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고전
· ISBN : 9788994407197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13-07-15
책 소개
목차
나를 위해 공부하라 ● 공자 『공자』-김현식
탈출하려면 변신하라 ● 프란츠 카프카 『변신』-박정수
내면의 지도를 작성하다 ● 장 자크 루소『고백록』-현민
어둠 속에서 어둠의 모든 것을 보며 전진하라 ● 루쉰『아침꽃을 저녁에 줍다』-박정수
당신의 삶이 당신의 철학이다 ● 플라톤『편지』-고병권
고전 및 인용문 출처와 더 읽을거리 / 저자 소개
책속에서
공자는 “자기가 서고자 하면 남을 세워 주고, 자기가 깨닫고자 하면 남을 깨우쳐 줘야 한다.”라고 말합니다. 공자의 말을 원문으로 옮기면 이렇습니다. 己欲立而立人 己欲達而達人 (기욕립이립인 기욕달이달인) 나는 결코 남과 무관한 존재가 아닙니다. 반대로 늘 남과의 관계 속에 있습니다. 그래서 나를 위한다는 것은 곧 남을 위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 그렇다고 위기지학이 곧 위인지학이라는 말은 아닙니다. 위인지학, 남을 위한 공부에서의 ‘나’란 남의 평가에 휘둘리는 존재입니다. 그러나 위기지학의 ‘나’는 남을 통해 자신을 실현하는 존재입니다. 즉 주도권이 누구에게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다르게 말하면 공부의 출발점이 어디에 있느냐 하는 점입니다. 위인지학은 남에게서 출발한다면 위기지학은 자기로부터 출발하는 공부입니다.
카프카의「변신」은 그럴 때 우리에게 의미심장한 교훈을 줍니다. 꼭 물리적인 탈출이 아니어도 괜찮다고, 아니, 물리적인 탈출은 진정한 탈출이 아닐 때가 많다고, 오히려 그 자리에 머문 채 슬그머니 탈출하는 방법이 있다고 말해 줍니다. 머문 자리에서 탈출하기, 그러기 위해선 변신해야 합니다. 변장을 하라는 게 아닙니다. 몸의 형태를 바꾸라는 게 아닙니다. 카프카에게 변신이란 욕구가 바뀌는 것이고, 감각이 바뀌는 것이고, 기질이 바뀌는 것입니다. 그러면 사물과의 관계가 바뀌고 타인과의 관계가 바뀝니다. 그런 관계의 변화 속에서 자신의 변신이 세계의 변신과 함께 하고, 자신의 탈출이 세계의 탈출과 함께합니다.
플라톤은 자신이 생각하는 바의 철학이란 그런 식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게 아니라고 했습니다. 철학은 ‘지혜에 대한 사랑’이지만 그의 생각에 철학이 사랑한다고 하는 지혜란 말이나 글로써 전달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 이유를 플라톤에게 직접 들어볼까요.
왜냐하면 그것은 다른 학문들처럼 결코 말로 옮겨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주체 자체와 관련해서 이루어진 오랜 교유(함께함)와 공동생활로부터, 예컨대 튀는 불꽃에서 댕겨진 불빛어럼 갑자기 혼 안에서 생겨나서 비로소 자기 자신을 스스로 길러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