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3489880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9-09-29
책 소개
목차
글을 시작하며 /10
“경찰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을 위한 이야기”
Part 1. 직감에서 과학으로 /15
[From Experience to Science, IT]
1. 왜 오늘날 화성 연쇄살인사건은 일어나지 않을까? /17
2. 삶과 죽음 그리고 경찰 /34
3. 과학과 경찰은 언제 어떻게 만날까? /45
4. 왜 살인범은 2주를 넘기지 못할까?: 추적 /62
5. ‘극한직업’의 ‘극한작업’: 위기협상 /72
6. FBI도 부러워하는 한국의 사이버 경찰 /81
7. 성폭력 트라우마에 대한 특별한 이해: 뇌과학 /90
Part 2. 새로운 위험과 범죄 대응 /99
[New Danger and Crime Management]
8. 여성이라서 ‘더’ 무서워요. /101
9. 두려움을 모르는 청소년, 어떻게 해야 하나? /124
10. 정신질환자를 왜 경찰이 대응할까? /135
11. 경찰관은 왜 살인범보다 주취자를 더 무서워할까? /147
12. 화약기술, 임진왜란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그리고 경찰 /155
13. 정치경찰인가 국가경찰인가?: 정보경찰의 딜레마 /165
14. 대한민국에 911테러가 발생한다면? /173
15. 도시와 경찰: 집회 · 시위부터 CPTED까지 /182
16. 초고령 농촌과 경찰 /199
17. 고향은 경찰에게 더욱 각별하다. /208
Part 3. 경찰 재설계 /215
[Justice and Police, Repositioning]
18. 이론과 현실의 간극: 법과 경찰 /217
19. 견제와 균형, 인권보장의 지름길: 수사권 조정 / 221
20. 자치경찰과 국가경찰, 그 효율적 배분에 대하여 /235
21. 하라는 건가요, 말라는 건가요?: 경찰과 매뉴얼 /243
Part 4. 경찰, 그 본질과 메커니즘 /251
[Police Basis and Mechanism]
22. 공포의 대상에서 찌그러진 공권력까지 /253
23. 경찰 시대 변화에 맞게 성장하다: 경찰에 대한 인식의 변화 /270
24. 핵심 개념을 알아야 전략이 나온다: 경찰 개념과 경찰권 배분 /277
25.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 승진 /285
26. 경찰이 무서워하는 또 다른 그대: 언론 /294
27. 검사 · 판사보다 더 두려운 감찰 /305
28. 말할 수 있어야 조직이 성장한다: 경찰과 토론 /313
29. 봉사와 헌신 그리고 인간관계: 협력단체 /321
Part 5. 경찰발전을 위한 6가지 제언 /327
30.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권력으로 /329
에필로그 나의 운명이자 영원한 연인(戀人), 경찰 /336
저자소개
책속에서
“당시의 수사방식은 과학수사라기 보다는 가학(加虐)수사, 즉 학대를 가하는 수사방식, 고문이 사용되던 시기였다.” - 화성 연쇄살인사건 중
“정부는 특히 1차적으로 사건에 개입하는 경찰만 몰아치면 해결되는 줄 안다. 과연 그러한 사고로 조사과정상의 트라우마를 잠재울 수 있을까?” -미투사건 중
“자신들의 판결로 인해 현장에서 법집행이 어떻게 왜곡되고 어떤 결과가 초래되는 지에 대한 깊은 고민과 성찰이 부족한 판결들이 있다.” -가정폭력 현장대응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