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94111117
· 쪽수 : 1157쪽
· 출판일 : 2009-11-25
목차
제1장 인사관리
Ⅰ. 인사고과제도의 역할과 고과요소 33
1. 인사고과의 역할과 문제점 33 / 2. 인사고과의 특성 36
3. 인사고과에 있어서 평가내용 37
(1) 능력평가 37 / (2) 집무태도평가 38 / (3) 업무평가 39
(4) 성격판별 40
4. 직능고과 흐름과 내용의 설계 40
(1) 직능고과의 흐름 40 / (2) 직능고과 내용의 설계 41
(3) 본부내 균형의 조정 48 / (4) 전사 바란스의 조정 51
5. 인사고과제도의 매뉴얼 모델 51
Ⅱ. 인사고과 기준과 요소의 선정 79
1. 인사고과기준의 설정 79 / 2. 인사고과 요소의 설정과 결정 92
3. 인사평가요소의 영역과 평가항목의 비중 96
4. 인사고과요소의 분석 102 / 5. 인사고과요소의 착안점 112
6. 인사고과규정사례 134
Ⅲ. 자기신고제와 인사고과의 조정 156
1. 인사고과의 공정을 확보하기 위한 조정 156 / 2. 조정의 방법 156
Ⅳ. 인사고과표 작성과 모델 177
1. 인사고과표의 작성 177 / 2. 사무직인사고과표의 작성 178
3. 영업직 인사고과표의 작성 184 / 4. 판매원 인사고과표의 작성 187
5. 기능직 인사고과표의 작성 190 / 6. 전문직의 인사고과표의 작성 193
7. 연구직의 인사고과표의 작성 196 / 8. 일반사원의 인사고과표 199
9. 일반사원(초급) 인사고과표 201 / 10. 일반사원(중급) 인사고과표 203
11. 관리직 인사고과표 205
Ⅴ. 목표관리제도의 인사고과 213
1. 목표설정의 필요성 213 / 2. 고과자의 역할과 책임 214
3. 목표관리설계와 운영 215
(1) 목표관리의 도입과 문제점 215 / (2) 목표설정의 방법 215
(3) 목표달성의 관리 216 / (4) 면접을 활용과 결과의 평가 216
Ⅵ. 기업목표와 BSC(밸런스스코어카드)의 설계?운영 240
1. 밸런스스코어카드의 의의 240
(1) 밸런스스코어카드의 개념(BSC) 240 / (2) BSC등장의 배경 241
(3) BSC의 기본콘셉트 241 / (4) BSC의 매릿 242
2. 밸런스스코어카드 구축의 스텝 243
(1) 전체적인 프레임워크 243 / (2) 재무의 시점 244
(3) 고객의 시점 245 / (4) 업무프로세스의 시점 246
(5) 학습과 성장의 시점 247
3. 밸런스스코어카드의 성장과 전략적 활용 248
(1) BSC의 성장 248 / (2) BSC의 지표와 활용 250
Ⅶ. 인사고과에 관한 Q&A 255
Ⅷ. 컴피턴시 평가제도에 의한 능력평가와 매뉴얼 275
1. 컴피턴시의 정의 275
(1) 컴피턴시(Competency)라는 말의 유래 275
(2) 컴피턴시의 정의 275 / (3) 컴피턴시의 구조 276
2. 컴피턴시(Competence)의 특징 277
(1) 특정의 직무와 관련 277 / (2) 성과지향 278
3. 컴피턴시?매니지먼트의 도입 278
(1) 도입스텝 278 / (2) 컴피턴시모델의 작성 279 / (3) 조사?분석 280
4. 컴피턴시 평가제도의 설계 282
5. 컴피턴시 매니지먼트의 도입상의 유의점 283
6. 컴피턴시와 직능자격제도 292
(1) 잠재와 현재의 차이 292 / (2) 평가기준의 차이 293
7. 컴피턴시에 의한 제도의 수정 293
(1) 컴피턴시로 제도를 수정하는 매릿 293
(2) 컴피턴시로 제도를 수정하는 매릿 294
8. 인사평가제도와의 연동 294
(1) 컴피턴시의 선택 294 / (2) 평가레벨의 설정방법 295
9. 운영상 주의할 점 297 / 10. 평가제도이외의 컴피턴시의 활용 297
