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CD] 한권으로 이해하는 중국문학 - 오디오 CD 1장](/img_thumb2/9788994267104.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중국문학론
· ISBN : 9788994267104
· 쪽수 : 1쪽
· 출판일 : 2010-01-25
책 소개
목차
1. 신화와 문자 : 1) 구전 설화 2) 문자의 기원과 서면문학 3) 한자의 발전과 완성
2. 경전과 문학 : 1) 오경 2) 역경 3) 서경
3. 시경 : 1) 풍아송 2) 부비흥 3) 시경의 지위와 영향
4. 역사와 문학 : 1) 춘추 2) 춘추 좌전 3) 국어와 전국책
5. 유가의 경전 : 1) 주희와 사서 2) 논어 3) 맹자 4) 순자
6. 도가와 묵가의 경전 : 1) 도덕경 2) 장자 3) 묵자 4) 한비자
7. 굴원과 초사 : 1) 여씨춘추 2) 굴원의 생애 3) 이소 4) 송옥과 부
8. 한나라 초기 작가들 : 1) 가의 2) 매승의 칠발 3) 사마상여 4) 동방삭과 양웅
9. 사마천과 사기 : 1) 사마천의 생애 2) 사기 속의 인물들 3) 반고의 한서
10. 악부시와 고체시 : 1) 악부시 2) 공작동남비 3) 고시19수
11. 건안문학 : 1) 조조의 글 2) 조비와 조식의 글 3) 건안 풍골 4) 채문희와 제갈량
12. 남조문학 : 1) 죽림칠현 2) 태강체
13. 도연명과 귀거래사 : 1) 귀거래사 2) 도화원기
14. 남조 문학 : 1) 산수시와 포조 2) 영명체와 궁정체 시 3) 소통의 문선
15. 북조 문학과 남북조 민가 : 1) 북조의 문단 상황 2) 낙양가람기와 안씨가훈 3) 자야가와 칙륵가 4) 목란사
16. 소설과 문학비평 : 1) 수신기 2) 세설신어 3) 문심조룡 4) 시품
17. 초당의 작가들 : 1) 당의 문단 상황과 초당의 시인들 2) 초당사걸 3) 문단 개혁의 선구자
18. 성당의 작가들 : 1) 맹호연 2) 왕유 3) 변새시
19. 시선 이백 : 1) 성장기의 이백 2) 장안에서의 꿈 3) 방황 속의 깨달음 4) 안사의 난 속에서
20. 시사 두보 : 1) 계속되는 시련 2) 삼리 삼별 3) 두보초당과 노년 4) 후세에 드리운 그늘
21. 중당의 작가들 : 1) 중당의 시인들 2) 백거이와 장한가 3) 신악부 시와 비파행 4) 여원구서 5) 원진과 신악부 시인들
22. 한유 : 1) 한유와 고문운동 2) 한유의 논설문 3) 한유의 서정 서사산문과 시 4) 맹교와 가도
23. 유종원 : 1) 종수곽탁타전 2) 포사자설 3) 영주팔기
24. 유우석과 이하 : 1) 유우석 2) 금릉오제와 죽지사 3) 이하
25. 만당의 작가들 : 1) 두목 2) 이상은과 무제시 3) 만당의 작가들
26. 사와 전기 : 1) 사의 발전 2) 화간파 3) 위장과 남당시파 4) 변문과 전기
27. 송 초기 문학 : 1) 송 초의 문단 2) 유영 3) 장선과 안수 부자
28. 구양수와 왕안석 : 1) 범중엄 2) 구양수 3) 왕안석 4) 증공의 산문과 소매의 시
29. 소씨 삼부자 : 1) 소순과 소식 2) 동파와 적벽부 3) 소철
30. 소식의 문하생들 : 1) 황정견 2) 진관과 장뢰와 하주 3) 주방언
31. 남송의 문학 : 1) 악비 2) 이청조 3) 진여의와 양만리 4) 범성대
32. 육유 : 1) 증기와 국경 체험 2) 말년과 죽음
33. 신기질 : 1) 남하와 군사 활동 2) 북벌의 꿈
34. 남송 후기 문학 : 1) 완약파 사인 2) 강호파 작가들 3) 문천상과 유민 작가들
35. 송대 희곡과 소설 : 1) 시화 2) 희곡의 발전 맥락 3) 소설의 발전 맥락 4) 금대의 문단 상황
36. 원대 문학 : 1) 원대 문단 상황 2) 구풍진과 진주조미 3) 조씨고아 4) 잡극의 공연 상황
37. 관한경 : 1) 두아원 2) 호접몽과 배월정 3) 백박의 작품
38. 잡극의 세계 : 1) 한궁추 2) 서상기 3) 천녀리혼
39. 산곡와 남희 : 1) 원대 산곡과 시문 2) 남희와 4대 전기 3) 비파기
40. 명초 문단과 소설의 발전 : 1) 명초의 아문학 2) 삼국연의 3) 삼국연의의 3대 인물 4) 삼국연의 여담
41. 수호전과 금병매 : 1) 수호전의 형성과정 2) 양산박의 호걸들 3) 무송타호 4) 금병매
42. 서유기 : 1) 형성과정 2) 내용과 등장인물 3) 작품 속에 반영된 현실
43. 명대 희곡 : 1) 명대 잡극 2) 명 전기 3) 탕현조와 임천사몽 4) 임천파와 오강파
44. 삼언이박 : 1) 풍몽룡과 삼언 2) 삼언 속의 이야기들 3) 능몽초와 이박 4) 명대 산곡과 민가
45. 복고와 이단 : 1) 대각체와 우겸 2) 공안파와 경릉파 3) 항청운동가와 이지
46. 청대 아문학 : 1) 청대의 문단 상황 2) 당시와 송시의 추종자들 3) 사단의 마지막 불꽃 4) 산문과 동성파
47. 요재지이 : 1) 청대 백화소설과 포송령 2) 요재지이 속 작품들 3) 포송령의 후예들
48. 장생전과 도화선 : 1) 이옥과 이어 2) 장생전 3) 도화선
49. 유림외사와 경화연 : 1) 오경재와 유림외사 2) 풍자인물과 긍정인물 3) 이여진과 경화연
50. 홍루몽 : 1) 조설근 2) 대관원에서 펼쳐진 파노라마 3) 백인백색의 인물들 4) 일파만파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