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명/문명사
· ISBN : 9788994844107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11-05-10
책 소개
목차
서문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기 전에_ 지연 문명의 의미 해석
제1장 서론
1. 지연 문명 개념을 사용하는 이유(Ⅰ)
2. 지연 문명 개념을 사용하는 이유(Ⅱ)
3. 지연 문명의 의미
4. 지연 문명의 구분: 동아시아?유럽?유라시아?남아시아?아메리카?아프리카
제2장 문명의 두 가지 의미
1. 문화 형태로서의 문명과 공동체로서의 문명에 대한 정의
2. 문화 형태와 공동체의 변증 관계
3. 관련 역사적 사실
4. 문명 충돌론에 대한 비판
제3장 문명의 규모와 정체성
1. 사물은 파악할 수 있고 인식할 수 있는 규정성을 가지고 있는가?
2. 문명은 파악할 수 있고 인식할 수 있는 규정성을 가지고 있는가?
3. 문명 규모와 동질성에 대한 자연조건의 중요성
4. 문명 규모와 동질성에 대한 지연-자연환경의 중요성
5. 문명의 동질성?주체성에 대한 지연-자연환경의 중요성
6. 중국 전통문화의 위기? ― 장시앙롱 선생과의 토론
제4장 문명의 성격
1. 문명 출현과 발전의 지연-자연조건
2. 문명 성격의 지연-자연 배경
3. 지연-자연환경과 시리아형 문명의 성격 특징
4. 시리아형 문명의 흑백논리적 사유 양상 결과
5. 지연-자연환경과 중국 문명의 평화주의적 성격
6. 문명 성격에 내포된 동력
제5장 문명의 공간운동
1. 문명의 공간운동의 의미
2. 공간운동의 서로 다른 표현 형식
3. 공간적 의미의 문명 상호 작용
4. 지연-자연환경과 문명 규모의 문명 상호 작용에 대한 중요성
5. 공간운동 중의 문명의 동질성과 주체성
6. 지연-인구 의미에서의 문명 확장
7. 종교 형식으로 나타나는 문명 확장
8. 해외 화인에게서 나타나는 문명 확장
9. 유대인에게서 나타나는 문명 확장
제6장 문명 상호 작용 속의 근대성
1. 근대성의 의미와 확산 가능성
2. 근대 과학기술은 서양 문명이 독자적으로 형성한 것이 아니다
3. 근대 자본주의는 서양에서 독자적으로 형성되지 않았다
4. 헌정민주주의는 서양에서 독자적으로 형성되지 않았다
제7장 지연 시각 속의 문명과 정치 행위체
1. 지연 시각을 사용하는 이유
2. 지연 시각의 고찰: 동남아시아?중국?일본?한국
3. 지연 시각의 고찰: 서아시아?북아프리카?지중해?서유럽
4. 지연 시각의 고찰: 러시아
제8장 주변과 중심
1. 주변과 중심의 형성
2. 주변이 중심이 되는 운동의 역사적 증거
3. 지연 정치학 고찰
4. 세계체제론 고찰
제9장 동아시아 공동체
1. 중국: 전통적 동아시아의 정치 중심
2. 일본: 또 다른 핵심 국가
3. 일본의 도전과 전통적 동아시아 정치 질서의 붕괴
4.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역사적 상호 작용
5. 동남아시아 화인
6. 동아시아의 통합: 과거와 현재
7. 동아시아 통합 과정 중의 아세안?한?중?일
8. 동아시아 통합 진행 과정 중의 중일 관계: 역사적 원한에 우선하는 국가이익
9. 동아시아와 몽골?중앙아시아 3국?러시아 극동?호주와의 경제 통합
제10장 문명, 지연 문명, 전 지구화, 전 지구적 문명
1. 문명은 지역적 정체성을 타파한 결과이다
2. 문명과 보편적 종교의 충돌과 융합 속에서의 성장
3. 문명 확장과 전 지구화의 예행연습
4. 전 지구화의 동력인 기술혁명
5. 전 지구화의 특징인 다국적 기업
6. 세계 경제문화와 경제 전 지구화
7. 전 지구화 모습 속의 대정체성과 소정체성
8. 주권의 상대화
9. 하드웨어적 전 지구화와 소프트웨어적 세계 문명
부록
[참고 1-1] 황허 문명 탄생의 기후 메커니즘
[참고 1-2] 지리결정론에 관한 논의
[참고 1-3] 인류의 자연환경에 대한 영향
[참고 1-4] 문화 기질과 특정 지연환경의 결합
[참고 1-5] 거리가 야기하는 이익 상관성의 차이
[참고 1-6] 중국 인구의 저평 지대 집중 분포
[참고 1-7] 토지를 기반으로 한 비혈연적 인류 협력
[참고 1-8] EU는 자신의 리듬에 따라 계속 전진한다
[참고 1-9] 라틴아메리카는 더 이상 미국의 뒤뜰이 아니다
[참고 4-1] 서양 기독교도의 이교도에 대한 박해와 학살의 역사
[참고 4-2] 서양 역사에서 사상 대립으로 발생한 살인의 예
[참고 4-2-a] 성 바르톨로메오 학살
[참고 4-2-b] 십자군의 알비파 진압
[참고 4-3] 피사로의 스페인 원정대가 인디언에게 자행한 피비린내 나는 학살
[참고 4-4] 미국 우익의 호전적 언론을 통해 본 서양인의 흑백논리식 사유양식
[참고 4-5] 정화 선단의 거대한 규모 및 문명사적 의의
[참고 5-1] 송나라의 경제적 성취
[참고 5-2] 초기 불교의 결집과 포교
[참고 6-1] 민족국가 현상의 초문명적 고찰
[참고 6-2] 인구 규모의 함의
[참고 6-3]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 장난(江南) 도시들의 조합
[참고 9-1] 과거제도 흥기의 경제적?정치적 원인에 대한 논의
[참고 9-2] 일본 교과서에 비친 중국
[참고 9-3] 중일 관계 ‘재정상화’ 추진(Ⅰ)
[참고 9-4] 중일 관계 ‘재정상화’ 추진(Ⅱ)
[참고 9-5] 유감과 사죄
[참고 9-6] 중국과 일본은 프랑스와 독일에게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참고 9-7] 어부지리의 교훈: 중국과 일본은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참고 9-8] 러시아 극동과 중국의 밀접한 관계에 대한 러시아 매체의 반응
[참고 9-9] 동아시아정상회담과 동아시아 공동체에 대한 일본 여론의 반응
[참고 10-1] 중앙문명 개념의 오류
[참고 10-2] 민족과 정치적 정체성의 관계
[참고 10-3] NGO와 세계시민사회의 차이점
[참고 10-4] 미국 만화영화와 전자게임에 범람하는 폭력성
[참고 10-5] 문명의 다양성과 역사적 통일성에 관한 고찰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