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전쟁사
· ISBN : 978899557965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4-05-08
책 소개
목차
제1부 고구려를 멸망케 한 반역자 - 연남생
1. 연남생 27
2. 난세에 반역자 되다. 27
3. 동부욕살 명가의 장남으로 태어나다. 28
4. 연개소문, 공(功)이 많은가? 과(過)가 많은가? 29
5. 열병장에서 일어난 쿠데타 31
6. 연금당한 김춘추 36
7. 이민족에게 도움을 청하고 37
8. 화친보다 적대시하다 38
9. 양만춘의 화살에 눈알을 빼앗기다. 39
10. 당태종 요택에 빠지다 41
11. 김춘추·당태종에 의해 한민족의 운명이 결정되다 42
12. 당태종은 원수를 갚아 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44
13. 장졸 3만 명을 죽인 남생 45
14. 남생의 패전을 문책않은 연개소문 46
15. 못난 자식에게 정권을 넘기다 46
16. 연개소문은 화합하라는 유언을 남기고 47
17. 물려받은 태막리지 48
18. 당군은 장기 전략으로 전환하다. 49
19. 측천무후 50
20. 첩자에게 놀아난 못난 삼형제 52
21. 형제간 전쟁은 벌어지고 56
22. 적국인 당나라로 도망간 남생 57
23. 당고종은 신라 문무왕에게 군량미 조달을 명(命)하다 58
24. 남생은 당군 향도로 명(命)받다. 59
25. 연정토 신라에 투항 60
26. 당군은 대군(大軍)으로 침공하다. 60
27. 작은 이익을 위해 민족을 팔고 후회하는 신라 김유신 62
28. 당나라의 길잡이가 되어 고구려 국경을 넘다 62
29. 칼탕을 당한 연개소문 시신 64
30. 당군에 짖밟히는 고구려 여인들 65
31. 저물어 가는 고구려 66
32. 평양성 문을 열어준 승려 신성 67
33. 아, 고구려,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69
34. 끌려가는 고구려 백성들 70
35. 고구려 포로를 호송하는 신라 장졸들 71
36. 이세적은 황제에게 승전 보고하다 73
37. 반역자들 당의 벼슬을 받다 75
38. 반역자 남생 북망산에 묻히고 75
39. 고구려 포로들 어디로 끌려갔나? 76
40. 당의 장기전략 전환 이후 고구려 침공 연표 77
41. 연남생 약력 78
42. 신라는 삼국통일 한적이 없다. 78
43. 백제 멸망부터 발해건국까지 지도 84
44. 아쉬움은 남고…… 86
○ 참고문헌 및 논문·신문 88
제2부 한·일합방의 주역 반역자 - 이완용
1. 이완용 93
2. 친미파에서 친러파·친일파로 변신의 달인 93
3. 척족이 유순한 왕을 등에 업고 정권을 농락하고 94
4. 가난한 양반집의 장남으로 태어나다 94
5. 출세길 열리는 명문가 양자로 들어가다 94
6. 대원군의 섭정 95
7. 경북궁의 중건 96
8. 망국으로 가는 며느리(명성황후)와 시아버지(대원군)의 권력싸움 98
9. 출세길은 열리고 100
·강화도 조약 101
·임오군란 101
·갑신정변 103
10. 신교육 육영공원에 입학 103
·동학농민운동 104
·청일전쟁 104
·을미사변 105
11. 아관파천을 주도하다 105
·아관파천 106
·로일전쟁 106
12.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다 107
·을사조약 107
13. 을사조약 체결의 주역이 총리대신 되고 108
