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연문명 地緣文明

지연문명 地緣文明

르우안웨이 (지은이), 김혜준, 최형록 (옮긴이)
심산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350원
3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연문명 地緣文明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연문명 地緣文明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명/문명사
· ISBN : 9788994844107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11-05-10

책 소개

지리-자연적 인접성에 입각하여 서로 다른 문명 내지는 인류 공동체 간의 상호 작용을 강조하는, 문명사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책이다. 저자는 특히 지연 환경과 자연 조건에 근거한 문명 간의 상호 작용이 한 문명을 형성하는 본질적인 요소라고 주장한다.

목차

서문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기 전에_ 지연 문명의 의미 해석

제1장 서론
1. 지연 문명 개념을 사용하는 이유(Ⅰ)
2. 지연 문명 개념을 사용하는 이유(Ⅱ)
3. 지연 문명의 의미
4. 지연 문명의 구분: 동아시아?유럽?유라시아?남아시아?아메리카?아프리카

제2장 문명의 두 가지 의미
1. 문화 형태로서의 문명과 공동체로서의 문명에 대한 정의
2. 문화 형태와 공동체의 변증 관계
3. 관련 역사적 사실
4. 문명 충돌론에 대한 비판

제3장 문명의 규모와 정체성
1. 사물은 파악할 수 있고 인식할 수 있는 규정성을 가지고 있는가?
2. 문명은 파악할 수 있고 인식할 수 있는 규정성을 가지고 있는가?
3. 문명 규모와 동질성에 대한 자연조건의 중요성
4. 문명 규모와 동질성에 대한 지연-자연환경의 중요성
5. 문명의 동질성?주체성에 대한 지연-자연환경의 중요성
6. 중국 전통문화의 위기? ― 장시앙롱 선생과의 토론

제4장 문명의 성격
1. 문명 출현과 발전의 지연-자연조건
2. 문명 성격의 지연-자연 배경
3. 지연-자연환경과 시리아형 문명의 성격 특징
4. 시리아형 문명의 흑백논리적 사유 양상 결과
5. 지연-자연환경과 중국 문명의 평화주의적 성격
6. 문명 성격에 내포된 동력

제5장 문명의 공간운동
1. 문명의 공간운동의 의미
2. 공간운동의 서로 다른 표현 형식
3. 공간적 의미의 문명 상호 작용
4. 지연-자연환경과 문명 규모의 문명 상호 작용에 대한 중요성
5. 공간운동 중의 문명의 동질성과 주체성
6. 지연-인구 의미에서의 문명 확장
7. 종교 형식으로 나타나는 문명 확장
8. 해외 화인에게서 나타나는 문명 확장
9. 유대인에게서 나타나는 문명 확장

제6장 문명 상호 작용 속의 근대성
1. 근대성의 의미와 확산 가능성
2. 근대 과학기술은 서양 문명이 독자적으로 형성한 것이 아니다
3. 근대 자본주의는 서양에서 독자적으로 형성되지 않았다
4. 헌정민주주의는 서양에서 독자적으로 형성되지 않았다

제7장 지연 시각 속의 문명과 정치 행위체
1. 지연 시각을 사용하는 이유
2. 지연 시각의 고찰: 동남아시아?중국?일본?한국
3. 지연 시각의 고찰: 서아시아?북아프리카?지중해?서유럽
4. 지연 시각의 고찰: 러시아

제8장 주변과 중심
1. 주변과 중심의 형성
2. 주변이 중심이 되는 운동의 역사적 증거
3. 지연 정치학 고찰
4. 세계체제론 고찰

제9장 동아시아 공동체
1. 중국: 전통적 동아시아의 정치 중심
2. 일본: 또 다른 핵심 국가
3. 일본의 도전과 전통적 동아시아 정치 질서의 붕괴
4.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역사적 상호 작용
5. 동남아시아 화인
6. 동아시아의 통합: 과거와 현재
7. 동아시아 통합 과정 중의 아세안?한?중?일
8. 동아시아 통합 진행 과정 중의 중일 관계: 역사적 원한에 우선하는 국가이익
9. 동아시아와 몽골?중앙아시아 3국?러시아 극동?호주와의 경제 통합

제10장 문명, 지연 문명, 전 지구화, 전 지구적 문명
1. 문명은 지역적 정체성을 타파한 결과이다
2. 문명과 보편적 종교의 충돌과 융합 속에서의 성장
3. 문명 확장과 전 지구화의 예행연습
4. 전 지구화의 동력인 기술혁명
5. 전 지구화의 특징인 다국적 기업
6. 세계 경제문화와 경제 전 지구화
7. 전 지구화 모습 속의 대정체성과 소정체성
8. 주권의 상대화
9. 하드웨어적 전 지구화와 소프트웨어적 세계 문명

