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계문학 속의 한국전쟁

세계문학 속의 한국전쟁

(38인의 작가로 읽다)

최종고 (지은이)
와이겔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620원
14,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계문학 속의 한국전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계문학 속의 한국전쟁 (38인의 작가로 읽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8899414042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06-25

책 소개

세계의 작가들은 여러 방식으로 자신의 작품 속에서 한국전쟁을 서술하여 왔다. 한국전쟁을 문학작품과 르포, 회고록 등 다양한 내용과 형식으로 저술한 38인의 세계작가들을 발굴 소개하는 책.

목차

머리말 | 세계의 명저들 속에서 한국전쟁을 발견하다

제1장 | 참전용사의 회고록에 담긴 한국전쟁

01. 더글러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
『회고록Reminiscence』(1964)
02. 매슈 벙커 리지웨이Matthew Bunker Ridgway
『한국전쟁The Korean War』(1967)
03. 마크 웨인 클라크Mark Wayne Clark
『다뉴브강에서 압록강까지From the Danube to the Yalu』(1954)
04. 에드워드 레온 로우니Edward Leon Rowny
『운명의 1도An American Soldier’s Saga of the Korean War』(2013)
05. 필립 딘Philip Deane
『나는 한국에서 포로였다I was a Captive in Korea』(1953)
06. 해리 제임스 마이하퍼Harry James Maihafer
『허드슨강에서 압록강까지From the Hudson to the Yalu』(1993)
07. 안소니 파라-호커리Anthony Farrar-Hockley
『한국인만 몰랐던 파란 아리랑The Edge of The Sword』(1954)

제2장 | 한국전쟁 현장의 증언과 기록
01. 코덴데라 수바야 티마야Kodandera Subbaya Thimaya
『판문점 일기Experiment in Neutrality』(1981)
02. 로이 애드거 애플만Roy Edgar Appleman
『장진호 동쪽East of Chosin』(1987)
03. 로버트 타벨 올리버Robert Tarbell Oliver
『한국동란사Verdict in Korea』(1952)
04. 존 윌라드 톨랜드John Willard Toland
『존 톨랜드의 6·25전쟁In Mortal Combat Korea, 1950-1953』(1991)
05. 딘 엘머 헤스Dean Elmer Hess
『신념의 조인Battle Hymn』(1956)
06. 마거리트 히긴스Marguerite Higgins
『자유를 위한 희생War in Korea』(1951)
07. 목타르 루비스Mochtar Lubis
『인도네시아인의 눈에 비친 6·25전쟁Tjatatan Korea』(1951)
08. 스탠리 웨인트라웁Stanley Weintraub
『장진호 전투와 흥남철수작전A Christmas Far from Home』(2014)

제3장 | 세계문학에서 발견한 한국전쟁
01. 펄 사이덴스트리커 벅Pearl Sydenstricker Buck
『한국에서 온 두 처녀Love and Morning Calm』(1951)
『살아 있는 갈대The Living Reed』(1963)
『새해The New Year』(1968)
02. 암부로시우스 하프너Ambrosius Hafner
『피흘린 길을 따라서L?ngs der Roten Strasse』(1960)
03. 제임스 알버트 미처너James Albert Michener
『원한의 도곡리다리The Bridges at Toko-ri』(1953)
04. 이안 모리슨과 한수인Ian Morrison, Han Suyin
『모정A Many-Splendored Thing』(1952)
05. 피에르 피송Pierre Fisson
『서울의 연인들Les Amants de S?oul』(1952)
06. 리처드 후커Richard Hooker
『야전이동병원MASH: A Novel About Three Army Doctors』(1968)
07. 제임스 설터James Salter
『사냥꾼들The Hunters』(1956)
08. 하임 포톡Chaim Potok
『한줌의 흙I am the Clay』(1992)
09. 롤랜드 히노조사Roland Hinojosa
『한국의 사랑 노래Korean Love Songs』(1978)
『무익한 종들The Useless Servants』(1993)
10. 토니 모리슨Toni Morrison
『고향Home』(2012)
11. 필립 로스Philip Roth
『울분Indignation』(2008)
12. 조지 시드니George Sidney
『전사 희망자들For The Love of Dying』(1969)
13. 하진Ha Jin, 哈金
『전쟁쓰레기War Trash』(2004)