(1) 채용에의 활용 298/ (2)교육에의 활용 298 /(3) 임금에의 활용 298
제2장 업적?성과에 의한 인사고과와 임금제도
Ⅰ. 목표관리와 업적고과의 설계 및 평가 341
Ⅰ-1. 업적책임제도의 도입과 평가 341
1. 업적책임의 제도 341
(1) 성과주의에의 의무 341 / (2) 독자성?독창성의 확립 342
(3) 업적책임제도의 목표 343
2. 업적책임제도의 기본프레임 343
(1) 새로운 인사제도의 기축=업적책임=역할 343
(2) 경영프로세스의 정리 344
(3) 조직계층을 기점으로한 인사기본프레임의 설계 346
(4) 각 블록의 역할의 정리 347
Ⅰ-2 목표관리제도(MBO) 355
1. 목표관리제도의 의의 355 / 2. 목표관리제도의 내용 355
3. 실행의 포인트 356 / 4. 급여?상여의 반영 356
(1) 목표의 난이도레벨의 설정 356 / (2) 목표사이의 웨이트배분의 설정 357
(3) 목표달성에 대한 평가기준의 설정 357
5. 신입사원의 목표 관리 358 / (1) 목표기준의 설정 358
(2) 근거가 되는 것은 ?업무의 원리원칙? ?조직의 요구기준? 358
(3) 실천화 포인트 359
Ⅰ-3 부문관리 ? 업적고과의 설계 360
1. 업적고과 기준의 작업 360
(1) 업적고과 항목?요소의 설정 360(2) 업적고과 항목?요소간의 비중설정 362
(3) 업적고과기준의 구체적 내용설계 362
(4) 업무의 결과에 관한 요소의 구체적 내용의 설계 362
(5) 업무자세에 관한 요소의 구체적 내용의 설계 364
(6) 업적고과표의 작성 365
2. 업적고과 과정의 설계 365 /3. 업적고과 내용의 설계 365
(1) 1차?2차 고과자의 결정 365 / (2) 1차 고과의 실시 366
(3) 2차 고과의 실시 366 / (4) 본부내 균형의 조정 366
(5) 전사균형의 조정 367 / (6) 각 부문에의 피드백 367
(7) 본인에의 피드백 367
Ⅰ-4 부문직?전문직의 업적평가와 설계 377
1. 부문업적평가 377
(1) 결정권(권한)이 없으면 책임을 부담할 수 없다 377
(2) 사업부의 이익책임의 결정 379 /(3) 배부경비와 직접경비의 구분 380
(4) 업적중시형 부문공헌이익의 개념 380 / (5) 배부기준을 정한다. 382
(6) 부문업적과 섹셔널리즘 385 / (7) 부문성과 배분 387
2. 전문직 평가의 사례 389 / (1) 전문직의 처우?보수 구조 389
(2) 전문직이라는 개념?위치의 변화와 캐리어파스 390
(3) 인정과 직책?역할 390
Ⅰ-5 평가제도의 개혁 394
1. 평가제도의 개혁 방향 394
(1) 제도개혁방안 394 / (2) 제도구축의 포인트395 / (3) 구체적인 스텝397
Ⅱ. 업적평가제도와 임금 417
1. 업적평가와 보상 417
(1) 업적평가 제도의 도입 417 / (2)영업방법을 변혁하는 평가제도 417
(3) 실력은 아나로그?성과는 디지털 418 / (4) 성과수치의 구분 418
(5) MAX?MIN 예측의 신축성 419
(6) 수치목표, 달성상태목표, 행동목표의 구분 420
(7) 역할에 따라 다르게 요구되는 실력의 내용 420
(8) 실력랭크별의 영업실력 이미지 420
(9) 시장의 차이에 따라 다른 영업스타일-?마드릭스영업, 4가지의 영역? 421 / (10) 4개의 영역으로 다른 평가척도 422
(11) 제도운영의 유연성 423 / (12) 보상제도를 성공시키는 포인트 424
2. 업적제도에 있어서의 임금 425
(1) 임금지불의 의미 426 / (2)기업과 개인의 가치교환관계의 변화 426
(3) 기업과 개인의 새로운 가치교환 관계의 확립의 필요성과 임금의 관계 427
3. 영업책임제도와 임금 427
(1) 역할의식에 의한 기업업적획득에의 공헌을 기준으로 하는 임금 427
Ⅲ. BSC(밸런스스코어카드)에 의한 성과주의 인사제도 435
