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94491073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1-07-15
책 소개
목차
1부
기업은 어떻게 돈을 벌고 있는가?
-수익성
01. 매출원가의 변화를 확인하고 싶다면?: 매출총이익률
02. 효율적인 영업을 하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영업이익률
03. 최종적으로 주주에게 남는 이익을 확인하고 싶다면?: 순이익률
04. 자기자본의 수익성을 확인하고 싶다면?: 자기자본이익률
05. ROE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될까?: 듀퐁방정식
06. 순수한 영업활동의 수익성은 얼마나 될까?: 투하자본이익률
2부
경쟁력을 가진 기업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성장성
07. 성장률이 얼마인지 계산하고 싶다면?: 단순 성장률
08. 복리의 효과를 고려한 연간 성장률을 계산하고 싶다면?: 연평균복합성장률
09. 매출액의 증가폭은 얼마일까?: 매출액성장률
10. 주주들의 자본이 축적되는 속도를 확인하고 싶다면?: 자기자본성장률
11. 주주들의 이익이 증가하는 속도를 확인하고 싶다면?: 순이익성장률
3부
지속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기업인가?
-안정성
12. 자본에 비해 부채가 너무 많지 않은가?: 부채비율
13. 기업이 남겨야 할 최소한의 영업이익은?: 이자보상비율
14. 토지나 공장이 장기적인 자금으로 투자되었을까?: 고정비율
15. 당장 부채를 갚을 현금이 충분한가?: 유동비율
16. 제품의 판매 없이도 부채를 갚을 현금이 충분한가?: 당좌비율
17. 제품의 판매와 외상값 회수 없이도 부채를 갚을 현금이 충분한가?: 현금비율
4부
기업은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가?
-효율성
18.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총자산회전율
19. 공장과 생산설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가?: 유형자산회전율
20. 매출채권을 회수하는 속도가 궁금하다면?: 매출채권회전율
21. 매출채권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일수는?: 매출채권회전일수
22. 재고자산의 제조 및 유통 속도가 궁금하다면?: 재고자산회전율
23. 재고자산이 기업 내에 머물러 있는 일수는?: 재고자산회전일수
24. 매입채무를 갚는 속도가 궁금하다면?: 매입채무회전율
25. 매입채무를 갚는 데까지 걸리는 일수는?: 매입채무회전일수
26. 기업이 며칠분의 운전자본을 가지고 있나?: 현금흐름주기
5부
기업의 가치는 어떻게 평가할까?
-밸류에이션
27. 1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벌어들일까?: 주당순이익(EPS)
28. 이익에 비해 주식이 싸게 거래되고 있는가?: 주가수익비율(PER)
29. 기업을 통째로 인수했을 때의 수익성을 알고 싶다면?: EV/EBITDA
30. 기업이 청산을 한다면 1주당 얼마나 보상받을까?: 주당순자산(BPS)
31. 기업의 자산가치에 비해 싸게 거래되고 있는가?: 주가순자산비율(PBR)
32. 1주당 벌어들이는 현금은 얼마나 될까?: 주당현금흐름(CFPS)
33. 현금흐름에 비해 주식이 싸게 거래되고 있는가?: 주가현금흐름비율(PCR)
34. 매출액에 비해 주식이 싸게 거래되고 있는가?: 주가매출액비율(PSR)
35. 이익성장률 대비 적정한 PER인지 알고 싶다면?: 주가이익성장비율(PEGR)
36. 미래에 기업이 벌어들일 수익의 현재가치를 계산하고 싶다면?: 절대적 가치평가
37. 기업에 투자하는 데 따른 위험을 숫자로 표현한다면?: 할인율
38. 미래의 예상 배당금으로 적정주가를 계산하고 싶다면?: 배당할인모형
39. 기업이 미래에 벌어들일 현금으로 적정주가를 계산하고 싶다면?: 현금흐름할인모형(DCF)
40. 기업의 영업활동에 필요한 현금은 얼마일까?: 운전자본
41. 공장, 기계장치 등의 설비투자는 얼마나 하고 있을까?: 자본적 지출
6부 투자자가 알아두면 좋은 지표
42. 순이익에서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몫은 얼마나 될까?: 배당성향
43. 배당으로 인한 수익률이 얼마나 되는지 알고 싶다면?: 배당률, 배당수익률
44. 유상증자 이후 주가는 오를까, 떨어질까?: 유상증자
45. 무상증자로 인해 기업에 생기는 변화는 무엇일까?: 무상증자
46. 기업이 주식 수를 줄이는 데 이에 대한 보상을 해주는가?: 유상감자
47. 자본잠식을 당한 기업이 선택한 최후의 수단은?: 무상감자
48. 주식연계채권 발행으로 기존 주주들이 입는 피해를 알고 싶다면?: CB, BW의 발행
49. 복리의 효과를 고려한 연간수익률을 알고 싶다면?: 연평균수익률
50. 투자 원금이 2배가 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72의 법칙
리뷰
책속에서
매출액성장률 | 매출액의 증가 폭은 얼마일까?
(난이도 ★ | 활용도 ★★★)
개념
매출액성장률은 해당 기간의 기말 매출액이 기초 매출액에 비해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공식
Point
1. 매출액은 기업의 가장 중요한 항목이기 때문에, 매출액성장률은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비율입니다.
2. 매출액성장률은 숫자 자체의 의미보다 추세를 확인해야 합니다.
3. 매출액성장률이 둔화된다면 제품의 판매가격과 판매수량 중 어떤 구성 요소가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 매출액이 증가하면 고정비 감소 효과가 나타나 더 높은 수익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기본 개념
매출액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수익을 말하는 것으로, 회사의 규모를 볼 때 자산과 함께 보는 대표적인 수치입니다. 매출액의 증감을 계산하여 매출액의 성장 추세와 비교하거나 경쟁사와 비교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매출액은 제품의 가격과 수량에 의해 결정되는데, 매출액이 증감할 경우 가격과 수량 중 어떤 요소가 변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가격의 변화는 원재료 가격의 변동이나 기업의 가격 결정력의 영향을 받으며, 수량의 변화는 산업의 성장성 혹은 사이클이나 기업의 시장점유율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매출액의 성장은 영업이익, 순이익의 증가를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실속 없는 성장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기업이 실제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하였는지를 검토해야 합니다. 매출액이 증가할 경우 고정비 비율이 감소하여 수익성이 개선되기도 합니다. 고정비는 매출액의 크기에 관계없이 고정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을 말합니다. 제품을 만들어서 많이 판다면 매출액 대비 고정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여 수익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매출액이 꾸준히 증가할 경우 이에 따라 수익성이 어떻게 좋아지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공식 끝장내기!
어떤 기업의 작년 제품의 평균 판매가격은 10,000원이고, 판매수량은 10만 개입니다. 올해 평균 판매가격이 12,000원이고 판매수량은 작년과 같다면 매출액성장률은 얼마일까요?
풀이>
매출액=제품의 판매가격×판매수량
이 기업의 매출액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작년 매출액=10,000원×100,000개=10억 원
올해 매출액=12,000원×100,000개=12억 원
이를 통해 매출액성장률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액성장률=(기말 매출액-기초 매출액)÷기초 매출액×100(%)
=(12억 원-10억 원)÷10억 원×1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