부록
[참고 1-1] 황허 문명 탄생의 기후 메커니즘
[참고 1-2] 지리결정론에 관한 논의
[참고 1-3] 인류의 자연환경에 대한 영향
[참고 1-4] 문화 기질과 특정 지연환경의 결합
[참고 1-5] 거리가 야기하는 이익 상관성의 차이
[참고 1-6] 중국 인구의 저평 지대 집중 분포
[참고 1-7] 토지를 기반으로 한 비혈연적 인류 협력
[참고 1-8] EU는 자신의 리듬에 따라 계속 전진한다
[참고 1-9] 라틴아메리카는 더 이상 미국의 뒤뜰이 아니다
[참고 4-1] 서양 기독교도의 이교도에 대한 박해와 학살의 역사
[참고 4-2] 서양 역사에서 사상 대립으로 발생한 살인의 예
[참고 4-2-a] 성 바르톨로메오 학살
[참고 4-2-b] 십자군의 알비파 진압
[참고 4-3] 피사로의 스페인 원정대가 인디언에게 자행한 피비린내 나는 학살
[참고 4-4] 미국 우익의 호전적 언론을 통해 본 서양인의 흑백논리식 사유양식
[참고 4-5] 정화 선단의 거대한 규모 및 문명사적 의의
[참고 5-1] 송나라의 경제적 성취
[참고 5-2] 초기 불교의 결집과 포교
[참고 6-1] 민족국가 현상의 초문명적 고찰
[참고 6-2] 인구 규모의 함의
[참고 6-3]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 장난(江南) 도시들의 조합
[참고 9-1] 과거제도 흥기의 경제적?정치적 원인에 대한 논의
[참고 9-2] 일본 교과서에 비친 중국
[참고 9-3] 중일 관계 ‘재정상화’ 추진(Ⅰ)
[참고 9-4] 중일 관계 ‘재정상화’ 추진(Ⅱ)
[참고 9-5] 유감과 사죄
[참고 9-6] 중국과 일본은 프랑스와 독일에게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참고 9-7] 어부지리의 교훈: 중국과 일본은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참고 9-8] 러시아 극동과 중국의 밀접한 관계에 대한 러시아 매체의 반응
[참고 9-9] 동아시아정상회담과 동아시아 공동체에 대한 일본 여론의 반응
[참고 10-1] 중앙문명 개념의 오류
[참고 10-2] 민족과 정치적 정체성의 관계
[참고 10-3] NGO와 세계시민사회의 차이점
[참고 10-4] 미국 만화영화와 전자게임에 범람하는 폭력성
[참고 10-5] 문명의 다양성과 역사적 통일성에 관한 고찰

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르우안웨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영국문학을 전공하고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 선전(深?) 대학교 외국어대학 교수 및 학술위원 주임으로 재직하고 있다. 그동안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 하버드 대학 옌칭연구소, 케임브리지 대학 등에서 연구생 또는 방문학자 신분으로 연구를 했다. 주요 저서로는 《문명의 표현(文明的表現)》, 《지연 문명(地緣文明)》, 《자유가 없는 그리스 민주주의(不自由的希臘民主)》, 《20세기 영국소설평론(二十世紀英國小說評論)》 등이 있다. 주요 역서로는 《과학과 종교(科學與宗敎)》 등이 있다. 이 밖에 많은 논문들을 집필하였고, ‘고전학역총(古典學譯叢)’과 ‘인문신지역총(人文新知譯叢)’의 편집을 주관하였고, 그 외 다수의 학술총서 편집위원을 맡은 바 있다.
펼치기
김혜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문과에서 중국 현대문학을 전공하고 《중국 현대문학의 ‘민족 형식 논쟁’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9년 현재 부산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그동안 홍콩 중원대학, 중국 사회과학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샌디에이고 캠퍼스 등에서 연구생 또는 방문 학자 신분으로 연구를 했다. 중국 현대문학사, 중국 신시기 산문, 중국 현대 페미니즘 문학, 홍콩문학, 화인화문문학 등을 연구했거나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단독 또는 공동으로 《중국 현대문학 발전사》(1991), 《중국 당대문학사》(1994), 《중국 현대산문사》(1993), 《중국 현대산문론 1949-1996》(2000), 《중국의 여성주의 문학비평》(2005), 《현대 중문소설 작가 22인》(2014), 《시노폰 담론, 중국 문학―현대성의 다양한 목소리》(2017) 등 관련 이론서를 번역하기도 하고, 《하늘가 바다끝》(2002), 《쿤룬산에 달이 높거든》(2002), 《사람을 찾습니다》(2006), 《나의 도시》(2011), 《포스트식민 음식과 사랑》(2012), 《뱀 선생》(2012), 《술꾼》(2014), 《그녀의 이름은 나비》(2014), 《동생이면서 동생 아닌: 캐나다화인소설선》(2016) 등 수필 작품과 소설 작품을 번역하기도 했다. 저서로 《중국 현대문학의 ‘민족 형식 논쟁’》(2000)이 있고, 논문으로 〈화인화문문학(華人華文文學) 연구를 위한 시론〉(2011) 외 수십 편이 있다. 개인 홈페이지 ‘김혜준의 중국 현대문학(http://dodami.pusan.ac.kr/)’을 운영하면서, 〈한글판 중국 현대문학 작품 목록〉(2010), 〈한국의 중국 현대문학 학위 논문 및 이론서 목록〉(2010) 등 중국 현대문학 관련 자료 발굴과 소개에도 힘을 쏟아 왔다. 근래에는 부산대학교 현대중국문화연구실(http://cccs.pusan.ac.kr/)을 중심으로 청년 연구자들과 함께 공동 작업을 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펼치기
최형록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중국 고전문학을 전공하고 <소옹 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대학교에서 시간강사와 객원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관심 학문 분야는 중국 고전시가의 현대적 가치 재조명과 인간의 존재 가치와 존재 방식을 탐색하는 시 연구다. 또한 소설 장르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공동 번역으로 ≪사람을 찾습니다≫(2006), ≪지연문명≫(2010)이 있다. 논문으로는 <중국고전 시가에 나타난 ‘물’과 ‘사유’의 상관성 연구>(2009), <소옹 시에 나타난 소통의 시학 연구>(2009) <이황과 소옹에 나타난 자연의 표현 방식 연구>(2010), <중국 고전 시가에 나타난 주체와 객체의 융합 양상 연구>(2010)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