1. BSC에 의한 성과주의 인사제도 435
(1) 성과주의인사의 현상 435 / (2) 성과주의와 결과주의 폐해 436
Ⅳ. 성과?업적에 의한 임금제도 448
1. 성과?업적에 의한 임금제도 448
(1) 의의 448 / (2) 성과주의 임금에서의 역할급 448
2. 성과?업적배분에 결부되는 임금 449
(1) 검토의 대상?범위 449 / (2) 인센티브로서의 업적급, 능률급 449
(3) 업적급과 능률급의 차이 450 / (4) 능률급 적용의 한정 450
(5) 업적급의 도입과 조건 451
3. 비관리직층의 업적급 452
(1) 검토대상의 종업원층 452 / (2) 임금항목과 구성비율 452
4. 관리?전문직의 업적급 452
(1) 성숙임금 452 / (2) 기본급의 구성 454
5. 신급여제도의 활용 454
(1) 연간급여기준액의 설정 454 / (2) 연간급여기준액의 구성 454
6. 연간급여기준액의 지급 455
(1) 연간급여기준액의 산정 455 / (2) 업적급의 결정 457
7. 업적급을 반영하는 경영지표 458
Ⅴ. 업적에 의한 상여제도의 설계와 운영 481
1. 상여의 성격 481
(1) 관습적 상여설 481 / (2) 임금후불설 481
(3) 업적보상설 481 / (4) 수익분배설 481
2. 상여의 배분 482 / (1) 상여의 부문, 업적배분 482 / (2) 부문업적배분상여482
3. 업적 상여제도 489 / (1) 기업업적의 반영패턴 489 / (2) 업적지표의 선택 490
(3) 업적과의 링크 493
4. 고객만족의 처우에의 반영 495
(1) 고객만족과 종업원평가와의 결부 495
(2) 고객만족을 경영목표에 결부 496 / (3) 고객만족을 정의한다. 496
(4) 종업원의 평가지표에 고객만족을 편성 497
(5) 평가지표의 설정(두가지의 예) 497
Ⅵ. 연봉제의 도입과 업적평가에 의한 임금의 결정 506
1. 연봉제의 도입배경 506
(1) 경영환경의 현저한 변화에 따라 관리직?전문직의 의식변화 506
(2) 인력구성의 중고령화에 대한 대응 506
(3) 경영조직에 있어서의 지나치게 많은 직책에의 대처 506
(4) 노동시장의 유동화에 따라 우수한 인재의 사외유출방지 506
(5) 저성장하에서의 인건비부담에의 대처 507
(6) 조직의 활성화 및 관리직 혁신 507 / (7) 기업경쟁력의 강화 507
2. 연봉제의 성립과 성공조건 507
(1) 성립조건 507 / (2) 성공조건 508 / (3) 도입의 전제조건 508
3. 연봉제도입의 의의 509
(1) 연봉제의 의의 509 / (2) 연봉제의 다양성과 특징 510
4. 연봉제도입의 목적 511
5. 연봉제도입의 기본 방향 513
6. 연봉제의 성격 517
(1) 임금관리 측면에서 본 연봉제의 성격 517
(2) 임금의 공정성 측면에서 본 연봉제의 성격 518
7. 연봉제의 유형 519
(1) 완전연봉방식 519 / (2) 연봉(연간월례급)+평가에 의한 상여방식 519
(3) 연봉(연간월례급+고정상여)+평가에 의한 상여(가산)방식 520
(4) 연수관리(年收管理)에 의한 연봉방식 520
8. 연봉제도입의 검토 521
(1) 연봉제운영의 수정 521 /(2) 연봉제도입이 실패한 원인의 규명 521
(3) 연봉제도입의 목적에 대한 이해 521
(4) 기업의 인사고과제도의 정착 522 / (5) 임금제도의 확립 523
9. 연봉제도입절차 525
10. 연봉제도입의 진행 527
(1) 연봉제의 성공조건과 구체적인 진행 527
(2) 월봉개정시스템의 설계 527 / (3) 월봉개정의 구체적인 진행 528
11. 연봉제의 구조 530
(1) 연봉제에서 검토할 항목 530 / (2) 적용대상자 531
(3) 연봉제의 형태 531 / (4) 연봉액의 수준과 기준 532
