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식량안보와 쌀 이야기

식량안보와 쌀 이야기

(생명창고를 지키는 곳간지기)

박평식 (지은이)
북셀프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식량안보와 쌀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식량안보와 쌀 이야기 (생명창고를 지키는 곳간지기)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농업 > 농업일반
· ISBN : 9788994987552
· 쪽수 : 326쪽
· 출판일 : 2016-10-15

책 소개

농촌진흥청 연구직으로 들어가 식량작물 경영분야를 연구해 온 저자가 '농업은 생명창고' 블로그에 올렸던 자료를 중심으로 엮은 책이다. 통계 데이터의 현행화도 시도하고 될 수 있으면 원문대로 정리하고자 했다. 주로 2008년 세계 식량위기를 기준으로 그 이후의 자료들을 모았다.

목차

저자 서문

제1장/ 식량안보와 한국농업
■ 식량안보와 식량주권 / 12
■ 경제위기와 쌀 자급의 중요성 / 18
■ 경제 살리기도 농업기반 안정이 필수 / 21
■ 곡물가 폭등시대, 쌀은 민생안정의 효자 / 24
■ 곡물가격 급등과 애그플레이션 [MBC-TV] / 27
■ 애그플레이션의 원인과 식량위기 대응방안 / 33
■ 세계 식량수급 동향과 식량안보 [곳간지기] / 38
■ 식량자급을 위한 기술개발 성과와 과제 / 42
■ 새로운 농업기술의 접목, 품종개량 [K-TV] / 45
■ 곡물가격 고공시대 기술농업으로 대응 / 50
■ 식량위기 검은 대륙에서 녹색외교 / 53
■ 개발도상국 식량난 극복 희망의 불씨 / 55

제2장/ 식량위기와 해외농업개발
■ 식량위기를 해외농업개발의 기회로 / 60
■ 식량위기 대비 해외식량기지 확보의 필요성 / 63
■ 식량기지 확보를 위한 카자흐스탄 농업환경 / 66
■ 개발도상국에서 싹트는 ‘농업한류’ / 75
■ 고조되는 식량위기 대응책은? [경인방송] / 77
■ 세계 곡물가 폭등! 식량위기 대책은? [YTN] / 82
■ 식량위기 다시 오나? [KBS-1라디오] / 86
■ 해외식량기지 개발 [KBS-1라디오] / 91
■ 애그플레이션과 식탁물가 [KBS-1라디오] / 96
■ 곡물가격 폭등에 따른 대책 [중국 CCTV] / 101

제3장/ 개방시대 쌀 산업의 과제
■ 한국에서 중단립종 쌀 각축전 / 104
■ 쌀 수출국의 전략을 타산지석으로 / 107
■ 쌀 관세화에 대한 일본·대만의 교훈 / 110
■ 쌀 품질관리와 브랜드화 유통전략 / 113
■ 쌀 최고풍작, 이제 소비자도 나서야 / 120
■ 쌀 최대수량 풍작과 식량자급의 의의 / 122
■ 벼 직파재배로 비용절감을 / 125
■ 브랜드 쌀 명품화 전략 필요 / 128
■ 스토리 있는 쌀이 소비자 움직인다 / 131
■ 지역 쌀 소비촉진과 경쟁력 강화방안 [KBS] / 136

제4장/ 쌀 관세화와 수출시장 개척
■ 미국 캘리포니아 쌀 산업 현장을 가다 / 148
■ 일본과 대만의 쌀 시장개방 후 동향과 대응방안 / 151
■ 쌀 수출로 새로운 활로개척 / 154
■ 쌀 관세화에 대한 주변국가의 사례 / 157
■ 호주에서 미국 쌀과 경쟁하는 한국 쌀 / 159
■ 세계로 수출하는 우리 쌀 기대 / 162
■ 쌀 관세화 개방을 도약의 계기로 / 164
■ 넘쳐나는 우리 쌀, 수출로 활로 찾아야 / 167
■ 우리 쌀 중국 수출 길 열려 [JTBC] / 170
■ 한국 쌀 수출을 위한 주요 수출시장 유통실태와 대응전략 / 172

