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93463422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13-04-1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남과 북 모두의 역사적 트라우마
1. 김일성의 아들, 박헌영의 아들
무봉산 자락에서 만난 원경 스님
혁명가 박헌영이 걸어온 길
기억 속 아버지를 찾아서
2. 잃어버린 사진 속의 혁명가들
죄인의 아들이라는 멍에
한산 스님과의 인연
남로당 핵심 김삼룡과 함께한 어린 시절
3. 지리산에서 만난 ‘빨치산 사령관’ 아저씨
홀로 남은 소년, 스님이 되다
전쟁의 시작과 노근리 학살의 진실
지리산 사령관 이현상과의 만남
4. 박헌영은 김일성을 얕봤다
보천보 전투를 둘러싼 진실공방
박헌영이 함구령을 내린 까닭
원경 스님이 김일성을 보는 눈
5. 어느 날 다가온 아버지의 처형 소식
‘이현상 아저씨’의 부탁
아버지의 고향으로 피신하다
산사에서 아버지 제사를 지내다
6. 박헌영 사형 판결문과 최후 진술
1) 박헌영 판결문(1955년 12월 15일)
2) 재판을 지휘한 강상호의 증언: 사형선고 받은 박헌영의 최후 진술
7. 해군 특수부대 자원한 ‘박헌영 아들’
열일곱의 소년, 복수를 꿈꾸다
어머니와의 첫 만남과 자살 기도
이현상은 사살당하지 않았다
8. 수도승 사이에서도 불거진 ‘색깔공세’
“빨갱이의 자식을 쫓아내라!”
안기부, 아버지의 이름을 묻다
역사문제연구소와의 인연
9. 아버지 박헌영 ‘복권’의 진정한 뜻
찬탁-반탁의 소용돌이와 언론의 역할
박헌영의 ‘8월 테제’와 박정희
박헌영의 복권과 통일
10. 박헌영 글 직접 읽기
1) 방송 연설문: 진보적 민주주의 깃발 아래서
2) 8월 테제: 현 정세와 우리의 임무
나가는 말: 21세기 박헌영:남과 북에 보내는 메시지
박헌영 연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박헌영 트라우마
이 책에서 분석한 ‘박헌영 트라우마’는 새로운 ‘임상심리 개념’이다. 거짓말로 상대를 크게 해코지한 사람이나 집단에게 남는 깊은 상처를 이른다. 해코지하면서 내세운 명분이 스스로 거짓임을 잘 알고 있기에 그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거짓말을 하면서 마침내 그 거짓말을 진실이라고 믿는 중증까지 나타난다. 역사적 인물 박헌영의 파란만장한 삶에서 비롯한 이 트라우마는 병명도 모른 채 1953년에서 2013년까지 옹근 60년 동안 남과 북에 만연했다. 이 책은 그 트라우마를 치유하려는 첫 걸음이다. 모든 트라우마의 치료가 그렇듯이 박헌영 트라우마의 치유책 또한 박헌영의 진실을 직시하는 데서 출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