제4장 | 역사 쓰기와 역사 만들기
01. 시오도어 리드 페렌바크Theodore Reed Fehrenbach
『이런 전쟁This Kind of War』(1963)
02. 다니엘 J. 미도르Daniel J. Meador
『결코 잊지 않으리Unforgotten』(2003)
03. 글렌 덜랜드 페이지Glenn Durland Paige
『한국의 결정The Korean Decision』(1968)
04.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
『한국전쟁의 전개과정Korea: Unknown War』(1988)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The Korean War: A History』(2010)
05. 데이비드 핼버스탬David Halberstam
『콜디스트 윈터The Coldest Winter』(2007)

제5장 | 한국인의 피로 쓴 한국전쟁
01. 리처드 김Richard E. Kim, 김은국
『순교자The Martyred』(1964)
02. 타이 박Ty Pak, 박태영
『죄의 대가Guilt Payment』(1983)
03. 이창래Chang-Rae Lee
『생존자The Surrendered』(2010)
04. 수잔 최Susan Choi, 최인자
『외국인 학생The Foreign Student』(1998)

맺음말 | 한국문학이 노벨문학상을 받는 날을 꿈꾸며

저자소개

최종고 (지은이)    정보 더보기
著者略歷 서울大學校 法科大學 및 同大學院 卒業, 독일 프라이부르크大學 卒業(法學博士) 미국 버클리大學 및 하버드大學 客員敎授 독일 프라이부르크大學, 미국 하와이大學, 텔아비브大學 交換敎授 중국 南京大學․山東大學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1981-2013) 現:서울大學校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著  書 現代法에 있어서 人間(三英社, 1974) 使徒法官 金洪燮(育法社, 1975) 法史와 法思想(博英社, 1980) 法과 宗敎와 人間(三英社, 1981, 1989 증보) 韓國의 西洋法受容史(博英社, 1982) 法思想史(博英社, 1983) 國家와 宗敎(現代思想社, 1983) 現代法學의 理解(서울大出版部, 1989 증보) 위대한 法思想家들(Ⅰ․Ⅱ․Ⅲ)(學硏社, 1985) 法史學入門(共著)(法文社, 1985) 法學史(經世院, 1986) 西洋法制史(博英社, 1986) 法學人名辭典(編)(博英社, 1987) 韓國法과 世界法(敎育科學社, 1988) 韓國法思想史(서울大出版部, 1989) 韓國의 法學者(서울大出版部, 1989) 하버드 스토리(고려원, 1989) 韓國法學史(博英社, 1990) 法과 유모어(編)(敎育科學社, 1991) 法은 그러나 어두운 곳에서 빛난다(철학과 현실사, 1991) 法 속에서 詩 속에서(교육과학사, 1991) 법과 윤리(經世院, 1992) 법과 생활(博英社, 1993) 북한법(博英社, 1993, 1996 증보신판) 한국법입문(博英社, 1994) 법과 미술(시공사, 1995) 新서유견문(웅진출판사, 1995) G. 라드브루흐연구(博英社, 1995) 한국의 법률가像(길안사, 1995) 총정리 및 객관식 법철학(편저)(삼영사, 1996) 법상징학이란 무엇인가(아카넷, 2000) 법철학(박영사, 2002) 한강에서 라인강까지:한독관계사(유로서적, 2005) Law and Justice in Korea:South and North(서울대출판부, 2005) 자유와 정의의 지성 유기천(한들, 2006) 괴테와 다산, 통하다(추수밭, 2006) East Asian Jurisprudence(서울대출판부, 2009) Gesprache mit Alexander Hollerbach(관악문화사, 2010) 한 법학자의 학문세계, 민속원, 2013 서울법대시대, 서울대출판부, 2013 譯  書 라드브루흐, 法哲學(三英社, 1976) 라드브루흐, 법학의 정신(종로서적, 1981) 레빈더, 法社會學(共譯)(法文社, 1981) 헬무트 코잉, 獨逸法制史(共譯)(博英社, 1982) 라드브루흐, 마음의 길(종로서적, 1983) 홀러바흐, 法哲學과 法史學(三英社, 1984) H. 하멜外, 西洋人이 본 韓國法俗(敎育科學社, 1989) G. 그레고리外, 착한 사마리아人法(敎育科學社, 1990) 위대한 반대자 올리버 홈즈(교육과학사, 1991) 라드브루흐, 법의 지혜(교육과학사, 1993) 라드브루흐, 도미에의 사법풍자화(悅話堂, 1995)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전쟁을 생각할 때마다 드는 의문은 ’왜 38선이 있었던가?’이다. 한반도를 남북으로 나눈 경계선이 하필이면 왜 북위 38도선이었을까? 많이 알려진 얘기는 미국 영관급 장교들이 벽걸이 지도를 보고 즉흥적으로 결정했다는 설(說)이다. 일본의 항복을 앞둔 1945년 8월, 조지 마셜 장군은 한국에 있는 일본군의 항복을 받아내고 한반도를 분할 관리하는 방안을 보고하라고 에이브 링컨 장군에게 지시했다. 링컨은 곧바로 회의를 열었다. 그 자리에서 딘 러스크 대령은 평양 바로 아래의 39도선을 경계로 분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반도에서 폭이 가장 좁은 곳이어서 적은 수의 병력으로도 군사분계선을 지킬 수 있다는 게 근거였다. 그러나 링컨은 38도선을 따라 선을 그었다. 다른 장교들이 왜 1도를 내려야 하는지 묻자 “니컬러스 스파이크만 때문이지”라고 답했다. 스파이크만은 예일대 지리학과 교수로 강의 때마다 세계적인 문학과 발명품의 90%가 38선 북쪽에서 창조되고, 위대한 인물들도 거기서 났다고 강조한 지정학자다. 링컨은 그를 언급하며 38선을 밀어붙였다. 반대하던 참모들은 링컨의 기세에 밀려 마셜 장군에게 39선 의견을 보고하지 않았다.


