 편 총설
제 1 장 실험실 및 실험용 기구 기계
(A) 실험실
(B) 배지 조제 및 분주용 기구
(C) 균의 분리 및 배양용 기구
(D) 검경용 기구
1. 현미경
2. 암시야조사장치(한외현미경 : ultra-microscope)
3. 현미경 정온기(定溫器)
4. 현미경 사진장치
5. 화인기(畵印器)
6. 유리종
7. 깃털, 건조한 붓, 비로드, 사슴가죽
8. 핀세트
9. 코르네트 핀세트
10. 표본선반
11. 대물글라스(슬라이드 글라스)
12. Hole objective glass(홀로글라스)
13. 카버글라스
14. 뚜껑 달린 컵 또는 광구병
15. 페트리 접시
16. 시약병
17. 세정병
18. 세다오일(바셀린, 발삼)병
19. 여지(濾紙), 가제
20. 노트, 라벨, 펜
제 2 장 현미경의 취급 및 검경의 주의
(A) 현미경의 취급
(B) 검경의 주의사항
제 3 장 살균법, 살균제 및 제균법
(A) 살균법
1. 화염살균(직화법, 直火法)
2. 건열살균
3. 습열살균
(B) 살균제
(C) 제균법
1. 액체의 제균
2. 공기의 제균
제 4 장 배지
제 1 항 수소이온 농도 측정법
지시약법
표준 완충액
지시약
제 2 항 배지조제법
Ⅰ. 액체 배지
(A) 세균배양액
1. 육즙(Bouillon)
2. Smith 무당 육즙
3. 두부 분해즙
4. 포도당 육즙
5. 글리세린 육즙
6. 효모수(水)
7. 우유
8. 리트머스 유청(乳淸)
9. 청주
10. 맥주
11. 펩톤 수
12. 조미양파즙
13. 혈청
14. 합성액(무단백질 배지)
(B) 효모 및 곰팡이 배양액
1. 국즙(麴汁)
2. 맥아즙
3. 호프첨가맥아즙
4. 과즙
5. 간장
6. 콩 삶은 국물(豆煮汁)
7. 합성액(무단백질 배지)
ⅰ. 효모에 적합한 합성배지
ⅱ. 곰팡이에 적합한 합성배지
Ⅱ. 고체배지
1. 한천(agar)
2. 젤라틴(gelatin)
3. 곡류술덧
4. 빵
5. 감자
6. 곤약
제 3 항 배지의 저장법
제 5 장 보통배양법
(A) 평면 배양법(평판배양법)
(B) 사면(斜面) 배양법〔획선(劃線) 배양법〕
(C) 천자배양법(穿刺培養法)
(D) 액체배양법
제 2 편 세균의 배양법 및 연구법
제 1 장 세균의 순수분리 및 배양법
Ⅰ. 호기성(산소성)세균 및 통성혐기성(통성무산소성) 세균의 배양법
(A) 평면배양
(B) 묵즙점적배양법(墨汁点滴培養法)
(C) 사면배양 및 천자배양
(D) 감자 배양
(E) 액체배양
(F) 다량 배양법
1. 변형 병
2. 변형 관
3. 횡치(橫置) 병
Ⅱ. 편성혐기성(편성무산소성) 세균 배양법
(A) 공기의 침입 두절법
1. 중층(重層) 배양법
2. 2중접시(관) 배양법
3. 진공배양법
(B) 산소흡수법
1. Wright 법
2. Burri 평면배양법
3. Buchner법
4. 페트리접시 응용간이법
5. 오가타법(緖方法)
6. Novy 종 응용법
(C) 공기 치환법
1. 시험관 또는 플라스크 응용법
2. Botkin 종 응용법
3. 키쿠지법(菊池法)
(D) 산소흡수, 공기치환 병행법
(E) 다량배양법
제 2 장 세균의 형태학적 검사법
제 1 항 세균의 배양적 특성검사
제 2 항 세균의 현미경적 특성검사
Ⅰ. 검경법
(A) 무염색 검사
1. 보통표본
2. 현적표본
3. 묵즙법
4. 암시야 조사법
5. 균체 계측법
(B) 염색검사
1. 생체염색법
2. 보통 고정염색법
ⅰ. Ziehl 석탄산 훅신레드액
ⅱ. Loffler 메틸렌 블루액
ⅲ. Ehrlich 아닐린수(水) 겐티아나 퍼플액
(C) 특수염색
1. 그람(Gram) 염색법
2. 항산성균 염색법
3. 포낭(包囊, 莢膜) 염색법
ⅰ. Johne법
ⅱ. Friedlaender법
ⅲ. Nicolle법
4. 포자 염색법
ⅰ. Moller법
ⅱ. 고이법(五井法)
5. 편모(鞭毛) 염색법
ⅰ. Loffler법
ⅱ. 이마이법(今井法)
ⅲ. 요코다(橫田)법
ⅳ. Noland 간이법
Ⅱ. 검경의 중요항목
(A) 세균의 형태
(B) 세균체의 크기
(C) 세균의 원형질 및 세포막
(D) 세균의 포자
(E) 세포의 염색성
(F) 운동성 여부
제 3 장 세균의 생리학적 검사법
(A) 발육온도 및 포자 형성온도의 측정
