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洪海理는 어디 있는가

洪海理는 어디 있는가

(홍해리 시선집)

홍해리 (지은이)
움(도서출판)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洪海理는 어디 있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洪海理는 어디 있는가 (홍해리 시선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94645490
· 쪽수 : 250쪽
· 출판일 : 2019-04-25

목차

들머리에

명창정궤明窓淨几의 시를 위하여 7

가을 들녘에 서서 23
가을 엽서 24
감자 26
개망초꽃 추억 28
개화 30
갯벌 32
겨울아침의주차장에서 33
계영배 35
그녀가 보고 싶다 37
그리움을 위하여 39
금강초롱 41
김치, 찍다 42
까치와 권총 44
꽃 45
꽃나무 아래 서면 눈물나는 사랑아 46
꿈꾸는 아이들 47
난蘭과 수석壽石 49


난꽃이 피면 51
난초꽃 한 송이 벌다 53
다시 가을에 서서 55
달항아리 57
대금 산조 59
대풍류 66
독 68
독종毒種 69
둥근잎나팔꽃 71
마시는 밥 73
만공滿空 74
망망茫茫 - 나의 詩 75
망종芒種 76
매화나무 책 베고 눕다 77
매화, 눈뜨다 79
먹통사랑 81
명자꽃 83
무화과無花果 84
무교동武橋洞 • 1 85
무교동武橋洞 • 15 88
무위無爲의 시 92
물건 94
물의 뼈 96
밥 98
방짜징 100


봄, 벼락치다 102
부채 104
비밀 105
비백飛白 107
사랑 109
산벚나무 꽃잎 다 날리고 110
산수유 112
그 여자 산책 114
살풀이춤 115
상사화 120
새는 뒤로 날지 않는다 122
새벽 세 시 123
샘을 품다 124
석류 126
선덕여왕善德女王 128
선화공주善花公主 129
설마雪馬 131
설중매 앞에 서서 133
세이천행洗耳泉行 135
소금과 시 140
소금쟁이 142
소심 개화素心開花 143
수련睡蓮 그늘 145
숫돌은 자신을 버려 칼을 벼린다 147
시간과 죽음 149


시時를 쓰다 152
시월 154
시인이여 詩人이여 156
아름다운 남루 158
안개꽃 159
얼음폭포 160
연가 161
연대기 163
옥계 바닷가에서 169
옥매원의 밤 170
왜 이리 세상이 슬픈 것이냐 171
우리들의 말 172
우이동솔밭공원 174
우화羽化 176
웃음의 둥근 힘 177
은자隱者의 꿈 179
자귀나무꽃 181
자벌레 183
장을 읽다 184
종이 있는 풍경 186
지는 꽃에게 묻다 188
지는 꽃을 보며 189
지족知足 190
찔레꽃에게 191
참꽃여자 • 1~5 193

참나무 그늘 196
첫눈 198
초여름에서 늦봄까지 200
추억, 지다 204
층꽃풀탑 206
타작 207
투망도投網圖 209
팽이는 때려야 돌고 돌아야 선다 215
하동 여정河東餘情 216
해당화 217
헌화가 218
호박 219
홍해리洪海里는 어디 있는가 221
홑동백꽃 223
화사기花史記 224
황금감옥黃金監獄 231
황태의 꿈 233

끝머리에

고운야학孤雲野鶴의 시를 위하여 235
연보 245

저자소개

홍해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충북 청주에서 출생 고려대 영문과를 졸업(1964)하고 1969년 시집『투망도投網圖』를 내어 등단함. * 시집 『투망도投網圖』(선명문화사, 1969) 『화사기花史記』(시문학사, 1975) 『무교동武橋洞』(태광문화사, 1976) 『우리들의 말』(삼보문화사, 1977) 『바람 센 날의 기억을 위하여』(민성사, 1980) 『대추꽃 초록빛』(동천사, 1987) 『청별淸別』(동천사, 1989) 『은자의 북』(작가정신, 1992) 『난초밭 일궈 놓고』(동천사,1994) 『투명한 슬픔』(작가정신, 1996) 『애란愛蘭』(우이동사람들, 1998) 『봄, 벼락치다』(우리글, 2006) 『푸른 느낌표!』(우리글, 2006) 『황금감옥』(우리글, 2008) 『비밀』(우리글, 2010) 『독종毒種』(도서출판 북인, 2012) 『금강초롱』(도서출판 움, 2013) 『치매행致梅行』(도서출판 황금마루, 2015) 『바람도 구멍이 있어야 운다』(도서출판 움, 2016) 『매화에 이르는 길』(도서출판 움, 2017) 『봄이 오면 눈은 녹는다』(도서출판 움, 2018)와 * 시선집 『洪海里 詩選』(탐구신서 275, 탐구당, 1983) 『비타민 詩』(우리글, 2008) 『시인이여 詩人이여』(우리글, 2012)를 냈음.
펼치기