14. 고종을 퇴위시키다 108
·헤이그 특사 109
·정미7조약 110
15. 매국의 상징 구일본동화장을 받다 110
16. 이등박문 암살에 실성한 사람되다 111
17. 3일간 가·무·음·곡을 금지시켰다 111
18. 이재명 의사의 칼을 맞다 112
19. 대한제국의 주권을 일제에 영구히 넘기다 112
20. 일본 귀족 백작되다 113
21. 3.1운동이 일어나자 3차례 협박 경고문을 발표하다 114
22. 반역자 영화를 누리고 천수를 다하다 114
23. 반역자 무덤 파헤쳐지고 115
○ 참고문헌 및 논문·신문 115
제3부 6·25남침 전범 반역자 - 김일성
1. 6·25남침전쟁은 평화통일을 가로 막았다. 119
(1) 상상 못할 민간인 인명피해 120
(2) 북한 스스로 신뢰성 상실을 자초 121
2. 김일성이 불러온 미군 122
3. 출생과 가족 123
4. 날조된 항일 투쟁 125
5. 보천보 전투는 날조 132
(1) 유성철 중장(전 북한군 작전국장)증언 132
(2) 이상조 중장(전 북한군 부총참모장)증언 133
① 관동군 토벌대에 쫓겨 소련으로 도망치다 134
② 하바로프스크 88특별독립저격여단 135
6. 풍체 하나로 지휘자 되다 139
7. 소련 앞잡이 김일성 140
8. 6·25남침전쟁 주범은 김일성 144
(1) 김일성의 고백 144
(2) 동맹국 공산당 기관지들의 기록 149
(3) 북한군 전투명령서 제1호 151
(4) 흐루시쵸프의 증언 153
(5) 이상조 중장(전 북한군 부총모장)의 증언 156
(6) 6·25남침계획은 소련군 고문단이 초안작성 158
9. 미군이 해방군 소련군은 점령군 158
○ 참고문헌 및 논문·신문 163
제4부 소련군 북한 진주에서 휴전까지 중요일지 - 6·25전쟁
1. 소련군 북한 진주 167
2. 30분만에 그어진 38선 분할배경 168
(1) 찰스 B 마샬 169
(2) 38 이란 숫자를 표시하고 있다. 171
3. 아, 조국광복 172
(1) 일본 항복 조인식 173
4. 미군 남한 진주 174
5. 민족을 분열시킨 신탁통지 175
6. 북한 임시인민위원회 경축대회 177
7. 유엔, 한반도 통일정부 수립안 채택 178
8. 제주도 4·3사건 178
9. 북한 군대 창설 182
10. 북한 공산정권 수립 183
11. 대한민국 정부수립 185
(1) 남한군대 창설 187
12. 여수·순천 반란사건 188
13. 북한 남침 준비 어떻게 했나 189
(1) 북한군 남침준비 189
(2) 사전 모의한 남침 3단계 작전 계획 190
(3) 증언들 191
① 유성철 191
② 이상조 192
③ 서울신문 192
(4) 3단계 작전계획 193
① 제1단계 193
② 제2단계 193
③ 제3단계 194
④ 정찰명령 및 전투명령하달 194
14. 북한군 무장공비 남하 195
15. 북한에서 철수하는 소련군 196
16. 김일성의 소련행 197
(1) 북한에 반입되는 소련제 무기 197
(2) 소련의 북한에 대한 무기지원현황 198
(3) 북한군 38선 기동(機動) 198
(4) 김일성이 따발총을 군지도자에게 전달하다 198
(5) 북한군 제7사단에 하달된 이동명령 199
(6) 남침을 위한 선제타격 계획서 199
(7) 북한군 38선 배치도 200
17. 주한 미군 철수 200
(1) 철수하는 미군에게 무기지원을 요청하는 한국의 청년들 202
(2) 중공군 소속 한인의용군 입북 202
18. 미 극동 방위선 발포 203
19. 한국정부 및 한국군은 어떻게 대처했나? 203
(1) 국방장관은 어떤 조치를 했나 204