(B) 사멸온도 측정
(C) 수소이온농도 측정
(D) 영양소 시험
(E) 효소시험
1. 펩신(pepsin)
2. 트립신(trypsin)
3. 우레아제(urease)
4. 라아브(lab)
5. 리파아제(lipase)
6. 아밀라아제(amylase : diastase)
7. 펙티나아제(pectinase)
8. 인베르타아제(invertase)
9. 락타아제(lactase)
10. 말타아제(maltase)
11. 에멀진(emulsin)
12. 옥시다아제(oxidase)
13. 페르옥시다아제(peroxidase)
14. 카탈라아제(catalase)
15. 리덕타아제(reductase)
16. 헤모리진(hemolysine)
17. 사이토크롬(cytochrome)
18. 황색효소(yellow enzyme)
(F) 생산물시험
Ⅰ. 단백질의 분해
1. 암모니아의 검출
2. 부패염기 프토마인의 검사
3. 독소 toxin의 검사
4. 인돌 및 스카톨의 검사
5. 페놀의 검출
6. 황화수소의 검출
Ⅱ. 아미노산의 분해
1. 로이신에서 ℓ-로이신산의 생성시험
2. 로이신에서 d-로이신의 생성시험
3. 트립토판으로부터 인돌젖산 생성시험
Ⅲ. 탄수화물의 분해
1. 산생성 검사
2. 당류의 산변(酸變)시험
3. 생성된 산의 정량
4. 미량생산물의 검정
[휘발산류]
[비휘발산류]
5. 포도당에서 아세토인(아세틸메틸카르비놀) 및
2, 3,부틸렌글리콜 생성시험
6. 가스의 검사
(G) 색소시험
(H) 발광시험 및 발열시험
제 4 장 생세균 저장법
(A) 이식 저장법
(B) 건조 저장법
제 5 장 세균표본의 영구 보장법
(A) 배양표본
(B) 검경표본
제 3 편 부패 세균 및 물, 토양, 비료세균의 검색
제 1장 부패세균
1. 고초균(枯草菌 : Bacillus subtilis)
2. 감자균(Bacillus mesentericus vulgatus)
3. 대장균(Bacillus colicommunis, Escherichia coli)
4. 변형균(Bacillus proteus)
5. 푸트리피쿠스균(Bacillus putrificus)
6. 거대균(Bacillus megaterium)
7. 근상균(根狀菌 : Bacillus mycodies)
8. 화농균(化膿菌 : Streptococcus pyogenes)
제 2 장 물, 토양, 비료세균
(A) 철(鐵) 세균
1. 렙토트릭스 오크라세(Leptothrix ochracea)`
2. 렙토트릭스 페르기네아(Leptothrix ferruginea)
(B) 황세균
1. 베기아토아알바(Beggiatoa alba)
2. 티오바실러스 데니트리피칸스(황산화균)
3. 홍색세균
(C) 발광균(發光菌)
(D) 요소균
(E) 요산균(尿酸菌) 및 마뇨산균(馬尿酸菌)
(F) 시아나미드 분해균
(G) 질화세균(窒化細菌)
Ⅰ. 아질산균
1. Winogradsky-Omeliansky 규산배양법
2. Beijerinck 정제한천 배양법
3. Omeliansky-Makrinov 석고 괴(塊) 고토(苦土)배양법
Ⅱ. 질산균
(H) 탈 아미노 균
(Ⅰ) 질소 고정균
제 1 류 단생질소 고정균
(Ⅰ) 아밀로박터(Amylobacter)
(Ⅱ) 아조토박터(Azotobacter)
1. Beijerinck 배양액
2. Ashby액
3. Lipman액
4.Omeliansky액
5. Burk액
(Ⅲ) 바실러스 아스테로스포루스(Bacillus asterosporus)
제 2 류 공생질소 고정균
두과식물의 근류균(根瘤菌)
1. Wright 만니트 효모수
2. 만니트 토양 침출액
3. Harrison 액(목회배지)
4. 아스파라긴 한천
5. Fred액
6. 자당 배양액
7. Lipman액
8. Ashby액
제 3 류 방선균Actinomyces(Streptococcus actinomyces)
스트립토마이신의 생성시험
제 4 편 낙농세균의 검색
제 1 장 우유중의 젖산균
(A) 젖산구균
(B) 젖산 연쇄구균
(C) 젖산간균
제 2 장 치즈 젖산균
제 3 장 낙농품 중 부패세균
제 5 편 양조용 세균의 검색
제 1 장 양조물중의 젖산균
Heneberg액
바실러스 델부룩키(Bacillus delbrueckii)
