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단군이 영어했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94626192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4-07-20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94626192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4-07-20
책 소개
고대 우리 민족이 여러 대륙으로 뻗어나가 영어의 근간이 되는 언어를 전파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우리 고대 역사의 전반적인 흐름과 배달민족의 이동 경로, 고인들의 분포도 등을 정리하였다.
목차
1. 가족 용어 정리
2. 桓雄(환웅)시대 언어 연구
3. 培達民族(배달민족)
4. 부여
5. 고구려
6. 渤海(발해)
7. 코리아와 아리랑
8. 한반도(Korea Peninsula) 인류 서식의 기원
9. 춘하추동(春夏秋冬) 관련 연구
10. 영어로 변한 우리 언어 연구
11. 실크와 실크로드
12. 길가메시의 서사시
13. 아파치 족의 최후 전사 ‘나나’
14. 바다라는 어원
15. 지구의 터전과 생명의 물
16. 무기체계와 영어
17. 불과 관련한 영어
18. 천체 관련
19. 고리족의 어원
20. 우리 문화 보존
결론에 갈음하는 역사적 사실들!
저자의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결론적으로 우리 고유 언어가 영어에 많이 섞여 있는 것은 우리 민족이 어떤 형태로든 영국의 초기 민족 언어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는 정황이다. 어쩌면 훈족의 언어를 사용했을 수도 있고 商團(상단)으로 참여했을 수도 있고 아니면 노동자 빈민으로 살았을지도 모른다. 또한 우리 조상 장례문화인 고인돌 무덤이 한반도에서 시작하여 유럽에서 끝난다는 게 우리 민족과 관련성을 유추할 수도 있다. 어쨌든 영어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시기에 어떤 형태로던 영향을 끼치는 위치에 있었으리란 정황이라 할 것이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