(2) 채병덕 총참모장의 국회위증 204
(3) 이한림 205
(4) 이형근 205
(5) 이형근 장군(예)이 지적한 10대 불가사의 206
① 북한 남침 징후의 정보무시·묵살 206
② 전쟁 직전 각급 중요지휘관의 대규모 인사이동 207
③ 6월 23일 자정 비상경계령 해제 208
④ 한군군의 외박 및 휴가 208
⑤ 전쟁발발 직후 중앙방송의 국군반격·북진방송 209
⑥ 장교구락부 개관 파티 209
20. 전쟁직전 국군과 북한군의 대치상황 211
21. 6.25직전 남북 군사력 및 경제비교 212
22. 북한군의 초기전투 공격축선 상황도 213
23. 북한군의 기습남침, 개전 초기 지상군 전투 213
24. 허무하게 무너진 38선 217
25. 국내외 신문에 보도된 남침 관련기사 218
26. 개전 초기 해군 전투 219
27. 개전 초기 공군 전투 220
28. 미국은 어떤 조치를 했나? 222
(1) 유엔본부, 사무총장 223
(2)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군사원조 결의 224
(3) 미군 참전을 발표하는 트루먼 미국 대통령 224
(4) 미군과 유엔군 참전결정 과정 225
29. 의정부 전투 225
30. 한강교 조기폭파 227
31. 한강 방어 전투 228
32. 개전 3일만에 북한군 서울함락 231
33. 한강 방어전선을 시찰하는 맥아더 원수 234
34. 북한군 서울 점령 후 왜 지체했나 235
35. 맥아더 원수 지상군 투입건의 235
(1) 트루먼 대통령 파병명령 236
(2) 일본주둔 미참전용사의 증언 237
36. 미 지상군 오산·북미령 전투 238
37. 유엔, 미국군의 단일 지휘안 가결 241
(1) 맥아더 원수 241
(2) 6.25전쟁 전투부대 파견국 및 지원국 242
38. 북한군 천안 점령 243
39. 북한군 대전 점령 244
40. 북한군의 3개월 만행 247
(1) 3개월 만행 248
① 북한군의 인민재판 248
② 북한군에 의해 학살된 양민시신들 249
③ 일가족 몰살한 현장 250
④ 학살된 한마을 주민들 251
⑤ 생매장한 대전 형무소 학살 현장 251
⑥ 남·여 구분없이 학살된 현장 252
⑦ 총알이 아깝다고 죽창으로 학살 252
⑧ 우물 속에 버려진 시체 253
⑨ 폐주하면서 무참하게 학살한 아군포로의 시체 253
⑩ 손을 뒤로 묶인체 무참히 살해당한 미군 병사 254
⑪ 월남인사·반공애국자 가족들을 살해 256
⑫ 동굴 속에 가두어 질식사 시킨 현장 257
⑬ 국군장교들에게 가혹한 고문을 가한 후 나체로 버려진 시신들 258
⑭ 내 남편·내 아들은 어디에 있나 시신을 찾는 여인 258
(2) 강제로 동원되는 의용군들 259
(3) 강제로 징집되는 청년들 259
(4) 강제로 훈련받는 여성의용군 260
(5) 강제노동에 동원된 사람들 261
① 평양 복구를 위해 강제 노동에 동원된 사람들 261
② 이지러진 얼굴엔 원한이 맺혔다. 낙원의 꿈은 사라지고… 262
③ 노동의 댓가는 없다. 노예같이 일할 뿐이다 263
41. 풍전등화의 위기 264
42. 낙동강 방어전투 265
(1) 북한군 진출 경과 269
43. B-29 융단폭격, 다부동 전투 270
44. 영천 전투 273
(1) 영천전투 상황도 275
(2) 정일권 275
45. 조국을 위하여 278
(1) 자원하여 훈련받는 학도의용군 278
(2) 자원하여 훈련받는 여자의용군 279
(3) 자원하여 훈련받는 청년들 280
46. 파괴된 중요 건물 및 시설 281
(1) 서울 중앙청 앞 폐허된 거리 281
