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88993985337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0-10-2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기후변화와 먹을거리
더워지는 지구에서 일어나는 일
기후변화의 여섯 가지 시나리오
기후변화 시대, 어떻게 살아야 할까
기후변화가 먹을거리에 미치는 영향
먹을거리 생산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 먹을거리의 대이동! 지구 온난화가 바꾼 밥상
★ 바이오 연료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먹을거리는 어떻게 생산될까
먹을거리의 일생과 밥상의 위기
먹을거리의 세계일주
세계 식량 시장을 지배하는 곡물 기업들
유전자 변형 식품의 비밀
★ 할머니, 어렸을 적에 뭐 드셨어요?
★ 내가 먹은 점심, 얼마나 멀리서 왔을까
★ 먹을거리 빙고
가까운 먹을거리
먹을거리 발자국을 줄여라
밥상 위의 지구 살림, 가까운 먹을거리
감귤과 오렌지, 무얼 고를까
★ 먹을거리 OX 퀴즈
★ 가까운 먹을거리를 고르면
★ 콩 먹을까, 콩 먹은 소 먹을까
밥상에서 온실가스를 줄이는 법
먹으면서 줄여볼까요
장보면서 줄여봅시다
좀더 열심히 줄여보세요
★ 주전자에서 콩나물이 쑥쑥
★ 햇님이 구운 달걀
★ 내가 만약 시장이라면
★ 꼬리에 꼬리를 무는 먹을거리 발자국 줄이기 마인드맵
도움 자료
책속에서
13억 마리의 소가 연간 1억 톤의 메탄을 만들어내니, 소의 트림이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라는 말도 틀린 말이 아닙니다. 2006년 유엔이 발표한 <가축의 긴 그림자(Livestock’s Long Shadow)>라는 보고서는 축산업이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8퍼센트를 차지해 14퍼센트인 자동차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했습니다. 목축과 콩, 옥수수, 보리 같은 사료 작물을 기르느라고 숲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세계 농지의 70퍼센트가 사료 작물을 재배하는 데 사용된다고 합니다. 고기 454킬로그램을 생산하려면 같은 양의 두부 같은 식물성 단백질보다 여덟 배나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유럽연합의 경우 전체 농지의 75퍼센트가 가축 먹이를 키우는 농업에 쓰이고 있습니다. 전세계에서 굶주리는 사람이 8억 5000만 명에 이르는데, 전세계 곡물의 3분의 1을 소가 먹어치우고 있는 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육식을 줄이는 것도 지구 온난화를 막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오스트레일리아 다윈에서 수입한 쇠고기는 배로 6023킬로미터를 이동해 트럭에 실려 대형 할인마트로 오고, 사람들은 자동차를 끌고 마트에 가서 쇠고기를 삽니다. 이렇게 산 쇠고기로 불고기를 만들면서 5371킬로미터를 이동한 인도네시아 후추와 594킬로미터를 이동한 중국산 고춧가루를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불고기 한 접시에 담긴 음식 재료와 조미료가 이동한 거리를 다 합하면 지구를 한 바퀴 돌게 될지도 모릅니다. 한국의 식량 자급률은 25퍼센트입니다. 우리 밥상에 오르는 식품의 75퍼센트가 수입산인 거죠. 쌀의 자급률을 빼면 식량 자급률은 5퍼센트밖에 안 됩니다. 먹을거리를 외국에 너무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오렌지를 먹을까 감귤을 먹을까 고민한다면, 먹을거리 발자국을 한 번 계산해봅시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생산된 오렌지는 트럭을 타고 롱비치 항구로 운송되고, 거기서 배로 한국으로 들어온 뒤, 다시 시장이나 마트로 운송돼 우리가 먹을 수 있습니다. 서울을 최종 목적지로 할 때 오렌지 5킬로그램이 이런 과정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1341그램 정도지만, 제주산 감귤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459그램밖에 안 됩니다. 만약 우리가 제주산 감귤을 먹는다면 온실가스를 882그램이나 줄일 수 있는 겁니다. 온실가스 882그램은 텔레비전을 스물두 시간 보지 않고, 자동차 공회전을 38분이나 하지 않을 때 줄일 수 있는 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