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9475225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2-09-21
책 소개
목차
서론
제1장 진지한 무신론
신앙에 대한 투사이론
검증되지 못한 프로이트의 불신앙이론
무신론에 대한 새로운 이론: 결함 있는 아버지 가설
제2장 무신론자와 그의 아버지
죽은 아버지
유약하고 학대하는 아버지
기타 무신론자
현대의 무신론자
제3장 유신론자와 그의 아버지
제4장 확장과 수정
아버지 역할을 대신하는 존재
정치적 무신론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무신론자 아버지
남성과 여성의 몇 가지 차이점
예외
기타 불신앙의 심리
제5장 피상적 무신론 : 개인적인 이야기
일반적 사회화
특수한 사회화
개인적 독립
개인적 편의
기타 전형적인 사례
제6장 결론
지능, 야망, 의지
완전한 모델
주
색인
리뷰
책속에서
실제로 많은 무신론자들이 신앙인을 가리켜 환상, 무의식적이고 유아적인 욕구, 기타 심리적 문제를 앓고 있는 자들이라고 주장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무신론 진영은 종교적 신념의 대부분이 현실의 속성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심리적 요소에서 발생한다는 공격적인 해석을 견지해왔다. 게다가 이런 해석은 폭넓은 영향력을 미쳤다. 즉 신이라는 존재는 인간 욕구의 투사(projection)일 뿐이라는 이론은 이미 유명한 무신론의 입장이며 무수한 대학 과정에서 그대로 교육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님을 거부하는 이들이 종교를 효과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사용한 심리학적 개념은, 동시에 그들 자신의 불신앙을 설명하는 데도 쉽사리 이용될 수 있는 양날의 검일 수 있다.
결국, 무신론의 심리를 탐구하는 이유는 현대의 일반적인 역사적 흐름 중 과연 어떤 힘이 무신론적 태도 형성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는가를 이해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우리는 유명한 무신론자들의 삶에서 심리적 요소들을 살펴봄으로써 유사한 심리를 배양한 사회적·경제적 조건들이 또한 어떻게 무신론의 확산에 기여하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심리학적 관점에서 출발함으로써 어떻게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이 될 수 있었는가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무신론의 심리학과 사회학 사이에는 일종의 동시성이 존재한다.
자연스럽게 니체는 아버지의 병약함과 아버지가 믿던 기독교를 연결시키게 된다. 기독교와 기독교 도덕, 기독교 신학의 예수와 하나님에 대한 전반적 의미에서 니체가 주로 비판한 지점은 이 종교가 “생명력”(life force)이 없다거나 심지어 그것을 거부한다는 것이었다. 대신에 니체 스스로 선택한 신은 디오니소스, 생명력에 대한 강렬한 이교적 표현이었다. 따라서 니체가 하나님과 기독교를 거부한 것은 병약한 아버지를 거부한 것으로 이해해도 무방할 것이다.···요약하면, 니체 안에서 우리는 니체가 사랑하고 존경했던 아버지, 그러나 병약하고 무력하여 “죽음의 힘”―니체가 이상화한 초인의 형상과는 정반대―으로 표현되는 기독교적이었던 아버지에 반응하는 강인한 남성을 발견한다. 니체의 전기를 썼던 저술가 중 한 사람의 언급처럼 이 철학자의 생애 대부분은 끊임없는 “아버지에 대한 추구”로 이해될 수 있다. 사실 초인은 니체가 이상화한 아버지의 모습이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