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94747736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17-02-28
책 소개
목차
이 책에 쏟아진 찬사
들어가기
1부
1장 부담감의 막강한 힘
당신이 모르는 부담에 관한 진실|똑똑한 학생들이 왜 부정행위를 저지르는가?|마이클 조던은 위기에 강하지 않다|성공한 사람들의 조금 특별한 부담감 대처법
2장 부담은 스트레스를 부른다
성공해야 한다는 생각은 부담이 된다|성공을 결정하는 부담감|스탠퍼드는 어떤 사람이 입학할까?|오늘 발표는 당신의 이력에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3장 부담이란 무엇인가
당신이 부담을 느끼는 순간
4장 나는 왜 잘하고 싶은데 잘하지 못할까?
선수의 악몽|부담은 어떻게 사람들을 초크에 빠뜨릴까?|상어에게 잡아먹히지 않고 함께 수영하는 방법|당신을 방해하는 생각들|<샤크 탱크>쇼에서 승리하는 법|부담은 어떻게 행동하게 하는가|평소 그대로의 모습으로
5장 부담이 사고에 끼치는 영향
위기로 볼 것인가, 도전의 기회로 볼 것인가?|인지 왜곡이란?|일생일대의 기회라는 착각은 금물!|부담감을 증폭시키는 확대 해석|부담 조절 장치
6장 부담감의 함정
함정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응원을 열심히 하면, 경기가 더 잘 풀릴까?|인센티브는 오히려 성과를 저해한다|1위가 되기 위해 노력하면 안 되는 이유|함정을 피할 방법
7장 제 3의 변수
잘못된 낙인의 문제점|문제가 심각할 때|생물학적 특성에 따른 반응 강도 차이
2부
부담감 극복책
부담감을 극복하는 22가지 방법을 사수하라
3부
갑옷처럼 입고 다닐 ‘코트COTE’를 제작하라
부담감을 극복하는 장기적인 전략 ‘코트 제작’
‘코트’의 기원
자신감
자신감의 본질|자신감은 대형 화재도 잠재운다|자신감 기르기|자세와 뇌|시각화를 통해 뇌의 전원을 켠다|승자 효과|승자 효과가 뇌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소소한 성공을 만들어나간다|자신감을 북돋우는 생활습관을 기른다|총정리
낙관
낙관주의자가 누릴 수 있는 혜택|낙관주의의 본질|낙관 스펙트럼|낙관적인 시각을 불어 넣는다
끈기
끈기의 징글 쟁글 오류|재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끈기 DNA|목표|집중|결정 피로 현상|아침 식사를 하면 일을 더 끈기 있게 할 수 있을까?|희망|대처|끈기 있는 사람이 되는 방법
열정
열정의 뿌리|긍정적인 감정이 미치는 효과|열정의 과학|픽사가 <토이 스토리2>를 성공시킬 수 있었던 이유|열정을 북돋우는 방법|긍정적인 정체성 확립|열정을 불러일으킬 단기적인 전략
참고문헌
책속에서
부담감은 사람들의 선택에도 영향을 끼친다. 스타이브슨트 고등학교Stuyvesant High School는 뉴욕에 자리한 아홉 개의 명문 공립 고등학교 가운데 단연 최고로 손꼽힌다. 특목고 입학시험Specialized High Schools Admissions Test을 통해 학생들을 선발하는데 경쟁이 굉장히 치열하다. 학생들은 졸업을 하고 나면 미국 명문대에 입학하곤 한다. 현재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 다니고 있는 비네이 메이어Vinay Mayar는 그 고등학교의 2010년 졸업생 대표였다.
그는 졸업생 대표 고별사에서 학업에 대한 심한 부담감을 토로했다. 스타이브슨트 고등학교에서는 ‘교실로 걸어가면서 복도에서 숙제 베끼기’, ‘자유 시간에 무단으로 학교 드나들기’, ‘페이스북을 통한 광범위한 부정행위’ 등을 흔히 경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급우들을 “서로 싸울 준비가 되어 있는, 강인한 사람들의 불안정한 집단”이라고 했다. 불과 몇 달 전,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가장 악명 높은 부정행위중 하나가 스타이브슨트 고등학교에서 일어났다. 백여 명의 ‘우수한’ 학생들이 조직적인 부정행위에 연루되었다. 하지만 그것은 그 학교만의 문제가 아니다. 부정행위 스캔들은 부담감이 극심한 명문 고등학교 및 대학교에서 심심치 않게 일어나는 일이다.
결과가 당신에게 중요하고 불확실할수록, 그리고 결과에 책임을 많이 느낄수록(그 결과로 자신이 평가받게 되리라 생각할수록), 부담감은 심해지고 좋지 못한 성과를 올릴 가능성은 높아진다. 결과가 당신에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뇌는 중요한 일에 먼저 주의를 기울이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그리고 중요한 일은 그만큼 심적 부담을 가중한다.
따라서 중요한 일을 완수해야 할 경우 우리는 모두 심적 부담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초기 인류는 포식동물과 마주쳤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하든지 아니면 목숨을 잃든지 둘 중 한 가지 선택밖에 없었다. 그 후 심적 부담이 극대화되는 위태로운 순간은 거의 항상 ‘모 아니면 도’였다. 선수가 필드골을 찼을 때 얻을 수 있는 결과는 골을 넣느냐 넣지 못하느냐 이렇게 두 가지 뿐이다. 어떤 방식으로 골을 넣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공이 골대를 맞지 않고 들어가든, 아니면 골대를 맞고 운 좋게 들어가든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득점에 성공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비즈니스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사람들에게 새로운 마케팅계획안의 필요성을 납득시킬 때 당신이 얻을 수 있는 결과도 설득에
성공하느냐 실패하느냐 이렇게 두 가지뿐이다. 중간은 거의 없다. 이것이 바로 부담되는 순간의 특징이다. 이 순간의 평가는 냉정하다. 성공 아니면 실패뿐이다.
학교 음악회를 상상해 보자. 딸아이가 처음으로 공연을 하게 되었다. 딸아이는 몇 주 동안 독주 연습을 했고, 이제 완벽히 ‘자동으로’ 연주하며 노래할 수 있다. 무대의 막이 오르자, 딸아이는 전적으로 혼자다. 아이는 언제나처럼 허리를 꼿꼿이 세우고, 미소를 지으며, 감미로운 목소리로 노래 부르며 부드럽게 기타를 연주하려 주의를 집중한다. 아이는 손가락 동작 하나하나에 신경을 쓰기 시작한다. 그녀는 다른 줄을 치는 실수를 저지르고 음정을 틀린다. 몇 주 사이에 처음 있는 일이다. 아이는 초크에 빠지기 시작한다.
여기서 아이가 초크에 빠진 것은 연주하고 노래하는 방법이 절차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너무 잘하고 싶은 욕심에,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는 ‘무의식적’ 기술을 ‘의식적’으로 써먹으려 하
니, 연주 속도가 느려지고 조화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그 결과 철저히 준비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연주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