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시간관리/정보관리 > 시간관리
· ISBN : 9788994643267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12-06-3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프롤로그
1장. 어떻게 독서해야 하는가
-더 좋은 ‘기술’로 읽어라
-한 권을 읽더라도 ‘빨리’ 읽어라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2장. 패스트 리딩이란 무엇인가
-속독, 지식의 속도를 높이다
-속독의 세 가지 패러다임
-왜 빠르게 읽기 시작했을까?
-속독이 필요한 세 가지 이유
-속독에 대한 오해와 진실
3장. 패스트 리딩 시작하기
-패스트 리딩은 단순한 속독과 다르다
-패스트 리딩의 기술과 방법
4장. 패스트 리딩 향상의 7가지 조건
-독서준비, 더 잘 읽기 위해서
-독서 전, 시작은 절반 이상이다!
→ 태도와 목표, 선택과 구매, 환경과 습관, 시간과 계획
-독서 중, 글자가 아닌 책을 읽어라! → 기술과 방법
-독서 후, 삶의 변화와 성장 → 지식과 분량, 적용과 활용
에필로그
SPECIAL TIP 패스트 리딩 독서 메모
리뷰
책속에서
직장인들 업무의 30퍼센트 정도는 ‘읽기’와 관련되어 있다. 읽기 속도를 두 배 높이면, 하루 평균 75~90분 정도의 여유시간을 가질 수 있다. 그 시간에 온전히 쉴 수는 없겠지만, 일을 좀 더 여유롭게 할 수 있고 창의적인 생각을 더불어 할 수 있다. 바빠도 너무 바쁜 직장인들에게 속독은 그들의 부족한 시간을 구해줄 중요한 기법이다.
과속읽기에서 일반적으로 권장하는 속도인 1초에 한 페이지, 즉 한 장을 넘길 때 2초의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다.
과속읽기에서 흔히 저지를 수 있는 실수는 ‘읽기’라는 단어의 의미에 붙들려 빠르게 책장을 넘기는 가운데에서도 단어를 하나씩 읽으려 한다는 것이다. 개인마다 읽기와 보기의 정의가 다르지만, 과속읽기에서는 단어를 하나씩 읽으려 하지 말고 시야를 확대하여 전체를 보는 것을 습관화해야 한다.
선택이해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지금 독서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내용이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 부분만을 선택하여 읽는 것을 말한다. 넓게는 내가 원하는 책이 어디에 있는지부터 시작하여 좁게는 그 책이 어떤 책인지, 그리고 내가 찾고자 하는 것이 그 책의 어느 부분에 있는지를 알고 그것을 선택해 이해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선택이해에서 전제되어야 할 것은 무엇일까? 바로 ‘목적’과 찾고자 하는 내용의 ‘위치 값’이다. 내가 지금 무엇을 찾고 있는가, 목적이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첫 단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