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88994747002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0-12-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
골치 아픈 IFRS가 도입되다!
Preview / Warming-up
Section 1 IFRS가 도대체 뭐야?
Lesson 1 이제 회계도 국제화 시대
Lesson 2 국제회계기준 왜 도입되는 걸까?
Lesson 3 우리나라가 도입한 IFRS의 내용
Lesson 4 IFRS 도입에 따른 실익과 문제점
Lesson 5 IFRS 도입으로 분식회계가 없어질까?
Lesson 6 국제회계기준 로드맵
Lesson 7 국제회계기준 정복법
회계 고수가 되기 위한
BOOK IN BOOK 국제회계기준 도입과 재무 영향
Section 2 IFRS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쌓기
Lesson 1 회계는 경영의 산물이다
Lesson 2 IFRS 재무제표 표시방법
Lesson 3 재무상태표의 구조와 원리
Lesson 4 K-IFRS 포괄손익계산서의 구조와 원리
Lesson 5 자본변동표는 왜 작성될까?
Lesson 6 현금흐름표의 가치를 발견하라
회계 고수가 되기 위한
BOOK IN BOOK 재무제표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Section 3 K-IFRS 재무상태표 해부하기
Lesson 1 IFRS 재무상태표의 특징
Lesson 2 자산항목의 분류
Lesson 3 부채에는 어떤 항목들이 있을까?
Lesson 4 자본항목 자세히 구경하기
Lesson 5 재무상태표 완전히 정복하기
회계 고수가 되기 위한
BOOK IN BOOK
Ⅰ 우리 기업들의 자본구조는 튼튼할까?
Ⅱ 재무건전성을 따지는 방법
Section 4 K-IFRS 포괄손익계산서 따라잡기
Lesson 1 기타포괄손익 도대체 뭐야?
Lesson 2 포괄손익계산서 보고 형태 네 가지
Lesson 3 비용의 분류가 핵심이다
Lesson 4 기능별 비용 자세히 보기
Lesson 5 성격별 비용 자세히 보기
Lesson 6 포괄손익계산서에서 얻는 정보들
회계 고수가 되기 위한
BOOK IN BOOK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 작성사례
Section 5 IFRS의 핵심, 공정가치 평가
Lesson 1 왜 공정가치가 중요한가?
Lesson 2 공정가치 평가가 필요한 항목들
Lesson 3 공정가치 평가와 재무영향
Lesson 4 원가 대 재평가, 그리고 공정가치모형의 비교
Lesson 5 원가모형 회계처리 사례
Lesson 6 재평가모형 회계처리 사례
Lesson 7 공정가치 평가모형 회계처리 사례
Lesson 8 공정가치 평가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
회계 고수가 되기 위한
BOOK IN BOOK 자산손상 회계
Section 6 보유주식과 연결재무제표
Lesson 1 유가증권과 회계상 쟁점
Lesson 2 단기매매금융자산과 실현 손익
Lesson 3 매도금융자산의 평가손익 처리
Lesson 4 달라진 매도가능금융자산 처분손익계산
Lesson 5 보유지분에 따라 지분법과 연결이 결정된다.
Lesson 6 관계회사와 지분법 회계
Lesson 7 지분율 50% 초과와 연결회계
회계 고수가 되기 위한
BOOK IN BOOK 연결재무제표와 재무적 영향
Section 7 달라진 주요 재무상태표 항목
Lesson 1 금융자산 ·금융부채의 구분
Lesson 2 금유자산의 측정방법
Lesson 3 재고자산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Lesson 4 달라진 유형자산의 회계
Lesson 5 투자부동산과 공정가치 평가
Lesson 6 확 달라진 무형자산 회계
Lesson 7 연구개발비는 자산인가, 비용인가?