(5) 연봉의 지불방법 532 / (6) 연봉제의 이행방법 532
(7) 연봉액갱신방법 533
12. 연봉제의 운영 533
13. 연봉제의 설계 544
(1) 기본연봉과 업적연봉의 구준 544
(2) 기본연봉의 설계 545 / (3) 업적상여의 설계 551
14. 직무?직능연봉제의 설계 553
(1) 직능연봉, 직무연봉의 비율 결정 553
(2) 직책?순위별 직무연봉의 설정 553 / (3) 개별직능연봉의 산출 554
(4) 직능연봉의 상한?하한액의 설정 556/(5)이행시 개별연봉의 결정 556
15. 업적평가와 연봉액의 결정 556
(1) 평가요소와 부문업적평가 556 / (3) 연봉액 결정과 프로세스 560
16. 연봉제와 인사고과 566
17. 연봉제와 법률관계 566
(1) 실적중시의 1단위의 임금지급형태 566
(2) 연봉수준의 결정기준 567 / (3) 연봉액의 지급 567
(4) 우리나라 연봉제의 유형과 법률적 비판 568
(5) 현행법상 미국식 순수연봉제의 실시가능여부 568
(6) 우리나라 연봉제의 법률적 특징 569
(7) 현행근로기준법에 의한 임금과 근로시간 569
(8) 근로시간규제와 연봉제의 적용대상자 573
(9) 연봉제와 매월일정기일지급의 원칙과의 관계 579
(10) 연봉제와 기간으로서 보수를 정한 경우와의 관계 581
(11) 연봉제와 임금체계의 변경?적용업무의 성격 582
(12) 성과?업적의 평가와 연봉액의 결정 583 /(13)기준임금과 수당제도 584
제3장 능력주의 임금제도의 도입과 운영
Ⅰ. 임금의 형태와 체계 589
1. 임금의 형태 589 / 2. 정액급여제도 592
(1) 시간급 592 / (2) 일급제 592 / (3) 일당월급제 592
(4) 월급제 593 / (5) 연봉급제 593/(6)생산직의 월급제 전환 문제 593
3. 성과급제도 594
4. 개별성과급제 596
(1) 개별성과급제도의 개요 596
(2) 단순성과급제도(Single Piece rate plan) 597
(3) 복율성과급제도(Multiple piece rate plans) 598
(4) 할증금제도(Premium plans) 599
5. 집단성과급제도 600
(1) 집단성과급제도의 개요 600
(2) 집단성과급으로서의 성과배분제도의 특성 601
(3) 이윤분배제도 603 / (4) 러커플랜(Rucker Plan) 605
(5) 스캔론 플랜 607 / (6) 성과급제도의 평가 608
6. 임금체계 609
7. 연공임금체계 611
(1) 우리나라의 연공임금체계 611 / (2) 연공임금의 장단점 612
8. 직종별 임금체계 614
(1) 직종별 임금체계의 개념 614
(2) 직종별 임금체계의 한계 615 / (3) 우리나라의 직종관리 616
9. 직무급 임금체계 616
(1) 직무급 임금체계의 개념 616
(2) 직무급 체계의 형성 617 / (3) 직무급의 장단점 619
10. 직능급 임금체계 620
(1) 직능급 임금체계의 개념 620 / (2) 직능급 임금체계와 직능자격 제도 622
(3) 직능급임금체계의 장단점 630
Ⅱ. 능력형 임금제도와 설계 631
1. 능력형임금제도의 도입 631 / (1) 능력방식의 5가지의 장점 631
(2) 이행시의 문제점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632
2. 능력방식으로의 이행 633 / (1) 크게 3가지 스텝에 따라 정비한다. 633
3. 능력방식으로의 이행수순 634
(1) 능력평가와 급여제도를 연동시킨다. 634
(2) 사원의 능력을 순위설정하는 이유 635
(3) 등급설정에는 충분한 주의가 필요 635
4. 표준능력기본급표의 작성 636
(1) 신졸채용규정 연령에서 등급을 설정한다 636
(2) 능력급의 설정방법 637 / (3)호수의 설정과 직능급의 산출방법 637
