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372198
· 쪽수 : 609쪽
· 출판일 : 2010-12-15
책 소개
목차
추천글 _ 한국의 선생님들에게 ·004
선생님들이 지펴야 하는 지혜의 불꽃 014
1_ 모든 학생은 구체적이고 독립적인 주체 ·016
2_ 하루는 24시간뿐인데 교사는 어디서 시간을 낼 수 있나? ·022
3_ 교사의 시간과 교수단계들의 상호의존성 ·026
4_ 학생들의 기억 속에 기본지식을 ·029
5_ 학생들의 사고력 발전을 위해 배경 지식을 만들어 주어야 ·033
6_ 학습 속도가 더딘 학생 가르치는 법 ·036
7_ 낱말의 뜻을 정확히 알게 하는 것이 공부의 첫걸음 ·040
8_ 공부한다는 것은 진리를 발견하고 의문을 푸는 것 ·044
9_ 학생이 내용을 이해한 다음 외우게 해야 ·048
10) 새 교재를 가르칠 때 규칙과 공식을 정확하게 가르쳐야 ·052
11_ 새 교재에 대한 생각은 수업의 한 단계 ·055
12_ 숙제검사 ·058
13_ 평가하기 ·061
14_ 공부는 좋은 어머니 ·064
15_ 학습장 검사 ·067
16_ 교사의 과목에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야 ·070
17_ 관찰하는 습관을 길러 줘야 ·073
18_ 독서는 지식을 알차게 한다 ·075
19_ 학습속도가 더딘 학생에게 책 읽기를 ·077
20_ 지식과 실천의 조화 ·079
21_ 흥미는 어디에서 생길까? ·084
22_ 학생들이 교사의 전공 과목을 좋아하도록 해야 ·088
23_ 배움과 자긍심 ·095
24_ 학생들의 지적 생활에 관하여 ·098
25_ 학생들에게 한가한 시간을 ·101
26_ 학생들이 한가한 시간을 즐길 수 있게 ·105
27_ 학생 저마다에게 즐거움을 ·108
28_ 일하기 ·111
29_ 집중하기 ·116
30_ 직관력 ― 인식의 오솔길을 밝히는 빛 ·120
31_ 1학년 교사들에게 ·125
32_ 처음 학교에 가는 아이들을 위해 ·128
33_ 교육자로서 첫 발을 내딛는 교사들에게 ·133
34_ 어떻게 아이들의 사고력과 지능을 조화롭게 끌어올릴까? ·138
35_ 기억력 기르기 ·140
36_ 아이들의 기억력을 아끼고 길러 주어야 ·142
37_ 그리기의 즐거움 ·145
38_ 글쓰기를 잘하게 하는 방법 ·148
39_ 아이들이 오른손과 왼손을 다 쓰도록 가르치자 ·150
40_ 학생들이 갖춰야 할 기본 기능 ·152
41_ 손을 잘 움직여야 지혜로워진다 ·154
42_ 지적 교양의 참뜻 ·158
43_ 새내기 교사들에게 ·161
44_ 아이들이 학습을 잘하게 하는 길 ·165
45_ 외진 곳 작은 학교 교사들에게 ·169
46_ 교사는 어떤 계획서를 만들어야 할까? ·172
47_ 교사는 교육일기를 써야 한다 ·175
48_ 학생들에게 지적 훈련을 ·178
49_ 단순 암기보다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185
50_ 공부하는 방법을 깨우치게 해야 ·189
51_ 학생들은 어떨 때 부담을 느끼나? ·194
52_ 살아 있는 지식을 ·
53_ 왜 학생들은 배울수록 더 어려워할까? ·199
54_ 학습 의욕을 키워 주어야 ·207
55_ 아이들을 공부하게 하려면 ·212
56_ 아이들에게 창조적인 정신노동을 하는 습관을 천천히 키워 줘야 ·222
57_ 아이들의 마음속에 시적 감수성을 ·242
58_ 아이들과 함께하는 세계 여행 ·249
59_ ‘사고력 수업’이란 자연계를 ‘여행’하는 것 ·254
60_ 읽고 쓰기는 그림과 함께 ·264
61_ 아이들에게 책 읽는 습관을 길러 줘야 ·269
62_ 1학년 산수에서 사고력 훈련 ·273
63_ 학생들이 사유의 세계에서 생활하게 한다 ·279
64_ 교사는 학생의 정신노동에 주의를 기울여야 ·284
65_ 수업에서 학생의 정신노동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나? (상) ·293
66_ 수업에서 학생의 정신노동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나? (하) ·301
67_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력을 키우도록 ·309
68_ 노동과 지적 발달 ·317
69_ 노동으로 학생 개인의 재능과 기호를 발전시켜야 (상) ·324
70_ 노동으로 학생 개인의 재능과 기호를 발전시켜야 (하) ·337
71_ 일반적 아동발달과 기본 지식의 습득 ·346
72_ 가르칠 때 의식하는 것과 의식하지 못하는 것 ·350
73_교수 요강을 넘어서도록 학생을 적극적으로 격려해야 ·354
74_ 교수 방법 문제 (상) ·358
75_교수 방법 문제 (하) ·368
76_ 아이들 사고의 특징 ·378
77_ 청소년 시절 학생 사고의 특징 ·389
78_ 학생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학습 능력과 숙련 ·395
79_ 교사와 아이들은 믿음과 사랑으로 하나가 되어야 ·405
80_ 학습 속도가 더딘 학생들을 대하는 방법 ·409
81_ 학습 속도가 더딘 학생에게 응용문제를 가르치는 방법 ·418
82_ 어느 ‘학습 능력 부진아’의 깨우침 ·424
83_ 교육과 자기 교육 (상) ·434
84_ 교육과 자기 교육 (하) ·442
85_ 우물은 늘 깨끗하게 ·450
86_ 인격의 전체적 발전에 관한 교육사상의 몇 가지 문제 (상) ·461
87_ 인격의 전체적 발전에 관한 교육사상의 몇 가지 문제 (하) ·471
87) 아동의 건강에 대한 관심은 교육자의 가장 중요한 사업이다 ·489
88_ 생각하는 방― 우리들의 열람실 ·497
90_ 우리들의 학부모 학교 ·507
91_ 농촌 학교의 특수한 사명 ·514
92_ 미래의 교사들에게 ·519
93_ 교사의 교육 소양 ·526
94_ 교사들의 교육관 ·537
95_ 수업을 어떻게 참관하고 분석할까 (상) ·543
96_ 수업을 어떻게 참관하고 분석할 것인가 (하) ·554
97_ 나는 어떻게 교육 일기를 쓰는가 ·565
98_ 내가 교사의 창조적 노동을 이끈 방법 ·576
99_ 내 현장 경험 ·585
100_ 파블리슈 중학교 교육사업의 성과 ·592
* 조화로운 교육 ·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