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3690804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1-05-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1장 무엇이 문제인가
2장 백신 이해하기
3장 백신이 없었던 세상
4장 최초의 백신
5장 최초의 백신 거부 운동
6장 백신 개발과 발달 과정
7장 20세기의 백신 거부 운동
8장 백신의 자폐증 야기 논란
9장 웨이크필드의 논문으로 촉발된 백신 논쟁
10장 과학 부정의 모든 기준을 충족하는 영화 〈백스드〉
11장 “조금 늦어져도 괜찮아!”
12장 티메로살의 위험성 논쟁
13장 비효과적이고 때로는 위험한 ‘대안’
14장 소셜 미디어의 파급력: ‘가짜 뉴스’를 중심으로
15장 집단의 견해가 더 확고해지는 이유
16장 종교적 신념이냐, 공중보건이냐
17장 ‘빅 파마’와 음모론에 대하여
18장 2018년과 2019년의 백신 거부 운동
19장 좋은 정보를 퍼뜨리며 본보기가 되는 사람들
20장 그들은 누구인가
21장 백신을 거부하는 부모들
22장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을 바꾼다
결론
역자의 말
감사의 말
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백신은 스스로는 질병을 일으킬 수 없는 면역 생성 구조를 신체에 넣음으로써 작동한다. 그것은 죽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조각일 수도 있고, 독성이 약한 생물체의 변형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인간을 감염시킬 수 없는 관련 생물체일 수도 있다. 이것들은 기억 B세포를 만들지만 질병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사이의 혼동이라는 방식을 통해 특정 도시에서 홍역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한 것을 백신 접종 탓으로 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통계 정보를 잘못 전달하는 동일한 수단들을 현대의 백신 거부 운동가들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들이 백일해 백신 접종과 신경학적 장애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주장에 반응하는 방식에서 한 가지 패턴이 나타났다. 백신에 반대하는 언사들이 있었지만 공중보건 관계자들은 강력한 질병 감시를 유지하고, 대중을 안심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했으며, 강력한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유지했다. 백일해는 돌아오지 않았다. 보건 당국이 의심을 품고 백일해 백신 접종을 포기하고 항복한 국가에서는 백신 접종률이 떨어지고 전염병도 발생했다. 일단 예방접종이 재개되면 발병은 중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