(4) 승급호수 일람표를 작성한다 638
(5) 일시정년제를 도입하는 경우의 설정방법 639
5. 승급호수 일람표의 작성 640
(1) 등급별로 승급호수를 산정한다 640
(2) 정액승급방식에 의한 승급호수의 설정 641
(3) 베이스업 방식에 의한 승급호수의 설정 641
(4) 등급간의 승급금액을 평균호한 일람표의 작성방법 642
6. 능력급수당의 설정 643
(1) 능력에 대응한 수당의 지급을 생각한다. 643
(2) 등급별설정이 가능한 ?직무수당?과 ?직책수당? 644
(3) 등급별 격차를 설정할 수 없는 수당 645
7. 신급여액의 산정수순 646
(1) 현행급여와의 차액조절이 필요 646
(2) 현행급여에서 능력급을 시산한다. 647
(3) 평가조정회의에서 능력에 맞는 등급을 설정한다. 647
8. 중도채용자의 급여설정 648
(1) 일반중도채용자의 급여의 결정 648
(2) 스카우트 채용자의 급여의 결정 648
(3) 중도채용 표준기본급조견표의 작성방법 649
(4) 스카우트채용자의 급여설정 방법 649
Ⅲ. 임금체계의 설계와 제도의 전략시스템 669
1. 임금체계의 설계 669
(1) 앞으로의 임금체계 669 / (2) 비관리직층의 임금체계 669
(3) 관리직층의 임금체계 670 / (4) 승격승급의 설정 671
(5) 승급기준선(단일)의 설정 672 / (6) 연령급의 설정 672
(7) 승급기준선(복수)의 설정 673 / (8) 직능급의 하한?상한액의 설정 673
2. 기본급과 결정기준 674
(1) 임금체계 674 / (2) 세가지의 임금결정 요소 674
3. 기본급모델의 설계 676
(1) 기본급모델의 결정 676 / (2) 본인급의 설계 676
(3) 본인급 테이블 677 / (4) 승급의 수순과 방법 677
(5) 기본급 운용의 사례 678 / (6) 승급의 실시와 기본급 테이블 678
4. 임금제도의 전략시스템 679
(1) 인사전략의 확립 679 / (2) 변혁의 스피드 680
(3) 이행원자임금은 제로로부터 681 / (4) 이행기준의 공표 681
Ⅳ. 능력주의 임금관리 692
1. 능력주의의 임금관리내용 692
2. 능력주의 관리와 인사고과와의 관계 696
(1) 업적평가 697 / (2) 능력평가 699 / (3) 기본적 능력 701
(4) 숙련능력평가 702 / (5) 태도평가 702 / (6) 평가기법 705
(7) 목표관리법(management by objective:MBO) 708
3. 능력주의 임금제도로의 전환 709
(1) 능력주의 임금제도의 도입 709
(2) 전환시의 문제점과 그 해소방법 710
(3) 능력주의 방식으로의 이행수순 711
(4) 능력주의방식에 의한 급여제도 713
(5) 신규채용과 등급설정 714 / (6) 능력급수당의 설정 717
(7) 신급여액의 산정수순 720 / (8) 중도채용자의 급여설정 721
4. 능력주의관리와 연봉제도입 722
(1) 연봉제의 개념 722 / (2) 연봉제도입의 유의사항 725
(3) 자사실정에 적합한 모형개발 733
5. 능력주의 임금관리와 제수당 735
(1) 제수당의 의의 및 종류 735 / (2) 제수당의 생성원인 737
(3) 제수당의 합리적 관리방식 741
Ⅴ. 임금규정의 작성과 사례 761
1. 규정의 취지 779 / 2. 규정의 내용 780
(1) 지급시기 780 / (2) 상여의 산정기간 780
(3) 지급대상자 780 / (4) 지급기준 780
3. 상여규정 예 781
제4장 다면평가제도와 교육훈련
Ⅰ. 다면평가제도와 교육훈련 795
1. 360도 인사평가에 주목이 집중 795 / 2. 360도 인사평가제도의 정의 795
3. 도입의 이유 796 / 4. 360도인사평가제도의 전제조건 798
5. 360도 인사평가제도의 대상 798
(1) 업적의 평가 798 / (2) 컴피턴시가 가장 적절 800