제 2 장 화락균
제 3 장 초산균
1. Henneberg액
2. Beijerinck액
3. Pasteur액
4. 다카하시(高橋)액(글루콘산 생산균에 적합)
제 6 편 특수응용 세균의 검색
제 1 장 낙산균 및 부틸(이소프로필) 알코올 균
낙산균 및 butyl alcohol균 검색요령
제 2 장 아세톤 균
(A) 편성혐기성(편성 무산소성) 아세톤 균
(B) 통성혐기성(통성 무산소성) 아세톤 균
제 3 장 셀룰로오스 분해 균
(A) 혐기성(무산소성) 셀룰로오스 분해 균
(B) 호기성(산소성) 셀룰로오스 분해 균
1. Dubos 배양액
2. McBeth 셀룰로오스 한천
(C) 내열성 셀룰로오스 분해 균
(D) 탈아미노성 셀룰로오스 분해 균
제 4 장 펙틴 분해 균
제 5 장 점액 균
1. 납두 균(낫토 균)
2. Mannit 균
제 7 편 효모의 배양법 및 연구법
제 1 장 효모의 순수분리 및 배양법
(A) 평면배양
(B) Lindner 소적배양법
(C) 사면배양 및 천자배양
(D) 거대 콜로니 형성법
(E) 포자형성법
(F) 액체 배양
(G) 다량배양법
1. Pasteur 병
2. Carlsberg 관
3. Hansen-Kuehle 증식장치
4. Lindner 소형증식 관
5. Lindner 대형증식 관
6. Fernbach 연속증식장치
제 2 장 효모의 형태학적 검사법
제 1 항 효모의 배양학적 성질검사
제 2 항 효모의 현미경적 성질검사
Ⅰ. 무염색 검사
(A) 효모의 형태
(B) 발아(번식) 상태
(C) 번식력 측정
(D) 효모의 원형질 및 세포막
(E) 내구세포
Ⅱ. 무염색, 병행, 염색검사
(A) 과립의 조성
(B) 사멸세포의 검정
(C) 효모의 포자
(D) 세포핵 염색
1. Heidenhain법
2. Moeller법
제 3 장 효모의 생리학적 검사법
(A) 발육온도, 포자형성온도, 발육 및 작용의 수소이온 농도측정
(B) 사멸온도측정
(C) 영양시험
(D) 효소시험
1. Endotryptase
2. Asparaginase
3. Amylase
4. Glycogenase
5. Invertase
6. Lactase
7. Maltase
8. Melibiase
9. Catalase
10. Zymase
11. Cozymase
a) 효모 자비 즙 내지 일가동염법
b) 일가동염법 후의 정제
12. Carboxylase
13. Co-carboxylase
14. Carbolygase
15. Amylosyntease
(E) 당류발효시험
1. 발효관 응용법
2. Lindner 홀로글라스 응용(소발효시험)법
(F) 총발효도 측정
(G) 알코올 발효력 측정
1. Meissel 중량법
2. Hayduck 용량법
(H) 아미노산 소비량 측정
(I) 아미노산 발효
1. Tyrosine에서 tyrosol(p-oxyphenylethyl alcohol) 생성시험
2. Tryptophan에서 tryptophol(β-indole ethyl alcohol)
생성시험
3. Glutamic acid에서 succinic acid 생성시험
4. Tyrosine에서 p-oxyphenyl lactic acid 생성시험
(J) Glycerin 집적발효
(K) 비타민류 추출시험
1. 비타민 B1(oryzanin)
2. 비타민 B2
3. 비타민 B6
4. 비타민 B12(항빈혈의 비타민)
5. Nicotinic acid
6. Ergosterol
7. Ergosterol과 비타민 D
(L) Insulin 추출시험
(M) Heteroxin 추출시험
(N) 효모 검 추출시험
(O) 효모핵산 분리시험
(P) Glutathione 분리시험
1. Pirie 분리법
2. Schroeder 분리법
3. Kozlowski 분리법
4. Kozlowski 간이법
(Q) 여성호르몬 분리시험
제 4 장 생효모 저장법
(A) 이식저장법 및 건조저장법
(B) 냉동저장법
(C) 순자당액 응용저장법
제 5 장 배양효모 및 야생효모
제 6 장 상면효모 및 하면효모
제 7 장 저명 효모의 검색
Ⅰ. 유포자 효모균
(A) 진정효모균족(Saccharomycetes)
1. Saccharomyces속
2. Hanseniaspora속
