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3941517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1-12-01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한국어판 서문)
'세계교양'으로의 초대(추천사_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장경섭)
프롤로그: 태초에 세계가 있어...
서문: 인류와 그들의 세계
1장. 우리는 왜 현재의 우리가 되었는가: 현대 세계의 사회문화 지질학
문명의 반석
중국권 문명
인도권 문명
서아시아 문명
유럽 문명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문명
가족-성-성역할 체계
동아시아 유교 가족
남아시아 힌두 가족
서아시아/북아프리카 이슬람 가족
유럽 기독교 가족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가족 체계들
동남아시아 다원적 종교 가족
아메리카 크리올 가족
여섯 가지 세계화 조류와 그 퇴적층들
세계적 종교 및 문명의 경계선 형성 (4~8세기)
유럽의 식민주의 (16~17세기 초)
프랑스-영국 대전 (1750~1815) 그리고 유럽 초강대국의 출현
제국주의의 보편화, 그리고 개발 및 저개발 개념의 등장 (1830~1918)
정치의 세계화 (1919/1941/1947~89)
세계화의 독단과 변화하는 그 의미 (1990~?)
근대성의 경로
유럽의 내생적 경로
신세계의 타자화(他者化) 경로
식민지의 외상성(外傷性) 경로: 침입자와의 동화, 그리고 반란
반응적 근대화의 경로: 적응의 시초와 결말
복합적 경로들: 특히 러시아와 중국
근대성의 경로가 남긴 유산들
근대적 민족의 여러 양태
대의정부와 대의권
근대세계의 종교의 운명
기회의 창
2장. 세계의 역학: 인류의 진화와 그 동력
생계양식: 자본주의 및 여타 체제들의 성쇠
인구 생태, 그리고 근대의 생태적 해방의 결말
존중과 인정의 민족적, 종교적, 성적 역학들
집단권력의 정치: 국가의 신격화
문화: 모더니즘의 세계화, 가속화, 그리고 시련
역학의 작용 채널
세계적 과정
흐름 ○새로운 교역 형태들 ○자본 흐름과 국제 카지노
○인구 흐름 ○정보 및 문화의 흐름 ○물질의 흐름
세계-국가적 얽힘
세계적 행동
국가적 과정
분배: 세계적, 국가적, 그리고 국가 내부적 과정
3장. 현재의 세계무대
무대 배경: 세계의 공간
거물급 배우들
민족국가들의 고르지 못한 기반
기업들
선교와 운동들
4장. 지구에서의 우리 시대: 생애과정
출생과 생존
유년기
학교교육
노동
청년기: 성과 문화
청년 세계의 성적 지형도
광범위한 아프리카의 성관습
아시아의 방식: 통제 또는 신중
크리올의 불평등
네 가지 '서구' 변형들 ○초기 및 비공식적 성에 대한 북서유럽 패턴 ○남유럽 양육 가정의 그늘
○동유럽의 짧은 성적 자유 ○결혼 및 미혼에 대한 미국의 이중성
결혼, 그리고 청년기의 끝
성년기
생계 꾸리기 1: 노동의 계급들
21세기 자본주의의 계급 형성
생계 꾸리기 2: 부자와 빈자
성년의 즐거움: 여가와 소비
지배적 또는 비지배적 세대
노년기
은퇴와 연금
동거 형태
21세기의 이상적인 생애과정
죽음 그리고 이후
결론. 우리는 어떻게 여기에 왔는가, 그리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
우리는 어떻게 여기에 왔는가?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책속에서
"세계는 움직이고 있습니다. 길을 잃지 않으려면 사회의 지도와 가치관의 나침반이 필요합니다." - p. 7 '한국의 독자들에게'
여기서 말하는 세계화 조류란 중요한 사회적 진전이 확장, 가속, 심화되는 과정으로, 적어도 (전세계는 아니더라도) 하나의 대륙을 넘어 뻗쳐나가고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러한 확장·가속·심화의 과정은 시기에 따라 구분 지을 수 있다. 어떠한 조류가 일어나고 퍼져나가고 잠잠해진다고 해서, 반드시 그에 따른 진전과 관행과 믿음들이 발생하거나 사라진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조류를 일으키는 물은 언제나 거기에 있다. 나는 현대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여섯 가지의 조류들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 p. 89 '여섯 가지 세계화 조류와 그 퇴적층들'
미국의 민족적 영웅인 조지 워싱턴만큼 미국 정치문화의 이 커다란 틈을 잘 표현한 사람은 없다. 독립전쟁 중에 미국 주재 마지막 영국인 주지사가 영국군에 지원하는 노예들은 해방시켜주겠노라 약속하자, 이를 전해들은 워싱턴은 그를 '인간의 권리에 대한 최고의 배신자'라고 불렀다. 미국 내전에서 노예제를 고수한 남부군이 패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인종차별 없는 보통선거가 확립된 것은 1968~1970년의 선거에서였다. 독립 이후 거의 두 세기나 지난 일이다. - p. 158 '근대성의 경로가 남긴 유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