제5장/ 고품질 쌀 지역특성화 사례
■ 소비자 선택을 받는 쌀의 조건 / 214
■ ‘청원생명쌀’ 브랜드파워 제고 / 216
■ ‘녹차미인’ 보성쌀 품질 차별화 / 220
■ ‘해나루’ 당진쌀 품질 차별화 / 224
■ 친환경 생태농업 ‘서래야’ 서천쌀 / 228
■ ‘고맛나루’ 공주쌀 인지도 향상 / 231
■ 가공용 아산쌀 지역특성화 / 234
■ 청정 비무장지대 고성 오대미 / 237
■ 김제 ‘지평선쌀’ 품질 차별화 / 240
■ ‘대왕님표’ 여주쌀 품질 고급화로 승부 / 243
■ 고품질은 선택 아닌 필수, 강진쌀 특성화 / 246

제6장/ 세계의 쌀 주산지를 가다
■ 세계인의 식량 쌀 / 250
■ 자포니카 쌀 수출을 선도하는 미국 / 252
■ 대평원에서 물이 아쉬운 호주 / 256
■ 세계 최대의 쌀 수출국 태국 / 261
■ 새로운 강국으로 부상하는 베트남 / 265
■ 세계 최대의 쌀 생산·소비국 중국 / 270
■ 쌀 수출국으로 성장한 인도 / 276
■ 우리의 앞날을 예고하는 일본 / 281
■ 해외 현장의 시사점 / 287

제7장/ ‘농업은 생명창고’ 블로그
■ 농업과 식량문제로 네티즌과 소통 / 292
■ 생명창고를 지키는 곳간지기 / 295
■ 아프리카 콩고에 희망을 심는 한국인들 / 297
■ 3대가 함께 한 농촌체험 여름휴가 / 300
■ 좀 늦어도 안하는 것보단 낫다(주말농장) / 304
■ 소비 트렌드를 알면 농사의 길이 보인다 / 305
■ 농촌 활력, 이젠 6차 산업화로 / 308
■ 소비자 트렌드는 웰빙, 치유, 안전 / 311
■ 소비자 트렌드 변화와 농업부문 대응 / 314
■ 소비 트렌드 전망과 농업·농촌의 과제 / 317

[참고] 박평식 주요 연구실적 / 320

저자소개

박평식 (감수)    정보 더보기
농촌진흥청에서 우리 국민의 주식인 쌀과 식량문제를 중심으로 식량작물 경영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배재고등학교를 졸업하고(91회) 전남대학교에서 농업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5년부터 농촌진흥청에서 연구생활을 시작하여, 본청 경영정보관실(농산업경영과)과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경영분석팀장으로 식량작물 경영연구를 수행하였다. 2008년 세계 식량위기를 계기로 식량안보에 관한 홍보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으며, 쌀 시장개방에 대응한 경영연구, 고품질 쌀 지역특성화 사업, 수출용 쌀 생산단지 육성, 식량작물 경영컨설팅을 주도하였다. 세계식량문제의 핵심인 아프리카 농업개발을 위해 DR콩고 KOPIA 센터 소장으로 파견되어 개발도상국 농업개발협력사업 기반을 조성하고 왔다. 저서는 《농업경영》, 《수도작 경영실습》, 《세계의 식량쌀》, 《세계의 쌀 생산과 수출》, <쿵덕쿵 우리 쌀 이야기(감수)>, 《수도작 경영관리》 등이 있다. 농업경제학회, 한국농식품정책학회(부회장), 국제농업개발학회(이사), 한국 쌀산업진흥회(이사) 등 학술활동도 활발히 전개하였으며, ‘농업은 생명창고’ 블로그와 SNS를 통한 소통에도 열정을 쏟고 있다. -블로그 blog.daum.net/psp727 -페이스북 facebook/psp727
펼치기

책속에서

● 농업은 생명산업이요 민족의 뿌리이다. 자칫 소홀히 다뤄 기술개발이 지체되고 생산기반이 무너지면, 개방시대 국제경쟁에서 뒤처지고 돌이킬 수 없는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 국토방위와 경제안정도 중요하지만 국민생존을 위해 먹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식량안보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다. 자력으로 식량안보를 지키는 ‘식량주권’ 확보를 위해 국민적 공감대 확산이 필요한 시점이다.


● 우리나라는 IMF 사태와 식량위기 등 몇 차례 위기상황에서도 주곡인 쌀을 자급하고 있었기 때문에 위기를 모면해 왔지요. 소비자인 국민에게 그 이야기를 하고 싶었고, 생산자에게는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자 했습니다.

● 우리의 주식인 쌀은 우리민족의 문화요 농업정책의 근간이 되어 왔습니다. 여건변화에 대응해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 최근에는 쌀 수출문제에 관심을 기울여 왔습니다. 이 책을 통해 쌀과 식량안보에 대한 관심은 물론, 우리나라와 세계 식량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 저저 서문 중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