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94138800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22-05-31
책 소개
목차
『중국관행연구총서』 간행에 즈음하여 5
서문. 접경지역 마을을 현지조사하다 11
Ⅰ. 중국과 베트남․라오스 국경 형성과 과계(跨界) 민족 17
1. 중국 국경 형성과 과계민족 17
2. 근대 시기 중국과 베트남․라오스 국경의 형성과 문제점 21
3. 현대 시기 중국과 베트남․라오스 국경 조약 36
4. 국경 형성과 과계민족 문제 44
5. 소결 52
Ⅱ. 연구대상 지역 개황: 중국 서남부 접경지역의 C촌 57
1. 중국 서남부 접경지역 57
2. 연구대상지역 C촌 개황 63
Ⅲ. 촌 조직과 거버넌스 그리고 변경 관리: 관행과 제도 79
1. 촌 조직 79
2. 마을의 거버넌스 82
3. 변경 관리: 관행과 제도 87
Ⅳ. 마을 토지제도와 토지관리: 독특한 토지분배 경험과 국가로의 편입 97
1. C마을의 토지 현황과 토지 제도 변화 97
2. 개혁개방 이후 토지관리와 국가로의 편입 107
Ⅴ. 마을 내 정치적 권위와 합법성: 주민의 집단이주를 둘러싼 논란 123
1. 전통 그리고 정치적 권위와 합법성 123
2. 청년층의 다른 목소리 142
Ⅵ. 접경지역 마을의 다양한 생계방식과 초국경 교류 147
1. C촌의 토지관리 변천과 토지활용 147
2. 다양한 생계방식을 가진 접경지역 마을의 경제활동 153
3. 초국경적 교류와 경제생활 159
4. 지역시장체계와 변민의 소비생활 165
Ⅶ. 접경지역 변민의 초국경 혼인과 통혼규칙 173
1. C촌의 가족과 혼인: 통혼권과 통혼 규칙 173
2. C촌 변민의 초국경 혼인 187
Ⅷ. 접경지역 마을의 종교와 민간신앙 209
1. 불교 209
2. 민간신앙 215
3. 국경을 넘나드는 종교적 교류 220
결론. 국경과 국가를 새롭게 바라보기 223
부록 중국의 접경지역 관리 관련 조약과 규정 233
1. 중화인민공화국과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 정부의 변계 제도 조약 235
2. 중화인민공화국과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 정부 변계 제도 조약의 보충 의정서 254
3. 윈난성 중국․베트남, 중국․라오스 변경지구 인원 출입국 관리 규정 260
4. 윈난성 변경지구 외국 국적 자동차와 운전자 출입국 임시방법 271
5. 국무원의 변경 무역 관련 문제에 관한 통지 275
6. 변민 호시 무역 관리 방법 281
7. 변경 무역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재정․조세 정책에 관한 통지 285
참고문헌 287
저자소개
책속에서
* 현대 국민국가로 진입한 뒤 국경이 명확해지고 정치 강역이 명료해진 후에도 이 지역 내 여러 민족들이 국경을 가로질러 만나는 사회문화경제적 교류는 단절되지 않았고, 글로벌 시장 시스템 구축과 국가 간 지정학적 관계 변화에 따라 변경지역 사람들, 즉 변민(邊民)의 글로벌 이동은 더욱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 국경에 걸쳐 살아가는 과계(跨界) 민족의 존재는, 근대 민족국가가 민족을 단위로 구성된 것만은 아니라는 점에서 그렇게 민족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국경과 국경 지역이, 민족과 문화와 경제생활이 단절되고 이질적인 것이 접합하는 공간일 뿐 아니라 민족․문화․생활 공동체가 인위적으로 나누어진 공간이기도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우리는 ‘국경을 넘나드는’ 교류와 이동이라고 보기보다, 교류와 이동이 이루어지던 공간, 심지어 하나의 생활공간이던 지역을 인위적으로 나누며 국경이 그어졌다고 바라볼 수 있게 된다.
* 논밭에 바치는 헌전(獻田) 의례와 곡혼 신앙은 다이족의 종교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종교신앙은 토지와 사용자 간의 연결을 강화해주며, 종교의례에 대한 국가의 묵인은 토지를 촌민들이 더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하도록 독려하는 작용도 지닌다. 국민국가에 의한 영토 확정으로 접경지역 국민들의 국가 관념이 고정화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접경지역 소수민족 주민들에게 문화적・종교적 자유가 어느 정도 주어짐으로써 땅과의 연계가 심화되고, 이를 통해 토지에 대한 촌민들의 관리와 통제가 강화되는 양상 또한 우리는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