Lesson 8 다시 공부해야 할 무형자산의 상각방법
Lesson 9 합병 때 발생하는 영업권 회계처리
Lesson 10 금융부채
Lesson 11 충당부채와 우발부채
Lesson 12 자본조정과 기타포괄손익누계액
회계 고수가 되기 위한
BOOK IN BOOK 변화무쌍한 자본항목
Section 8 달라진 포괄손익계산서 독파하기
Lesson 1 수익의 인식방법
Lesson 2 수익이 측정방법
Lesson 3 마일리지제도와 수익인식
Lesson 4 달라진 아파트 등 분양매출과 수익인식
Lesson 5 달라진 종업원퇴직급여 처리법
Lesson 6 수취채권에 대한 대손상각비
Lesson 7 환율변동과 외화환산손익처리
회계 고수가 되기 위한
BOOK IN BOOK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부록 1 K-IFRS 도입에 따른 법인세 대책
부록 2 K-IFRS 도입에 따른 세제개편안
마무리 글 - 생존경쟁에서 살아남는 법!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을 펴는 순간 독자 여러분들은 국제은행에서 근무하고 있는 신고수 팀장과 회계에 박식한 김회계 대리 그리고 매사 통통 튀는 석민혜 같은 주인공들을 만나게 된다. 이들은 회계 분야에서 유명한 한인물 강사로부터 교육을 받으면서 국제회계기준이 뭔지 하나씩 이해하게 된다. 이런 설정이 책에 도입된 배경은 ‘복잡하고 머리 아픈 회계’라는 여러분의 고정관념을 조금이라도 무너뜨리기 위해서다. 물론 공부하는 내용 전체가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는 건 아니지만, 본문 중간중간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야기들은 여러분이 회계와 친숙해지는 느낌을 갖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전반적으로 실무에 꼭 필요한 것들, 아주 기초적인 내용들을 훑고 있으니 회계지식을 조금이라도 갖고 있다면 초보자라도 ‘아, 이게 국제회계기준이구나’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이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면서 책에 나오는 팀원들처럼 독자 여러분도 국제회계기준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기를 기대한다. (들어가는 말 중에서 -)
“부끄러운 얘기지만 한때 코리아 디스카운트란 말이 있었죠? 물론 분식을 염두에 둔...”
신고수 팀장이 말을 꺼냈다.
“그런 말을 들어본 것 같아요. 그런데 팀장님, 한 가지 궁금한 게 있습니다.”
석민혜가 질문을 한다.
“민혜씨, 뭐죠? 말씀해 보세요.”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내부 회계인력을 운용하고 있고, 큰 기업들은 대부분 회계감사라는 것을 받잖아요. 그런데 왜 이런 말들이 나오는지 이해할 수 없네요. 그리고 국제회계기준이 도입되면 이러한 문제가 말끔히 없어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신고수 팀장의 입에서는 답변이 나오지 않았다. 석민혜의 말에 일리가 있기 때문이다.
“좋은 지적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국제회계기준이 도입되었으니 이런 문제가 많이 개선될 거라고 봐요. 물론 이쪽 업계에서 많은 노력들이 있어야 하겠죠.”
“팀장님, 이 기회에 국제회계기준에 따른 실익과 문제점을 정리해 보면 어떨까요?”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실익과 문제점 중에서-)
기존 국내기준에 의한 재무제표의 종류에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주석 등이 있다. 반면 IFRS에서는 대차대조표가 재무상태표로 손익계산서는 포괄손익계산서로 이름이 바뀐다. 그리고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가 재무제표에서 제외된다. 다만,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상법 등에서 작성을 요구하므로 이를 주석에 기재해야 한다. 따라서 IFRS의 재무제표의 종류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주석 정도가 된다. 여기서 재무상태표의 경우, 종전 대차 개념에 입각해 균형에 초점을 맞춘 것에서 일정 시점의 실질 재무상태가 어떠한가를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개념은 실무상 큰 의미가 없어 재무상태표가 아닌 대차대조표로 불러도 어디 가서 무식하다는 소리를 듣지 않는다. 손익계산서는 어딘가 모르게 낯설어 보이거나 다소 어렵다고 생각되는 개념인 기타포괄손익이 포함된 형태로 작성된다. 기타포괄손익이란 녀석은 자본거래가 아닌 곳에서 발생한 순자산의 변동액으로서 당기손익에 포함되지 않는 미실현손익을 말한다. 당기손익에 포함되면 굳이 포괄손익계산서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데 기타포괄손익을 손익계산서에 반영시키려고 하다 보니 명칭이 변경된 것이다.
(달라진 재무제표의 종류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