책속에서

고운야학孤雲野鶴의 시를 위하여

나에게 시는 무엇이고,
시인은 누구인가?
시에 대하여,
시인에 대해 내가 나에게 다시 한 번 묻는다.

꽃을 들여다보니 내가 자꾸 꽃에게 길들여지고 있다
꽃을 봐도 가장 중요한 것은 보이지 않는다
가장 아름답고 감미로운 꽃의 노래는 들리지 않는다
내가 보는 것은 껍질뿐
껍질 속에 누가 청올치로 꼭꼭 묶어 놓은 보물이 들어 있는가
텅 빈 멀떠구니 하나 아직도 배가 고파
몸속에 매달려 껄떡이고 있다
자연을 잊고, 잃었기 때문이다 욕심의 허물을 벗어 허물이 없는 詩, 너를 기다리는 마음이 늘 그렇다.

알고 나면 아무것도 아닌 것이 너무나 많다
모르기 때문에 우리는 몰입하는 것이다
마중물 같은 시, 조촐하고 깨끗한 시 한 편을 만나고 싶어
뚱딴지같이 천리 길도 머다 않고 햇살처럼 달려나가지만
나는 늘 마중만 나가고 너는 언제나 배웅만 하고 있다
내가 나를 이기지 못해 흘리고 있는 눈물 속에
시가 별것 아니라고 너와 별거를 할 수가 있는가
사람 사는 일이란 길을 트고 길이 들고 길을 나는 것이 아닌가
푸르게 치닫는 치정의 산하로
강 건너 웃는 소리 들리지 않고 산 너머 우는 모습이 보이지
않으면 어찌 우리가 하늘까지 닿을 수 있겠는가
마디게 더디더디 익어가는 시도 언젠가는 향기롭게 익으리니
나무가 본능으로 햇빛을 향해 몸을 뒤틀 듯
그리 해야 시가 다가오지 않겠는가.

호박꽃 속에서는 바람도 금빛으로 놀고 있다
호박벌 한 마리 황궁 속에 들어가면
금방 황금도포를 걸치고 활개 치는 금풍金風이 요란하다
둥근 침실로 내려가 신부를 맞이하면 어찌 세상이 환하지 않으랴
금세 젖을 물고 있는 아기가 보인다
푸른 치마를 걸친 시녀들이 줄줄이 부채 들고 바람을 맞이하고 있다
하인들은 더듬이손으로 도르르 감고는 놓으려 들지 않는다
사랑이란 기갈나고 감질 나는 것이 아니던가
줄줄이 태어나는 왕자와 공주들
이제 천지 사방으로 벋어 나가면 온 세상이 금빛 바람 부
는 영토가 되리라
시도 이렇게 태어난다면 얼마나 좋으랴.

시여, 너를 꿈꾸다 깬 몽롱한 새벽 나 혼자 아득하다
머리맡의 파돗소리 잠들고 백사장은 텅 비어 있다
꿈이란 내가 꾸는 것이어서 너는 똑똑히 기억하고 있겠지만
나는 잊어버리기 일쑤지
일수를 빌려 얼마를 갚고 남은 것이 몇 푼인가
도무지 기억이 아물아물 아련하다
꾼다는 것은 잠시 빌려 쓰는 것이라서 갚기는 갚아야 하는데
한여름 저녁나절 자귀나무꽃 아래서 나는 무슨 꿈을 꾸고 있는지
자귀나무는 내 꿈속에서 무엇을 꾸려는지 분홍빛 주머니를
흔들고 있다
자귀나무 꽃이 지고 나면 내 시도 콩꼬투리 같은 열매가 맺
힐 것인가
꿈이 컸으니 바람만 불어 꿈같은 세월이 아득하게 지고 있다.
천둥은 왜 치는가, 천둥은 언제 우는가
울어야 할 때 천둥은 운다, 천 번을 참고 참았다가 친다
피터지게 울고 통곡한다
아무 때나 함부로 우는 것은 천둥이 아니다
번개는 왜 치는가, 번개는 똥개처럼 울지 않는다
옆집 개가 하늘 보고 컹컹 짖을 때 똥개는 따라 짖는다
안개도 울고 는개도 운다, 소리 없이 운다
번개는 번득이는 촌철살인의 이론이 있어야 한다
유월이라고 느긋하게 놀면서 보내려 했더니 흐르는 듯 수유
인 듯 가고 만다
미끈유월이라고 시를 만나지 않고 미끈미끈 보낼 수는 없다
내가 쓴 시에서도 번개가 치고 천둥이 우는가 돌아볼 일이다.

