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경 마을에서 본 국가

국경 마을에서 본 국가

(중국 윈난성 접경지역 촌락의 민족지)

왕위에핑, 장정아, 안치영, 녜빈 (지은이),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중국.화교문화연구소 (기획)
인터북스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950원 -5% 0원
1,050원
18,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경 마을에서 본 국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경 마을에서 본 국가 (중국 윈난성 접경지역 촌락의 민족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94138800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22-05-31

책 소개

중국과 베트남-라오스 국경 형성과정 그리고 국경에 걸쳐서 살아가는 소수민족 문제에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하여, 마을의 거버넌스, 접경지역 관리, 토지제도와 토지 관리, 마을의 정치적 권위와 합법성을 둘러싼 경합 등 광범한 주제를 다루며 국경과 국가를 새롭게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한다.

목차

『중국관행연구총서』 간행에 즈음하여 5

서문. 접경지역 마을을 현지조사하다 11

Ⅰ. 중국과 베트남․라오스 국경 형성과 과계(跨界) 민족 17
1. 중국 국경 형성과 과계민족 17
2. 근대 시기 중국과 베트남․라오스 국경의 형성과 문제점 21
3. 현대 시기 중국과 베트남․라오스 국경 조약 36
4. 국경 형성과 과계민족 문제 44
5. 소결 52

Ⅱ. 연구대상 지역 개황: 중국 서남부 접경지역의 C촌 57
1. 중국 서남부 접경지역 57
2. 연구대상지역 C촌 개황 63

Ⅲ. 촌 조직과 거버넌스 그리고 변경 관리: 관행과 제도 79
1. 촌 조직 79
2. 마을의 거버넌스 82
3. 변경 관리: 관행과 제도 87

Ⅳ. 마을 토지제도와 토지관리: 독특한 토지분배 경험과 국가로의 편입 97
1. C마을의 토지 현황과 토지 제도 변화 97
2. 개혁개방 이후 토지관리와 국가로의 편입 107

Ⅴ. 마을 내 정치적 권위와 합법성: 주민의 집단이주를 둘러싼 논란 123
1. 전통 그리고 정치적 권위와 합법성 123
2. 청년층의 다른 목소리 142

Ⅵ. 접경지역 마을의 다양한 생계방식과 초국경 교류 147
1. C촌의 토지관리 변천과 토지활용 147
2. 다양한 생계방식을 가진 접경지역 마을의 경제활동 153
3. 초국경적 교류와 경제생활 159
4. 지역시장체계와 변민의 소비생활 165

Ⅶ. 접경지역 변민의 초국경 혼인과 통혼규칙 173
1. C촌의 가족과 혼인: 통혼권과 통혼 규칙 173
2. C촌 변민의 초국경 혼인 187

Ⅷ. 접경지역 마을의 종교와 민간신앙 209
1. 불교 209
2. 민간신앙 215
3. 국경을 넘나드는 종교적 교류 220

결론. 국경과 국가를 새롭게 바라보기 223

부록 중국의 접경지역 관리 관련 조약과 규정 233
1. 중화인민공화국과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 정부의 변계 제도 조약 235
2. 중화인민공화국과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 정부 변계 제도 조약의 보충 의정서 254
3. 윈난성 중국․베트남, 중국․라오스 변경지구 인원 출입국 관리 규정 260
4. 윈난성 변경지구 외국 국적 자동차와 운전자 출입국 임시방법 271
5. 국무원의 변경 무역 관련 문제에 관한 통지 275
6. 변민 호시 무역 관리 방법 281
7. 변경 무역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재정․조세 정책에 관한 통지 285

참고문헌 287

저자소개

안치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신대학교 학술원 전임연구원을 거쳐, 2007년부터 인천대학교 중어중국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개혁 전후 중국의 변화와 중국공산당의 권력구조 변화가 주요 연구 분야이다. 저역서로 『덩샤오핑 시대의 탄생』, 『중국의 민주주의』(공저), 『고뇌하는 중국』(공역) 등이 있고, 논문으로 「모호한 전환점: 중국공산당 11기 3중전회에 대한 재고」, 「중국의 정치엘리트 충원메커니즘과 그 특성」, 「중국의 개혁초기 정치논쟁과 1979년 이론공작회의」, 「중국의 개혁초기 정치논쟁과 사회주의 발전단계론 논쟁」 등이 있다.
펼치기
왕위에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윈난대 민족학・사회학 학원 부교수. 중국 서남부 변경지역의 공간 구성과 민족문제, 중국-베트남 변경지역 난민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全球地方性: 中國西南的社群流动與空間建構》(편저), 주요 논문으로 〈越南侬族靈魂觀念與取名制度研究〉, 〈生計選擇與事會建構: 滇越邊境難民村的個案〉이 있다.
펼치기
녜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윈난대학교 민족학·사회학 학원 석사
펼치기

책속에서

* 현대 국민국가로 진입한 뒤 국경이 명확해지고 정치 강역이 명료해진 후에도 이 지역 내 여러 민족들이 국경을 가로질러 만나는 사회문화경제적 교류는 단절되지 않았고, 글로벌 시장 시스템 구축과 국가 간 지정학적 관계 변화에 따라 변경지역 사람들, 즉 변민(邊民)의 글로벌 이동은 더욱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 국경에 걸쳐 살아가는 과계(跨界) 민족의 존재는, 근대 민족국가가 민족을 단위로 구성된 것만은 아니라는 점에서 그렇게 민족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국경과 국경 지역이, 민족과 문화와 경제생활이 단절되고 이질적인 것이 접합하는 공간일 뿐 아니라 민족․문화․생활 공동체가 인위적으로 나누어진 공간이기도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우리는 ‘국경을 넘나드는’ 교류와 이동이라고 보기보다, 교류와 이동이 이루어지던 공간, 심지어 하나의 생활공간이던 지역을 인위적으로 나누며 국경이 그어졌다고 바라볼 수 있게 된다.


* 논밭에 바치는 헌전(獻田) 의례와 곡혼 신앙은 다이족의 종교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종교신앙은 토지와 사용자 간의 연결을 강화해주며, 종교의례에 대한 국가의 묵인은 토지를 촌민들이 더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하도록 독려하는 작용도 지닌다. 국민국가에 의한 영토 확정으로 접경지역 국민들의 국가 관념이 고정화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접경지역 소수민족 주민들에게 문화적・종교적 자유가 어느 정도 주어짐으로써 땅과의 연계가 심화되고, 이를 통해 토지에 대한 촌민들의 관리와 통제가 강화되는 양상 또한 우리는 볼 수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