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생산/품질/물류관리
· ISBN : 9788993692075
· 쪽수 : 418쪽
· 출판일 : 2010-02-06
책 소개
목차
01소매매입 개요
제1절 소매 매입의 의미 13
1-1 마케팅의 중요성 13
1-2 소비자 수요 예상 16
1-3 매입 기능과 바이어 21
제2절 매입관리와 바이어 24
2-1 매입 업무관리 24
2-2 매입 업무조직 및 관리 27
제3절 바이어(Buyer) 자격 33
3-1 바이어 직무 33
3-2 바이어의 평가와 동기부여 42
02바이어(Buyer) 역할
제1절 바이어의 역할과 책임 47
1-1 바이어 역할 및 기능 47
1-2 바이어의 의무와 책임 51
1-3 바이어의 결정 요인과 매입 프로세스 54
제2절 전문화와 시험 58
2-1 사양서 58
2-2 표준화와 실험 60
2-3 매입 조직과 직무 65
제3절 소매상품 관리 68
3-1 소매상품의 개념 68
3-2 소매상품 관리역할 70
3-3 상품 관리의 전략적 역할 72
3-4 상품 범위의 전략적 역할 74
3-5 소매상품 관리의 유효 범위 77
03체인스토어와 전문백화점 바이잉
제1절 체인스토어 바이잉 79
1-1 체인스토어의 확장과 바이잉 79
1-2 체인스토어의 바이어 자격 82
1-3 체인스토어의 매입 조직 86
1-4 비식품 체인스토어 바이잉 89
1-5 식품 체인스토어 바이잉 89
제2절 전문백화점 바이잉 90
2-1 전문점 백화점 바이어 90
2-2 패션 바이어(Fashion Buyer) 92
2-3 성공적인 바이어 자격 94
Buyer Key Point 97
제3절 네트워크 바이잉(Network Buying) 98
3-1 네트워크 바이잉의 변화 98
3-2 카탈로그 소매 99
3-3 홈 네트워크 바이잉(Home Network Buying) 104
3-4 네트워크 바이어의 의무와 책임 105
Network Buyer Key Point 106
04매입사무소(Buying Office)
매입사무소(Buying Office) 107
제1절 독립 매입사무소 108
1-1 독립 매입사무소 역할 108
1-2 독립 매입사무소 기능 109
1-3 독립 매입사무소의 중요성 110
1-4 매입사무소의 전문성과 통합 112
1-5 상품 개발과 수입 프로그램 114
제2절 공동 매입사무소 115
2-1 공동 매입사무소 115
2-2 연합 매입사무소 119
2-3 매입사무소 운영 120
2-4 매입사무소의 미래 121
2-5 조합식/연합식 집중 매입 123
제3절 매입/매출 사이클 126
3-1 매입 126
3-2 재고 유지 127
3-3 가격 정책 129
3-4 판매 130
3-5 계획수립과 통제 131
05소비자 수요 예측
제1절 수요 예측 135
1-1 소비자 수요 예측 135
1-2 소비자 동기 139
제2절 소비자 정보 143
2-1 매입에 중요한 소비자 정보 143
2-2 인구통계 및 소비자 생활양식 측정 149
2-3 가족 현황 153
제3절 선택 요인 156
3-1 소비자의 선택 요인 156
3-2 소비자 교육 : 브랜드 상품 159
06매입계획과 매입모델
제1절 매입계획 163
1-1 매입계획 설정 163
1-2 매입계획 단계 165
제2절 저회전 패션과 계절상품 매입계획 177
2-1 저회전 패션과 계절상품 177
2-2 일일방식 매입 179
3-3 계절성 181
제3절 모델 재고와 매입계획 데이터 185
3-1 모델 재고와 매입계획 185
3-2 고객의 수요 예측 고려사항 189
07매입 조건과 가격 협상·협약
제1절 매입 조건 193
1-1 매입 협약 193
1-2 협약 조항 197
1-3 협약시 고려사항 201
제2절 가격 협상과 협약 205
2-1 가격 협상 205
2-2 가격 협상 요인 207
2-3 가격 협약 요인 218
제3절 거래 계약 219
3-1 거래 방법의 기본 219
3-2 거래 계약 224
08매가관리와 매입관리
제1절 매가관리 229
1-1 매가의 의의와 구조 229
1-2 매가의 영향 요인 231
제2절 가격 수준 전략 239
2-1 가격 수준 전략 239
2-2 매가 설정 241
2-3 특수 매가 243
2-4 매가 조정 245
제3절 매입관리 248
3-1 매입관리 기술 248
3-2 매입처 선정·개발과 관계개선 251
3-3 품목 선정과 품목별 매입수량 결정 253
3-4 매입 조건 결정 260
09디스카운트 바이잉
제1절 디스카운트 바이잉(Discount Buying) 263
1-1 디스카운트(Discount)란? 263
1-2 디스카운팅 원인 266
1-3 할인가격 상품 268
제2절 할인가격 상품매입 272
2-1 할인가격 상품 272
2-2 할인가격 상품매입 275
2-3 원료의 중요성 280
제3절 매입 상담 282
3-1 매입 조사·방문 계획 282
3-2 매입의 실제 287
3-3 매입 정보 입수 292
10의류 패션 상품구성
제1절 판매 계획 : 선택 요인 297
1-1 상품구성 계획 297
1-2 가격 범위 301
1-3 수요 머천다이징 302
제2절 사이즈 맞음(Fit) : 선택 요인 305
2-1 피트(Fit) 상품구성 305
2-2 패션 상품의 구성 콘셉트 312
제3절 패션 사이클 머천다이징 315
3-1 패션 상품의 라이프사이클 315
3-2 패션 계절의 단축 316
?Fashion Calendar 319
3-3 패션 매입 사이클 320
3-4 패션브랜드 상품매입 322
11OTB(Open-To-Buy)
제1절 일반적 매입 원칙 325
1-1 탑-다운 방식 대 바톰-업 방식의 계획 325
1-2 계획의 조정 328
1-3 일반적인 상품 계획 328
제2절 OTB(Open-To-Buy) 332
2-1 OTB 시스템 332
2-2 표준화 상품 분류 337
2-3 재고 회전과 투자의 생산성 340
제3절 생필품 재고통제 342
3-1 재고통제 342
3-2 지속적 보충 절차 344
3-3 생필품 재고통제 시스템 351
12PB 차별화와 품목구성
제1절 브랜드 차별화 357
1-1 브랜딩을 통한 차별화 357
1-2 PB(Private Brand) 소매업의 단점과 도전 361
제2절 품목구성 368
2-1 품목구성의 원칙 368
2-2 넓이 결정 요인 372
2-3 증가된 넓이의 생산성 374
2-4 넓이 결정과 SKU(Stockeeping Units) 폭발 379
제3절 수요 고정성 382
3-1 깊이 요소 382
3-2 상대적 수요의 고정성 결정 영향 383
3-3 정책(Policy)의 선택 387
13글로벌 소싱(Sourcing)과 매입
제1절 해외상품 매입 391
1-1 해외상품의 중요성 391
1-2 해외상품과 주요국의 동향 395
1-3 해외상품 매입과 소비자 반응 397
제2절 해외상품 매입 소싱(Sourcing) 400
2-1 해외상품 매입 방법 400
2-2 해외상품의 장·단점 401
2-3 해외상품 매입 403
제3절 글로벌 매입 전망 408
3-1 해외상품 매입의 문제점 408
3-2 관세와 관련 비용 412
3-3 해외 바이어 자격 415
3-4 글로벌 소싱(Global Sourcing)의 전망 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