(2) 파괴된 광화문 281
(3) 폐허가 된 충무로 282
(4) 지붕이 부서진 덕수궁 중화전 282
(5) 파괴된 국회의사당(현 서울시의회 건물) 282
(6) 파괴된 명동일대 283
(7) 세 동강난 한강철교, 미군이 보고 있다 284
(8) 폭파된 대동강 철교 284
(9) 폐허가 된 춘천 시가지 285
⑽ 화차의 잔해 285
47. 폐허에서 자신의 집을 복구하는 사람들 286
(1) 다시 시작해야 한다. 복구되는 서울역 도로 286
(2) 파손된 가옥을 복구하는 서울시민 287
48. 인천 상륙 작전 288
49. 서울 탈환 작전 291
50. 평양 탈환 작전 293
51. 원산 전투 295
52. 초산, 온정리 전투, 압록강에 도달하다 296
53. 중공군의 참전배경 299
(1) 중공군 투입현황 300
54. 중공군 생포 301
55. 중공군의 입북경로 304
56. 인해전술에 밀려 후퇴한다는 전항을 긴급 보도한 당시 기사 305
57. 장진호 전투, 미군 패퇴 306
58. 흥남철수 작전 308
59. 1·4후퇴 311
(1) 1·4후퇴 피난길 311
(2) 화차위의 피난민들 312
(3) 눈보라 헤치며 남쪽으로 312
(4) 아들의 등에 업혀 피난하는 노인 313
(5) 낙동강변 피난민촌 314
60. 가혹한 피난민 생활 315
(1) 피난민 생활 315
① 빈 깡통을 주워들고 방긋 웃는 어린이 316
② 가마니로 비바람을 가린 움막 앞의 어린이 316
③ 누가 입던 옷일까, 제키 만한 점퍼를 걸친 두 소년 317
(2) 전시교육 318
① 지붕 없는 피난학교 318
② 천막교실 319
(3) 전시경제 320
① 서울 탈환 후의 남대문시장 320
② 전쟁속의 시장 아낙네들 321
③ 전란중 생활전선에 뛰어든 부녀자들 321
(4) 전쟁기간 국민 식생활 322
① 풀뿌리라도 먹어야 산다 322
② 구호소의 배급죽을 먹는 노인 322
③ 식량배급을 기다리는 피난민들 323
④ 엄마 빨리 324
61. 맥아더 유엔군 사령관 해임 324
62. 용문산 전투 328
63. 지리산 공비토벌 작전 329
64. 백마고지 전투 330
65. 6·25의 희생양 332
(1) 전쟁 고아 332
① 탱크 앞의 동생 업은 어린이 333
② 동생을 업고 엄마를 찾는 어린이 334
③ 손을 내밀어 구걸하는 어린이 334
④ 부산 거리의 구두닦이 소년들 335
⑤ 탱크위의 아이들 336
(2) 전쟁 미망인들 337
① 남편을 잃고 눈물을 흘리는 아낙네 337
② 내 남편·내 아들은 어디에 있나 337
③ 직조기를 살피는 미망인들 337
(3) 씨레이션상자·거적과 가마니로 엮은 판잣집들 338
① 폐허 속에서 노숙하는 가족들 338
② 씨레이션 상자로 만든 집 338
(4) 전시의 직업들 339
① 구두닦이 소년들 339
② 넝마주이 꾼 339
66. 이승만 대통령 반공포로 석방명령 340
67. 3년 1개월 2일 19시간만에 휴전 343
(1) 유엔군 휴전회담 대표 344
(2) 북한군 휴전회담 대표 344
(3) 휴전회담 조인식 345
(4) 휴전회담 대표자의 싸인 346
(5) 양측 포로교환 346
(6) 휴전선 철조망 가설 347
68. 승자도 패자도 없이 전쟁은 멈추다 348
69. 자기가 승리한 전쟁이라고 강조하는 두 사람 349
70. 우방 참전 전우들 350
71. 6·25전쟁 중 인명 피해 355
72. 순국선열들의 호국정신으로 민족화합 이룩하자 356
○ 참고문헌 및 논문·신문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