(3) 근무태도 801 / (4) 컴피턴시와 근무태도 802
6. 평가자 804 / (1) 자기평가 804 / (2) 동료의 평가 805
(3) 부하가 상사를 평가 806 / (4) 고객에 의한 평가 807
7. 피평가자의 결정 808
(1) 전사원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어렵다 808
(2) 어떠한 사원을 대상으로 하는가 808
8. 평가자의 결정 809
(1) 평가자로서의 요건의 결정 809 / (2) 평가자의 입장 810
(3)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이 전혀 없는 경우 811 / (4) 적절한 평가자의 수 812
(5) 1항목의 평가자수 814 / (6) 복수평가방식의 현실성 815
9. 제도설계의 포인트 817
(1) 기본프로세스와 요점 817 / (2) 현상분석 818
(3) 도입목적의 결정 820 / (4) 평가대상의 결정 820
(5) 평가대상항목 822 / (6) 평가스타일의 결정 825
(7) 평가스타일의 특징 826
10. 평가표의 설계 827
(1) 제도도입의 목적과 이유 827 / (2) 평가결과를 기술하는 평가표 829
(3) 평가스타일의 설명란 830 / (4) 평가표의 기입항목 831
(5) 평가기입과 집계란의 기입 832 / (6) 개선점의 기입란과 활용 833
(7) 평가표작성의 유의점 834
Ⅱ. 근로자교육연수와 인사제도 847
1. 교육연수의 기획 847
(1) 연수담당자의 역할 847 / (2) 연수담당자의 사명 848
2. 연수니즈의 파악 849
(1) 연수니즈란 무엇인가 849 / (2) 연수니즈의 파악 방법 850
3. 연수기본요강 851
(1) 연수기본요강에 편성된 내용은 다음과 같은 항목이다. 851
(2) 연수기본요강을 책정함에 있어서는 다른 사항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852
4. 연수체계 853 / 5. 연수계획 853
(1) 참가자의 업무 형편을 고려한다. 855
(2) 각종연수시책과의 사이에 중복하지 않도록 배려한다. 855
(3) 연수예산이나 실시기간 등에 여유를 갖도록 한다. 855
6. 연수프로그램?커리큘럼의 작성 855
(1) 연수프로그램의 책정 855 / (2) 커리큘럼의 작성 857
(3) 커리큘럼 편성후의 체크 859 / (4) 커리큘럼에 매력을 갖게 한다. 860
7. 교육의 평가와 인사제도 860
(1) ?평가?의 목적 860 / (2) 평가보수제도가 초래하는 폐단 862
(3) ?가치?가 있으면 평가 863
(4) 신 인사제도에의 저항을 완하하는 연수프로그램 864
(5) 매뉴얼로서는 전할 수 없는 ?묵시? 864
(6)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납득하는 ?컴피턴시? 864
(7) ?현장의 상기?를 촉진하는 동료의 디스커션 865
(8) 오히려 곤란한 컴피턴시 인사고과 865
(9) 모순과 발전의 매니지먼트 866
(10) 인사제도와 연수프로그램의 융합 866
8. 연수효과측정과 피드백 867
(1) 매니저먼트싸이클과 평가 867 / (2) 조직에 대한 연수의 효과 867
(3) 효과를 파악하는 수단 868 / (4) 효과측정의 포인트 869
(5) 높은 레벨에서의 평가 872 / (6) 승격?승진에의 연동방법 874
(7) 능력개발에의 연동방법 874 / (8) 컴피턴시를 활용한 인사평가제도 875
9. 연수효과의 측정 876
(1) 연수효과의 측정과 문제점 876 / (2) 연수효과측정의 문제점 877
(3) 세가지 패턴에 의한 사례소개 878
(4) 경영이념이나 인재상과 관련하여 연수내용을 체크 879
