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91198240927
· 쪽수 : 590쪽
· 출판일 : 2023-08-10
책 소개
목차
서문
『대학』과 『중용』을 이해하는 예비개념 ___ 12
대학장구 서문 ___ 26
『대학』을 읽는 방법 ___ 31
대학장구 ___ 40
중용장구 서문 ___ 92
『중용』을 읽는 방법 ___ 98
중용장구 ___ 102
『용학보의(庸學補疑)』 소개 ___ 204
『용학보의』 서문 ___ 206
『용학보의』 상(중용) ___ 210
『용학보의』 하(대학) ___ 414
『용학보의』 편집자(송병순)의 서문 ___ 578
『용학보의』 발문 ___ 580
참고문헌 ∙ 583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학>과 <중용>의 핵심은 ‘군자지도(君子之道)’ 4글자였다. 그것은 하늘이 사람에게 올바르게 사는 도(道)를 부여했으니, 군자는 이 세상 어디에도 없는 곳이 없는 그 도를 항상 의식하며 성실하게 공부하는 인격자가 되라는 말이다. 이 개념을 열쇠로 삼고서, 난해한 고전으로 알려진 <대학>과 <중용>의 닫힌 문을 열려고 시도했다. <대학>과 <중용>은 군자라고 자부한다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삶의 나침반과 같은 책이다.
ㅡ 역주자 서문에서
<대학>과 <중용>이 어려운 책이라서 맨 앞에 처음 읽는 독자를 위해 중요 개념을 쉽고 간략하게 해설한 부분을 두었다. 그런 다음에 이 책의 중심인 <대학>과 <중용> 본문이 있는데, 여기에 집중하면서 읽다가 난해한 개념이나 막연한 문장을 만날 때 뒤에 있는 <용학보의>를 사전처럼 참고하면 된다.
ㅡ 역주자 서문
이(理)는 (어떤 목적으로 쓸) 가장 이상적인 설계도에 대한 구상이고, 도(道)는 (그런 집을 짓기 위한) 구체적인 (그러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설계도이고, 그런 설계도 그대로 시공(施工)하는 것은 사람이 할 일인 것이다. 그러니 이(理)와 도(道)는 각각 따로 존재하는 2개의 물건이 아니고 항상 붙어 다니는 것이다.
ㅡ 대학 중용을 이해하는 기초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