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논어정독

논어정독

부남철 (엮은이)
푸른역사
27,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750원 -10% 0원
1,370원
23,3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16,3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16개 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논어정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논어정독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88994079134
· 쪽수 : 656쪽
· 출판일 : 2010-04-03

책 소개

동양고전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논어’가 고리타분한 해석, 알 수 없는 한자음, 시대착오적인 도덕적 훈계, 심지어 오자와 탈자가 넘쳐나고 있다. 이에 부남철 교수는 우리말로 제대로 읽을 수 있도록 옮기고 써서 정밀한 ‘논어’ 역주서를 출간했다. 저자는 <조선시대 7인의 정치사상>을 출간한 바 있는 조선시대 정치사상을 전공한 정치학자다. 그는 정치학의 관점에서 ‘논어’에 담겨 있는 무거운 사상적 쟁점들을 일반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평이하게 풀어냈다.

목차

제일第一 학이學而
제이第二 위정爲政
제삼第三 팔일八佾
제사第四 이인里仁
제오第五 공야장公冶長
제육第六 옹야雍也
제칠第七 술이述而
제팔第八 태백泰伯
제구第九 자한子罕
제십第十 향당鄕黨
제십일第十一 선진先進
제십이第十二 안연顔淵
제십삼第十三 자로子路
제십사第十四 헌문憲問
제십오第十五 위령공衛靈公
제십육第十六 계씨季氏
제십칠第十七 양화陽貨
제십팔第十八 미자微子
제십구第十九 자장子張
제이십第二十 요왈堯

저자소개

부남철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제주도에서 태어나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정치사상을 전공하여 정치학 박사학위(1990년)를 받았다. 전통서당인 유도회(儒道會) 한문연수원의 동양고전 교육과정(3년)을 수료했다. 서울교육대, 인천대, 충남대, 한국외국어대에서 강의를 했으며, 영산대학교의 학장, 동양문화연구원장을 역임했다. 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주로 논어, 맹자, 대학, 중용을 비롯한 동양고전과 정치학을 강의하고 있다. 1996년에 『조선시대 7인의 정치사상』을 저술했고, “정도전의 유교국가론과 『주례』”, “조선건국 이후 불교 승려의 정치의식과 행동”, “한국정치사상의 현황과 과제”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사회과학으로서의 정치학과 전통적인 한국사상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면서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또한 1997년부터 현재까지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의 교사와 시민을 위한 인문학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동양고전을 강의하고 있다. 2010년에 『논어정독』을 저술했고, 이어서 2019년에 『맹자정독』을 냈다. 이번에 나오는 『대학중용과 용학보의』까지, 오랫동안 주로 논어, 맹자, 대학, 중용을 강의하고 역주하는 작업에 전념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공자는 자리에 대한 욕심보다는 소신을 갖고 일하려고 했기 때문에 관직을 얻지 못했다. 정상적인 군주는 그를 써줄 힘이 없었다. 그럴 힘이 있는 군주는 영토 확장에 관심이 있었다. 반란으로 권력을 잡은 통치자가 공자에게 같이 국정을 운영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렇게 어지러운 현실정치의 상황에서 일할 수 있는 자리와 기회를 찾아 천하를 돌아다닌 공자를 그 시대의 비판적인 지식인들은 “안 되는 줄 알면서 하려고 애쓰는 사람”이라고 조롱했다. 더럽고 위험한 현실의 정치판에서 생각이 있는 지식인 대부분이 재야에 물러나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도 공자는 현실의 정치를 외면하지 않았다.


자공이 말했다. “가난해도 아첨하지 않으며 부유해도 교만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데, 어떻습니까?” 선생님이 말씀하셨다. “그래도 괜찮다. 그러나 가난해도 가난을 의식하지 않고 편안하게 즐기고 부유하면서 예禮를 좋아하는 사람보단 못한 것이다.”


자공은 가난할 때 비굴하지 않았고 부자가 된 다음에는 교만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자공은 할 만큼 했다고 자부하고 자신의 노력에 대해 말했다. 공자는 자공의 노력을 인정했다. 그러면서 가난함과 부유함 그 자체를 의식하지 않는 자연스런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