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94606699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2-04-28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 서문
들어가며: 사라진 비석과 실체가 불분명한 강
동아시아의 역사적 공간
다변적 로컬
지역적 차원의 로컬
지구적 차원의 로컬
1장 경계를 넘다: 두만강 지역의 사회생태학
두만강 지역: 청의 동북 대 조선의 동북
청과 조선의 초기 협상
위기의 동아시아, 연계망 속의 두만강
2장 왕조의 지리학: 경계 획정의 수사
국경회담 이전의 지리 지식
감계: 의례적 경쟁
청 국경 형성의 연계망
국경지대의 지도 제작
왕조의 변경 지리학: 이중하와 오대징
3장 간도 만들기: 경계를 넘나드는 사회의 유동성
간도의 형성
토지소유권, 생산 관계, 민족 관계 그리고 교역
토비: 국가와 사회의 사이
4장 변경 길들이기: 국가권력의 침투와 국제법
청: 내지화와 귀화
러시아: 철도 식민주의와 공동행정구역
한국: 군사화와 영토화
일본: 아시아를 선도하고 만주를 정복하고 한인을 ‘보호’하다
국제법의 도래: 새로운 담론
5장 다시 정의된 경계: 다층적 경쟁
국가·비국가 행위자들의 경쟁
간도협약을 향하여: 갈등의 세 가지 층위
공간적 상상: 나이토 코난, 송교인 그리고 신채호
6장 다시 정의된 인민: 연변과 정체성의 정치학
연변 사회: 새로운 발전
일본인이 된다는 것: 식민지의 경제와 정치
중국인이 된다는 것: 한인의 수용과 배제
한국인이 된다는 것: 한국 너머의 민족 정치학
맺으며: 우리 땅, 우리 민족
목극등비의 실종과 만주의 변화
한국계 중국인의 정체성
다시 그어진 경계
경계와 역사
에필로그: 영화 <두만강>
감사의 말
참고문헌
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감계가 끝나갈 무렵, 조사관들은 홍토산수와 홍단수 사이에서 홍토산수의 또 다른 작은 지류를 발견했다. 청 관리들은 이중하에게 양측이 조금씩 양보하여 이번 국경회담을 끝내도록 ‘석을수石乙水’로 새롭게 명명된 이 물줄기를 두만강 수원으로 인정할 것을 촉구했다. 하지만 이중하는 이 물줄기가 비석이 세워진 분수령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며 이번에도 청의 제안을 단호히 거절했다. 결국, 양측 견해차는 좁혀졌다. 양측은 유일하게 아직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은 지역은 석을수가 홍토산수로 합류하는 지점과 목극등비 사이의 작은 구간뿐이라는 데 합의했다. 그럼에도 조선-청의 마지막 공동감계였던 1887년 감계는 또다시 허사로 끝났다. 이후 몇 년 동안 이 문제를 마무리하자는 제안이 여러 차례 있었지만 처음에는 조선이, 그다음에는 청이 거절했다. 따라서 분쟁은 끝내 해결되지 못한 채 중단되었다.
이전에 육도구六道溝(여섯 번째 도랑)로 알려졌던 용정은 해란하 남안에 있는데, 1877년에 조선인 열네 가구가 이곳에 처음 거주했다. 1886년 여진족이 팠던 고대 우물이 그곳에서 다시 발견되었고, 이로써 더 많은 한인과 한족이 그 주변으로 모여들게 되었다. 이 수원水源의 중요성을 강조하려고 이 마을은 ‘용의 우물’이라는 뜻의 ‘용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용정은 토양이 비옥하고 관개에 적합했으므로 이 지역에서 발달한 촌락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1900년경에는 용정의 한 논에서 벼가 성공적으로 재배되었는데, 이는 간도 전역에서 첫 사례였다. 1907년까지 이 촌락에는 101개 가구(조선인 96개 가구, 중국인 5개 가구)가 살고 있었다. 마을 주민 400명 중 4분의 1은 소작농이었고 나머지는 자작농이었다. 인근 주민들은 한 달에 여섯 번씩 용정의 농촌시장에 모여 옷과 식료품을 구입했다.
간도 지역 일진회는 간도파출소와 기꺼이 결탁했다. 많은 일진회 회원이 자기 소유 토지를 절실히 원하는 빈농이었다. 어떤 방법을 사용해서라도 한국이 두만강 북안의 영유권을 확보하는 것이 그들에게는 가장 이익이 되는 일이었다. 1907년 8월 설립되었을 때 간도파출소에서는 함경북도와 간도의 일진회 지부 회장들을 포함하여 일진회 회원 총 19명을 직원으로 고용했다. 또한 일본은 일진회 회원들을 촌락과 마을 공동체 지도자로 임명하여 청에서 임명한 자들에 대항하게 했다. 일진회는 일본의 지원에 힘입어 전성기에는 1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13개 사립학교를 설립하는 등 간도 지역 전체로 확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