혼자 아닌 것이 없다고 함부로 노래하는가, 시인이여
혼자가 아닌 것이 어디 있던가
어느 시인은 ‘혼자인 사람은 아무도 없다’(No man is an
island!)라고 했지
세상에, 세상에 행行이 무엇이고 연聯이 무엇이란 말인가
행간行間에는 무엇이 있는가, 연간聯間에는 또 무엇이 존재
하는가
반평생 너와 살아도 어려운 것은 행간을 읽는 일
연간을 읽는 일이 아니던가
갈 곳이 멀다고 모든 것을 읽고 말면 혼자는 무엇이 될 것인가
혼魂이 자는 자者 행간에 홀로 누워 코나 골고 있을까
나는 혼자인가 혼자가 아닌가
오늘도 욕심 없고 허물없는 시 속으로 몸 던져 자폭하고 싶다.

나이가 몇인데 아직도 사랑타령인가
네 개의 사랑 가운데 마지막 사랑이 손을 놓았다
하룻밤 잠 못 자고 울음을 토하다 시원히 손 흔들며 보내 주었다
잘 가거라 마지막 사랑이여
이제는 사랑 없이 살아야 하는 남은 삶을 어이 할 것인가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살 수 있는가
아무 쓸모 없는 사랑이라면 일찍 버리는 것이 좋다.
‘이’가 사랑을 만나면 ‘사랑니’가 되는 것은 사랑의 속성이지만
사랑도 사랑 나름이어서 쓸데없는 사랑은 과감히 버려야 한다
시에서도 필요 없는 사랑은 사랑니처럼 뽑아버려야 한다.

입추가 되어 혼인비행을 하고 있는
한 쌍의 가벼운 고추잠자리를 보라
하늘이 제 잠자리라고 그냥 창공을 안아버린다
축하한다고 풀벌레들 목청을 뽑고
나무들마다 진양조 춤사위를 엮을 때
한금줍는 고추잠자리는 추억처럼 하늘에 뜬다
내가 쓰는 한 편의 시도
눈과 머리와 몸통과 꼬리와 날개를 가지고
고추잠자리처럼 푸른 하늘에 자유로이 날 수 있을까.
허리띠를 졸라맬 때마다 수도꼭지를 틀곤 했던 시절
주린 배를 물로 채우고 올려다본 하늘은
늘 푸르고 높아 먼 그리움처럼 반짝반짝 윤이 났다
아무리 물 쓰듯 한다지만 수도꼭지는 잠가야 한다
물처럼 쓰고 싶은 시도 꼭지를 잠그고 기다릴 때가 있다
대한大寒도 무섭지만 대한大旱 앞에 견딜 장사가 있는가
물은 생명이다! 라는 구호가 그냥 구호口號가 아니라
구호救護가 되어야 한다
물보다 여리고 욕심 없고 아름다운 것이 세상에 또 있겠는가
시도 그렇다.

바위는 제자리서 천년을 간다.
제 몸뚱어리를 갈고간 조각들이 버력이 되고 모래가 되어
다시 천년을 흙으로 간다.
그렇게 간 거리가 한자리일 뿐, 그래도 바위는 울지 않는다.
바람이 불어오고 강물이 흘러가고 번개 치고 천둥 운들 대수랴.
바위는 조촐하고 깨끗한 제자리를 하늘처럼 지킨다.
바위 같은 시 한 편을 위해 시인은 바위가 되어 볼 일이다.
폐허에, 향기로운 흉터에 또 상처를 남기기 위해
가슴속에 자유라는 섬 하나 품고 살거라
너도 상처를 입어 봐야 올곧은 자세로 시 앞에 서게 될 것이다
바람은 다리속곳 바람으로 대고 꿈꾸며 불고
물위를 탐방탐방 뛰어가는 돌처럼 우주의 자궁에서 아기별이 탄생하고 있다
웃음이 그칠 때까지, 눈물이 마를 때까지
바람 바람 울어라, 바람 바람 불어라
시도 그렇게 태어나기 마련이다.