10. 교육연수의 기법 882
(1) 기법의 개요 882 / (2) 기법의 특색 883
(3) 도입방법과 실시상의 포인트 883 / (4) 강의법 885
(5) 전형적토의법 888 / (6) 오리엔터링(Orienteering) 891
(7) 이해촉진토의법(CC테스트법) 894 / (8) 디베이트(Debate) 896
(9)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899
(10) 로울프레닝(Role Playing) 901 / (11) 7×7(세븐클로스법) 904
(12) 견학 906 / (13) 인시던트프로세스(Incident Proses) 908
(13) 비즈니스게임(Business Game) 911 / (14) 교육게임 913
(15) 피드백 기법 916 / (16) 인 바스켓(in Basket) 918
11. 근로자직업능력개발사업 923
(1)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기본원칙 923
(2)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시설 및 구분과 실시방법 923
(3) 국가 및 사업주의 책무와 기본계획의 수립 925
(4) 훈련계획과 수당 및 재해위로금 926
(5) 실업자 등을 위한 개발훈련 927
(6) 자활지원을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 928
(7) 청소년을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 929
(8)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지원 929 / (9)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위탁 930
(10)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의 인정 933
(11)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과 법인 935
(12) 직업능력개발훈련 법인의 설립 937
(13)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및 훈련기준 939
Ⅲ. 인재육성과 교육연수 951
1. 인재관리의 세가지 요소 951
(1) 조직운영 951 /b (2) 인재플로우매니지먼트 951
(3) 보수 매니지먼트 952
2. 자율적인재육성교육 953
(1) 방향성의 설정 953 / (2) 자기통제력의 체득 955
3. 기업내교육 958
(1) 기업내교육의 특징과 유의점 958
(2) 기업내교육의 4가지의 시점 959 / (3) 교육체계의 연구 961
4. 교육연수제도의 재구축 962
(1) 교육니즈의 파악 962 / (2) 교육의 평가 963
(3) 인사제도와 교육과의 연동 965
5. 챌린지기회의 확대 966
Ⅳ. 캐리어개발과 교육?연수 976
1. 미?일의 캐리어매니지먼트의 전개 976
(1) 캐리어매니지먼트의 의미 976
(2) 성공하는 전직의 수법으로서의 캐리어개발 976
(3) 그룹카운셀링의 효용 978
(4) 시장가치진단과 엔프로이어빌리티 980
(5) 텔런트리데이션전략 982
(6) Strategic Career Management System 984
2. 캐리어카운셀링(Career Counselling) 985
(1) 캐리어카운셀링의 도입포인트 985
(2) 캐리어개발(Career Development) 986
(3) 종래의 캐리어개발의 문제점 987
(4) 앞으로의 캐리어개발의 진행 987
(5) MBO의 개인과 조직의 공생을 지향 988
(6) 캐리어카운셀링(Career Counseling)의 의미 989
