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88994382067
· 쪽수 : 203쪽
· 출판일 : 2010-09-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_ 건강한 뇌가 똑똑한 아이를 만든다
chapter 1 뇌를 잘 아는 부모, 건강한 뇌를 가진 아이
인간의 마음은 ‘뇌’에 있다
‘정동’과 ‘정서’의 차이점
동물이 진화할수록 뇌가 커지는 이유
아이의 뇌를 깨워라
입과 손과 발을 자극하면 뇌가 초롱초롱
유연하게 대처하는 뇌의 가소성
3세까지의 뇌가 가장 유연하다
컴퓨터 vs 인간의 뇌
지금 아이의 뇌가 위험하다
건뇌 지도_ 사람의 뇌는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chapter 2 뇌가 건강해야 공부도 잘한다
가상 세계의 아이들
9세 뇌 교육이 평생 지능을 결정한다
뇌는 어떻게 발달할까
소설가들이 자전소설을 쓰는 이유
학습의욕을 높이는 칭찬과 야단 기술
과보호가 참을성 없는 아이를 만든다
디지털 환경이 기억력 쇠퇴를 부른다
TV와 컴퓨터를 치워라
기억력이 좋으면 머리도 좋다?
천재는 연상력이 뛰어나다
chapter 3 사회성: 잘 노는 아이가 머리도 좋다
인간은 놀이하는 존재
놀이와 예술의 시작
유아기, 학습보다 놀이가 우선
보여주고 흉내 내게 하라
뇌의 발달 정도, 놀이로 안다
‘혼자 놀기’에서 ‘함께 놀기’로
우리 아이 사회성 어떻게 키워줄까
좌뇌와 우뇌를 골고루 키우는 법
놀이가 머리를 좋게 해준다
기억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좋아하면 잘하게 된다
chapter 4 인성: 동물 본능이 강한 아이를 만든다
뇌가 본능도 바꾼다
3대 본능의 출발점
아이의 뇌를 단련하는 3가지 원칙
인류의 진화, 강인한 생명력의 뿌리
갓 태어난 아기가 할 수 있는 일
정신이 건강한 아이의 비결은 스킨십
어미와 떨어진 새끼 원숭이가 가르쳐주는 것
어머니 혼자서는 잘 키울 수 없다
아버지가 함께하는 자녀 양육법
chapter 5 식습관: 바르게 먹어야 바르게 큰다
식(食)의 의미
최초의 ‘먹는 교육’은 어머니의 젖
제철 음식을 먹는다는 것
꼭꼭 씹는 습관이 성격 좋은 아이 만든다
아이를 혼자 밥 먹게 하지 마라
기억력을 높이는 2가지 방법
집중력을 키우고 싶은데, 어떻게?
아이에게 필요한 최고의 건강식
뇌를 건강하게 만드는 음식
chapter 6 언어: 말 잘하는 비결, 좌뇌와 우뇌에 있다
인간은 언어로 생각한다?
말, 많이 들어야 빨리 배운다
아기는 어떻게 말을 배울까
몸이 자라면서 언어도 커간다
좌뇌는 ‘언어뇌’, 우뇌는 ‘이미지 뇌’
말을 배우는 데도 때가 있다
부모의 사랑과 관심이 장애를 이겨낸다
교육의 출발점은 말을 배우는 것
감수성과 언어 능력, 음악으로 높일 수 있다
전래동요는 아이들의 재밌는 놀이 언어
chapter 7 성: 올바른 성의식은 어릴 때 길러진다
마음의 성과 육체의 성
남녀의 뇌는 다르다
마음의 성은 8세 이전에 결정된다
자라나는 환경이 성 행동을 좌우한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습관과 성적 발육의 관계
참을성 없는 아이가 되는 이유
아홉 살 성교육 여든 간다
탯줄을 통해 전하고 싶은 것
올바른 성을 아는 아이
책속에서
인간성의 기초는 영유아기에 부모, 특히 어머니에게 얼마나 많은 사랑을 받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아이에게 따뜻한 마음씨를 길러준다는 것은 곧 뇌를 그렇게 기른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똑똑하고 감성이 풍부한 뇌를 가진 아이로 키우려면 반드시 ‘마음’을 잘 양육해주어야 한다. 마음과 뇌는 표리일체이며 어느 한쪽이 결핍되거나 부족해서는 안 된다.
아이의 뇌는 어른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유연하다. “아, 놀라운 인간의 뇌!”라고 외치고 싶을 정도다. 신기한 것은, 뇌는 한 부분의 기능이 일부 떨어지더라도 다른 부분에서 그것을 보완하는 성질을 가졌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자극을 준다면 뇌 소프트웨어 형성의 핵심 요소인 시냅스 수를 점차 느릴 수 있다. 이것이 컴퓨터와 인간의 뇌가 가진 가장 큰 차이점이다.
부모의 과보호, 특히 어머니의 지나친 관심과 걱정은 경계해야 한다. 모처럼 발달하려는 뇌 소프트웨어의 억제력이 과보호 때문에 제대로 성장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버지 역시 아이 교육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늘 어머니와 아이 사이에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는지 분위기를 살피고, 어머니의 얘기에 귀를 기울이면서 아이의 교육 방식에 대해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한다. 아이 교육을 어머니에게만 전적으로 맡겨두면 나중에 반드시 그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