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재즈
· ISBN : 9788993818666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4-10-06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_ 노래가 없다면
1장 냇 킹 콜 [The Very Best of Nat King Cole 베리 베스트 오브 냇 킹 콜]
어느 왕의 흥망성쇠 _ 재즈, 스탠더드 팝 그리고 R&B
2장 다이나 워싱턴 [다이나 워싱턴의 결정판 The Definitive Dinah Washington]
혁명 이후에 권좌에 오른 한 여왕의 이야기 _ 블루스, 재즈 그리고 로큰롤
3장 루이 암스트롱 [루이 암스트롱, W. C. 핸디를 연주하다 Louis Armstrong plays W. C. Handy]
재즈 보컬, 그 원형질의 탄생 _ 블루스로 빚어낸 재즈의 고전
4장 빌리 홀리데이 [레이디 데이: 베스트 오브 빌리 홀리데이 Lady Day: The Best of Billie Holiday]
열아홉 살 소녀의 마술 _ 재즈 보컬의 완전한 독립
5장 엘라 피츠제럴드 [버드랜드의 자장가들 Lullabies of Birdland]
160소절의 즉흥노래는 어떻게 가능한가 _ 모던재즈 시대 보컬의 비약적인 발전
6장 세라 본 [세라 본 Sarah Vaughan]
새시, 그녀는 도도하다 _ 1950년대 여성 재즈 보컬리스트의 초상
7장 램버트, 헨드릭스 앤드 로스 [베이시의 노래를 부르다 Sing a Song of Basie]
재즈의 명연주여, 영원하라 _ 보컬리즈 혹은 재즈 예찬
8장 레이 찰스 [천재 레이 찰스 The Genius of Ray Charles]
꿈의 실현 _ R&B 스타가 완성한 완벽한 재즈 앨범
9장 멜 토메 [집으로 가는 중이야 Comin’ Home Baby!]
모든 게 ‘벨벳’은 아니었다 _ 신동 출신 뮤지션의 ’60년대 투쟁기
10장 존 콜트레인과 자니 하트먼 [존 콜트레인과 자니 하트먼 John Coltrane & Johnny Hartman]
누가 자니 하트만을 모함하는가 _ 감미로움 뒤편의 고독한 발라드
11장 카멘 맥레이 [카멘, 멍크를 부르다 Carmen Sings Monk]
고독하게 하지만 담담하게 _ ‘재즈의 목소리’는 어떻게 완성되었나
12장 바비 맥퍼린 [목소리 The Voice]
전대미문의 무반주 재즈 보컬 _ 한 사람의 목소리는 어떻게 밴드 사운드를 낼 수 있는가
맺음말을 대신해서 _ 정말 재즈를 듣고 계신가요?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만약 당신이 여기에 소개된 노래 가운데서 어떤 곡을 하루를 마무리하며 듣는 음악으로 간직한다면, 혹은 홀로 가는 여행길에서 이 노래를 듣게 된다면, 그러니까 당신이 이들의 노래 중에서 어느 한 곡을 친구로 삼게 된다면, 이 보잘 것 없는 책은 자신이 맡은 역할을 200퍼센트 이상 해낸 것일 게다. 필자는 재즈 보컬 넘버를 들으며 하루를 마무리하는 당신의 모습을 가끔씩 상상하며 이 책을 써 나갔다. 이 책에 담긴 글들은 비록 무딜지라도 이 책이 소개하는 노래만큼은 충분히 당신을 사로잡을 만큼 뛰어나다. 이 책의 주인공들은 누가 뭐래도 불멸의 재즈 가수들이니까.
이 책이 꿈꾸는 소박한 목표는 물론 《당신의 첫 번째 재즈 음반 12장 _ 악기와 편성》과 마찬가지로 당신이 재즈와 가까워지는 것이다. 《당신의 첫 번째 재즈 음반 12장》의 기본적인 질문이 ‘재즈를 어떻게 들을 것인가’였다면 이 책은 ‘재즈란 어떤 음악인가’란 물음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까 어떤 면에서 이 책은 《당신의 첫 번째 재즈 음반 12장》이 던진 질문보다 더 기초적인 질문일 수도 있다. 그래서 만약 당신이 《당신의 첫 번째 재즈 음반 12장》을 읽지 않은 채 이 책을 우연히 손에 쥐었다고 하더라도 별 문제가 없다. 그러니까, 이 책에서 소개한 12장의 음반은 실제로 당신의 첫 번째 재즈 음반 12장이 되어도 무방하다. 일반적인 취향을 고려한다면 아무래도 재즈 보컬 음반은 재즈 연주음반보다 많은 사람들의 취향에 보다 편안히 다가갈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이 보컬 음반만을 고른 것은 단지 다수의 취향 때문만은 아니다. 그 보다는 보컬 음반이야말로 재즈의 성격을 가장 선명하게 전달해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었다. 아무리 재즈가 기악 연주를 통해 발전한 음악이라고 하더라도 20세기 미국 대중음악은 당연히 보컬을 중심으로 발전, 분화해 나갔다. 그렇기 때문에 그 안에 있는 재즈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재즈에서의 노래와 다른 음악에서의 노래를 비교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나는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