시는 자연이 보내는 연애편지, 시가 맛이 가면 사랑은 떠난다
시가 상하고 시는 날에는 사람들이 식상하는 법이다
갓 시집온 새색시 시장바구니에서 싱싱한 참붕어를 꺼내 놓고
그냥 두면 쓰레기 될 퍼런 무청을 말린 시래기에 파 마늘 생
강 콩나물 무 감자 인삼 양파 깻잎 쑥갓 밤 대추 기름 고춧가루
사골육수 청주까지 듬뿍듬뿍 넣고 찜을 만들어 새신랑 돌아올 때까지 기다려라
상 차려 덮어놓고 맛있는 술도 한 병 준비한 다음…시는 냉장고에 넣어야 한다
생선회도 숙성을 해야 맛이 더하듯 시도 잘 숙성을 시켜야 한다.

자리끼가 놓이던 자리에 백지 한 장 펼쳐 놓고
밤새도록 잠 속에서, 꿈속에서 싸우고 있다
그물과 작살을 바다에 던지고 흐르는 물에 낚시를 드리운다
허공에 그물 치고, 앞산 뒷산에 덫과 올무도 설치한다
고래는 못 잡아도 노루 토끼 고라니 멧돼지는 잡아야지
풀씨나 나무열매라도 털고, 멧비둘기 꿩 메추라기라도 잡아야지
버들치 갈겨니 쉬리 동자개 참마자 치리라도 잡고 싶은 밤은 어이 빨리 지새는가
꿈을 깨고 나면 열심히 암송했던 명시(?) 한 편이 간 곳이
없다 詩앗이나 詩알은 때를 놓치지 말고 그때 그때 잡아야 한다.

주머니에 손을 넣고 걸어가면서 가래 두 알을 달그락달그락 굴리다 보면 살불이 일어 손바닥에 별이 뜬다. 시의 별이 가슴에 와 안긴다.
무쇠솥 걸어 놓은 아궁이에 발갛게 타는 참나무 장작불
겨울 하늘까지 탁 탁 튀어오르는 불알, 불의 알처럼 영혼이
뜨겁다
시도 푸른 불알처럼 우리 가슴속에서 불타올라야 한다
하늘에 뜬 별처럼 반짝반짝 빛나야 한다.

높이가 없으면 산이 아니고 깊이가 없으면 바다가 아니다
넓이가 없으면 하늘이나 들이 되지 못한다
한 편의 시도 높이와 깊이, 넓이가 있어야 한다
오늘도 새벽 세 시 한 대접의 냉수로 주린 영혼을 씻고 몸과 마음에 촛불을 밝힌다
시는 내 영혼이 피워내는 향기로운 꽃이요, 그 꽃이 맺는 머드러기이다
시는 아무리 마셔도 물리지 않는 물이요 씹을수록 단맛이 나는 밥이다
보이지 않는 공기와 물과 밥이 만들어내는 한 방울의 뜨거운 피와 뼈다
시는 내 집이요 길이요 빛이요 꿈이다
우리의 영토에 드리우는 시원하고 환한 솔개그늘이다.

이름 없는 풀이나 꽃은 없다, 나무나 새도 그렇다
이름 없는 잡초, 이름 없는 새라고 시인이 말해서는 안 된다.
시인은 모든 대상에게 이름을 붙여주고 그 이름을 불러 주는 사람이다
이름없는 시인이란 말이 있다
시인은 이름으로 말해선 안 된다 다만 시로 말해야 한다
이름이나 얻으려고 장바닥의 주린 개처럼 진자리 마른자리
가리지 않고 기웃대지는 말 일이다
그래서 천박舛駁하거나 천박淺薄한 유명시인이 되면 무얼 하겠는가
속물시인, 시인이라는 이름으로 꺼귀꺼귀하는 속물이 되지 말 일이다
가슴에 산을 담고 물처럼 바람처럼 자유스럽게 사는 시인
자연을 즐기며 벗바리 삼아 올곧게 사는 시인
욕심없이 허물없이 멋을 누리는 정신이 느티나무 같은 시인
유명한 시인보다는 혼이 살아 있는 시인, 만나면 반가운 시
를 쓰는 좋은 시인이 될 일이다.

如是我聞! - 시선집 『시인이여 詩人이여』(2011, 우리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