이 소설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스케일이 큰 대하드라마로서, 연춘은 자기에게 모든 여성, 한녀까지도 거절할 수 있는 힘을 준 것은 톨스토이(L. Tolstoy)라고 생각했다. 아무튼 독립운동으로 쫓기며 종말론적 삶을 살아가는 조선 청년의 심리를 펄 벅은 실감 나게 그리고 있다. 마치 파스테르나크의 『닥터 지바고』를 연상시키듯 전쟁 중의 사랑과 섹스를 묘사하고 있다. 이 소설 속에 나타난 한국전쟁은 인천상륙작전 당시 상황을 묘사하고 있는데, 소설의 마지막 에필로그에서는 1960년 부산에서 유엔군묘지를 방문한 사실을 언급하며, 펄 벅의 한국현대사에 대한 관점을 담고 있다. 즉 한국은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의 타산적 생각으로 일본에게 한국을 양도하고 필리핀을 획득하려는 이른바 태프트-가쓰라 밀약을 체결하게 한 결과 오늘날의 남북대결이 이루어지고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다고 생각한 것이다.


『결코 잊지 않으리(Unforgotten)』는 제목에서부터 한국전쟁은 잊혀질 수 없는 전쟁, 즉 ‘잊혀진 전쟁’이 아님을 말해 준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한국전쟁이 끝난 지 40여 년이 지난 후에 워싱턴에 세워진 ‘한국전 참전 기념비’의 헌정식에서 기념비 앞에 홀로 서서 전쟁에서 돌아오지 못한 전우들을 생각하며 “결코 한국을 잊지 않을 것이며 잊어서도 안 된다”고 결연한 의지를 보이는 63세의 참전 노병이다. 그가 과거로 돌아가 한국전쟁에 참전하게 된 배경과 한국에서의 경험, 귀국 후 오늘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