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현대 한일 종교정책 비교연구

근현대 한일 종교정책 비교연구

카미벳부 마사노부 (지은이)
지식과교양(지교)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현대 한일 종교정책 비교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현대 한일 종교정책 비교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94955483
· 쪽수 : 454쪽
· 출판일 : 2011-10-21

책 소개

근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일본의 종교정책을 연구함으로써, 양국의 불교교단이 어떠한 변화에 직면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여주고 싶은 것은 국가와 종교, 종교정책과 불교교단과의 긴장과 화해의 역사였으며, 세속 권력이 종교에 대해 행한 정책은 종교 활동을 하는 주체가 되는 불교교단의 본연의 자세를 크게 바꿀 정도의 힘을 갖고 있다고 하는 인식이었다.

목차

저자의 말 3
들어가기 전에 13

Ⅰ. 序論 19
1. 問題意識과 先行硏究 27
2. 硏究課題와 硏究方法 37
3. 論文의 構成 41

Ⅱ. 近代以前의 韓日 佛敎史의 槪略 45
1. 日本의 佛敎 47
2. 韓國의 佛敎 54

Ⅲ. 近代 韓日의 宗敎政策과 佛敎 65
1. 日本의 宗敎政策과 佛敎 67
1) 祭政一致와 神佛分離 ― 神祇官에 의한 神佛分離令과 ?廢佛毁釋? 67
(1) 神佛分離令과 ?廢佛毁釋? 67
(2) 神祇官制度 74
2) 大敎宣布運動과 政敎分離 ― 神佛合同宣布의 限界와 信敎自由의 希求 76
(1) 大敎宣布運動 76
(2) 政敎分離의 胎動 84
(3) 敎導職의 廢止와 敎派?宗派의 管長으로의 權限委任 89
3) 大日本帝國憲法의 制定과 信敎自由 91
(1) 大日本帝國憲法과 憲法 第28條 91
(2) 信敎自由와 그 範圍 95
(3) 神社의 非宗敎論 103
4) 宗敎團體法의 成立過程 109
(1) 第一次宗敎法案(明治 32年案) 110
(2) 第二次宗敎法案(昭和 2年案) 113
(3) 第一次宗敎團體法案(昭和 4年案) 115
(4) 宗敎團體法草案(昭和 10年案) 121
(5) 宗敎團體法 122
(6) 宗敎法人法 制定期까지 각 敎團의 變遷 ― 佛敎敎團의 再編을 中心으로 128

2. 植民地 韓國의 宗敎政策과 佛敎 135
1) 朝鮮의 開國과 眞宗大谷派의 開敎 135
2) 佐野前勵와 ?僧侶 都城出入禁止? 解禁 146
3) 元興寺 創建?圓宗宗務院 設立과 光武 6年의 寺刹令 152
4) 武田範之와 李晦光 ― 曹洞宗의 朝鮮佛敎 ?倂合?計劃 156
5) 朝鮮總督府 制令 第7號 ?寺刹令?(1911年) ― 朝鮮佛敎界 受容과 對應 164
6) 朝鮮佛敎의 日本化와 그 反應 183
(1) 帶妻僧 增加에 관한 問題와 白龍城의 建白書 183
(2) 韓龍雲의 ??朝鮮佛敎維新論?? 191

Ⅳ. 1945年 以後 韓日 宗敎政策과 佛敎 209

1. 日本의 宗敎政策과 佛敎 211
1) GHQ(General Headquarters, 連合國軍最高司令官總司令部)의 宗敎政策 211
(1) 人權指令과 神道指令 213
(2) 宗敎法人令 223
2) 日本國憲法의 成立과 宗敎法人法까지의 宗敎政策 234
(1) 日本國憲法 234
(2) 社寺國有境內地處分 239
(3) 宗敎法人法 245
3) 戰後 宗敎政策의 問題의 表出 252
(1) 宗敎團體의 紛爭의 顯在化 ? 宗派離脫을 中心으로 252
(2) 本末寺體制의 變遷 259
(3) 宗派離脫의 事例 ― 敎王護國寺(東寺)事件 265
(4) 平成7年(1995年)의 宗敎法人法 改正 274

2. 韓國의 宗敎政策과 佛敎 283
1) 解放後 韓國의 宗敎政策 283
(1) 美軍政의 開始와 大韓民國의 成立 283
(2) 1945年以後의 宗敎政策 292
(3) 宗敎關連財産의 處理에 관한 問題 298
2) 佛敎淨化運動과 佛敎關連法의 成立 302
(1) 敎團內의 權力移讓 ― 帶妻僧에서 比丘僧으로 302
(2) 敎團內의 法廷鬪爭 319
3) 佛敎關連法의 變遷 329
(1) 佛敎財産管理法 332
(2) 傳統寺刹保存法 340
(3) 傳統寺刹의 保存 및 支援에 관한 法律 344
(4) 宗敎法人法의 制定에 관한 議論 350
4) 宗敎와 法의 問題 354
(1) 宗敎自由와 佛敎關連法에 대한 法解釋 354
(2) 佛敎의 宗派離脫에 관한 法解釋 360

Ⅴ. 結論 373

引用文獻 391 / 參考文獻 411 / 索引 439

저자소개

카미벳부 마사노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chuo univiersity) 법학부 정치학과(법학사) 중앙대학(chuo univiersity) 대학원 총합정책연구과 석사, 박사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한국학 전공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 철학박사 서울여자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전임강사
펼치기

책속에서

본 연구는 근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일본의 종교정책을 연구함으로써, 양국의 불교교단이 어떠한 변화에 직면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지금까지 근현대 양국의 불교사에 대한 연구는 연구시기가 매우 한정적이거나, 연구범위가 한국이나 일본 어느 한쪽에 국한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접근으로는 통치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으로 엮여있었던 양국의 근대부터, 일본의 패전과 한국의 해방,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일 양국의 종교정책과 불교교단의 상호관계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논문은 법률적인 논의를 포함한 종교정책으로 인하여 양국의 불교교단이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지 비교연구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종교정책 연구에 법률적인 논의를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논문과 차별된다고 할 수 있다.
-들어가기 전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