3. Torulaspora속
4. Zygosaccharomyces속
5. Debaryomyces속
6. Saccharomycodes속
7. Saccharomycopsis속
(B) 피막효모균족
8. Pichia속
9. Willia(Hansenula)속
(C) 분열효모균족(Schizosaccharomycetes)
Ⅱ. 무포자효모균
1. Torula(Torulopsis)속
2. Mycoderma속
Ⅲ. 불완전균(의사효모균)
1. Chalara속과 Sachsia속
2. Monilia속(Neurospora속)
3. Oidium속(Oospora속)
4. Botrytis속
5. Dermatium속
6. Cladosporium속
7. Endomyces속(Endomycopsis속)
8. Fusarium속(Fusisporium속)
9. Gibberella fujikuroi(표 48)
10. Irpex lacteus, Irpex consors(표 49)
11. Ceratostmella fimbriata(표 50)
12. Eremothecium ashbyii(표 51)
제 8 편 곰팡이 배양법 및 연구법
제 1 장 곰팡이의 순수분리 및 배양법
(A) 평면배지
(B) 사면배지
(C) 습실배지
(D) 액체배양
(E) 다량 배양법
1. 빵 응용법
2. 증미(또는 밀기울) 응용법
제 2 장 곰팡이의 형태학적 검사
제 1 항 곰팡이의 배양적 성질검사
제 2 항 곰팡이의 현미경적 성질검사
제 3 장 곰팡이의 생리학적 검사법
(A) 발육온도 및 수소이온 농도측정
(B) 포자(아포자)의 저항력 시험
(C) 효소시험
1. Protease(단백질 분해효소) 정량법
i. Mett법
ii. Fuld-Gross법
iii. 오오시마 변법(變法)
iv. 한타크(半澤) 간이법
2. Lipase 정량법
i. 지방유상액 응용법
ii. Volhard법
3. Amylase 정량법
i. Lintner법(전분당화력 측정법)
ii. 오오시마(大島)변법(전분당화력 측정법)
iii. Wohlgemuth법(전분 - 덱스트린화 역가측정)
iv. Laufer법
(D) 전분당화력 측정
(E) 알코올 발효력 측정
(F) 생성당의 정량, 산 기타 미량 생성물의 검정
(G) 당 산화발효
1. Fumaric acid 생성시험
2. 국산생성시험
3. 구연산생성시험
4. Gluconic acid 생성시험
(H) 항생물질
제 4 장 종국의 저장법
제 5 장 저명 곰팡이의 검색
Ⅰ. 조상균문(藻狀菌門, Phycomycetes)
1. 털곰팡이속(Mucor속)
2. 거미줄 곰팡이(Rhizopus속)
3. Absidia속
Ⅱ. 자낭균류(子囊菌類, Ascomycetes)
(A) 반자낭균과(半子囊菌科, Hemiascomycetaceae)
1. 홍국균속(紅 菌族, Monascus속)
(B) 진정자낭균과(眞正子囊菌科, Euascomycetaceae)
1. 국균속(麴菌屬, Aspergillus속)
2. 푸른곰팡이 속(Penicillium속)
3. Citromyces속
제 9 편 균학적 검사법
제 1 장 공기의 검사
(A) 직접법
1. 페트리접시법
2. 광구병 응용법(Lintner변법)
3. Hesse법
(B) 간접법
1. Miquel병 응용법
2. Petri법
제 2 장 물의 검사
(A) 가검수 채취법
(B) 음료수 및 폐수의 검사
1. 보통시험법
2. 간이시험법
i. 자당용액 법
ii. 우유법
(C) 양조용수의 검사
1. Lintner적상 배양법
2. Wichmann 맥주양조용 시험법
i. 균수의 측정
ii. 균의 성질검정
제 3 장 낙농품의 검사
Ⅰ. 우유의 검사
(A) 균수측정
1. 보통시험법
2. 원심분리법
3. 탈색시험법
4. 간이시험법
(B) 균종검사
1. 발효시험법
2. 부패원인 구명법
Ⅱ. 버터의 검사
Ⅲ. 치즈의 검사
제 4 장 토양의 검사
(A) 가검 토양 채취법
(B) 균수측정
제 5 장 곡류의 검사
제 10 편 바이러스 현상 연구법
무균반 계수법(Plaque-count method, plaque-assay)
용균현상의 현미경적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