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94844442
· 쪽수 : 786쪽
· 출판일 : 2022-08-15
책 소개
목차
제1부 序說
제1장 한국유학의 본질과 특성
제2장 유교사상의 연원과 君子國의 전통
제3장 유교의 전래와 수용, 섭취
제4장‘한국유학통사’서술을 위한 구상
제2부 三國時代의 儒敎思想
제1장 高句麗의 儒敎思想
제2장 百濟의 儒敎思想
제3장 新羅의 儒敎思想
제3부 南北國時代의 儒敎思想
제1장 統一新羅의 儒敎思想
제2장 渤海의 儒敎思想
제4부 고려 초기의 정치적 동향과 유학사상
제1장 羅末麗初유교계의 동향과 태조의 통치이념
제2장 광종의 왕권강화와 科擧制 실시
제3장 교육제도 및 과거제도
제4장 고려 전기의 儒佛關係
제5부 고려유학의 형성과 유교문화의 발달
제1장 成宗의 右文政策과 유교적 정치이념의 定礎
제2장 崔承老의 時務策과 유교적 정치이념의 확립
제3장 私學의 勃興과 崔ㅤㄹㅖㅈ의 儒學史上 공적
제4장 北宋道學의 수용과 그 영향
제6부 官學의 振興과 儒學의 興盛
제1장 예종·인종 연간의 官學振興策
제2장 典籍의 교류 및 출판의 활기
제3장 尊經的 학풍의 高調
제4장 修史事業과 역사의식의 발달
제7부 武人의 執政과 유학의 쇠퇴
제1장 詩文儒의 浮華와 무신의 난
제2장 文人의 활동 및 學界의 動向
제3장 白雲居士 李奎報의 학문과 사상
제8부 程朱學의 受容과 發展
제1장 序說
제2장 고려 말의 儒者와 정주학의 발전
제3장 性理學派의 斥佛運動과 현실인식
제9부 조선의 건국과 창업기의 유학
제1장 조선의 儒敎立國과 右文政策
제2장 世宗朝의 학술문화와 유학사상
제3장 官學派와 士林派의 定礎
제4장 鮮初名儒의 학문과 사상
제10부 世祖·成宗代의 학계와 정계의 동향
제1장 단종의 遜位와 사·생육신의 절의사상
제2장 士林派의 성장
제3장 淸談派의 행적
제4장 勳舊派의 활동
제5장 金時習의 철학사상과 出處觀
제11부 至治主義 儒學과 道學政治
제1장 지치주의와 도학정치의 선구
제2장 지치주의 儒學派의 주요사업
제3장 지치주의 儒學派 諸賢의 思想
제4장 己卯士禍와 도학정치의 실패
제5장 지치주의 유학과 도학정치의 영향
제12부 性理學의 발전과 이론적 체계화
제1장 성리학 발전의 요인과 조선적 특성
제2장 主氣論의 先河 徐敬德
제3장 主理論의 先驅 李彦迪
제13부 穆陵盛世의 文運과 성리학의 융성
제1장 明宣年間의 文運과 儒界의 動向
제2장 退溪·栗谷學의 成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