(7) 캐리어카운셀러에 요구되는 것 990
(8) 캐리어카운셀링이 오해되는 배경 991
(9) 캐리어카운셀링의 도입 991
3. 캐리어컨설팅매뉴얼 993
(1) 캐리어컨설팅의 개요 993 / (2) 캐리어컨설팅의 실시 993
(3) 캐리어컨설팅의 활용 995
Ⅴ. 계층별 교육?연수 1036
1. 계층별 교육연수의 의의와 목적 1036
(1) 계층별 연수의 의의?목적 1036
2. 교육?연수의 실시와 니즈 1036
(1) 관리자이상의 계층에서는 수강자를 선발한다. 1036
(2) 상사가 수강전에 부하에게 충분히 동기를 부여한다. 1037
(3) 니즈에 맞는 내용으로 한다. 1037
3. 계층별연수의 실제 1037
제5장 경영과 임금
Ⅰ. 임금의 정책적 운영과 경영코스트 1065
1. 임금과 경영코스트 1065
(1) 인건비의 적정화 1065 / (2) 인적자원과 코스트다운 1071
(2) 정규사원 고용의 의의를 재인식 1073
(4) 파트타임머?아르바이트의 활용 1075
2. 총액인건비의 정책적 운영 1077
(1) 총액인건비관리 1077 / (2) 총액인건비에 포함되는 인건비 1080
(3) 총액인건비관리의 목적 1081
Ⅱ. 기업경영과 임금의 적정배분 1083
1. 기업경영과 임금 1083
(1) 근로자와 임금 1083 / (2) 기업과 임금 1083
(3) 경제와 임금 1083 / (4) 생산성과 임금 1084
(5) 생산성임금제 1086 / (6) 임금과 코스트 1089
(7) 평균임금과 개별임금 1089
2. 임금격차 1091
(1) 연령간 격차 1091 / (2) 학력간 격차 1091 / (3) 남녀간 격차 1091 (4) 산업간격차 1092 / (5) 규모간격차 1092 / (6) 지역간격차 1092
3. 임금과 생계비 1093 / (1) 실태생계비 1093 / (2) 이론생계비 1094
4. 노동배분과 임금인상 1094
(1) 노동배분율 기준방식의 원리 1094
(2) 노동배분율과 부가가치액의 계산 1095
(3) 자기자본비율과 임금인상 가능률 1096
(4) 경영계획에 의한 임금인상가능률의 계산 1098
(5) 업종평균과 임금인상가능률의 계산 1098
5. 지불능력의 측정 1099
(1) 부가가치에 의한 방법 1099 / (2) 손익분기점에 의한 방식 1100
(3) 경영계획에 의한 방법 1102 / (4) 실무상의 유의점 1103
(5) 지불능력에 의한 임금 결정 1103
6. 총액인건비와 변동비 1104 / (1) 총액인건비의 변동비화 1104
(2) 적정노동배분률의 설정과 승급원자 1105 / (3) 정기승급의 결정 1106
Ⅲ. 경영의 합리화와 임금커브제의 도입 1108
1. 우리나라 임금피크제의 도입배경과 정년연장자의 임금 1108
(1) 임금피크제 도입의 배경 1108
2. 다양한 임금커브제의 분석 1109 / 3. 임금커브의 유형화 1111
4. 우리나라 임금피크제 도입과 운영 1112
5. 전형적인 5가지의 임금커브 1116 / (1) 패턴별의 특색 1116
6.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기 위한 법률상의 조치 1120
(1) 취업규칙의 변경 1120
(2) 퇴직금 중간정산여부의 결정(근로기준법제34조제3항) 1122
Ⅳ. 경영조직의 변화와 임직자의 임금 1140
1. 임직자임금의 특색과 설정 1140
(1) 임금수준의 설정 1140 / (2) 범위급이냐 단일급이냐 1141
(3) 과장의 임금과 부장의 임금 1142 / (4) 임직자의 기본급체계 1144
2. 임직자의 조직변혁과 임금(처우) 1144
(1) 임직자의 역할\ 1144 / (2) 유연한 조직이란 1145
(3) 임직자의 임금처우 1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