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는 말하고 싶은 말을 말했다

나는 말하고 싶은 말을 말했다

방인근 (지은이)
성결광장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900원 -10% 2,500원
550원
11,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나는 말하고 싶은 말을 말했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는 말하고 싶은 말을 말했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문학
· ISBN : 9788995662915
· 쪽수 : 367쪽
· 출판일 : 2005-07-09

목차

1부 2004년 돼지에게 맨션아파트를 주면? 새해의 영적 상황에 관한 예언 물갈이는 이렇게 하는 겁니다 조국 대한민국을 성결케 하라 당신은 부활하기 어려워 죽음과 삶은 하나다 바리새인, 너는 아니야 . . . 2부 2003년 새해와 21세기를 위한 예언 설은 한국의 부활축제날이다 핵 보다 더 무서운 폭탄을 알고 있다 속물근성일랑 내다 버려라 예수님 진짜 얼굴 보셨어요? 한국인이 십자가 알기가 어려운 이유 쾌락지향적인 사회, 의미지향적인 사회 . . . 3부 2002년 예수님의 전용도로를... 물레방아 그만 돌려라 씨알 속에 담긴 우주 . . . 4부 2001년 성서 속을 여행하기 홀연히 역사의 전환이 죽음, 소멸이 아닌 변화 . . .

저자소개

방인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99년 12월 29일 충청남도 예산에서 태어나 배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의 아오야마학원(靑山學院) 중등부를 거쳐 주오대학(中央大學)에서 독문학을 전공했다. 그는 19세기 태생의 마지막 문인으로 1975년 1월 1일 삶을 마감할 때까지 전 생애에 걸쳐 100여 권의 소설 작품을 남긴 다작(多作)의 작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0년대 초기 작품들을 제외한 대다수가 통속대중소설로 분류됨에 따라 방인근은 문학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방인근에 대해 기존의 문학사는 작가로서가 아닌 문예지 ≪조선문단(朝鮮文壇)≫의 창간자로 이름을 올려놓고 있다. 1924년 창간된 ≪조선문단≫은 순수문학을 표방하는 종합 월간 문예지로, 같은 시기 문단을 풍미했던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의 경향파 문학에 대항하는 민족주의 문학파의 거점 역할을 했다. 부유한 포목상의 아들이었던 방인근은 처남인 전영택과 이광수의 권유를 받아들여 사재(私財)를 내어 이광수를 주재(主宰)로 한 문예 잡지 ≪조선문단≫을 창간했다. 당시 ≪조선문단≫은 최서해, 채만식, 박화성, 이장희 등의 문인을 배출한 문단의 등용문이었을 뿐만 아니라, 김동인의 <감자>, 나도향의 <물레방아>, 현진건의 <B 사감과 러브레터>, 계용묵의 <백치 아다다> 등 수많은 문제작들의 산실 노릇을 톡톡히 함으로써 한국문단의 육성에 기여한 바가 컸다. 이광수에 이어 5호부터 방인근 자신이 편집을 주도하다가 1926년 재정난으로 판권을 남진우에게 넘기기까지 방인근은 ‘황금시대’를 구가한 ≪조선문단≫의 중심에 있었다. 이후 방인근은 1927년 숭덕중학(崇德中學)에서 교편을 잡고, 1929년에는 기독교신보사(基督敎申報社)에 입사해 일하기도 했으나, 곧이어 ≪문예공론(文藝公論)≫ 편집장(1930), ≪신생(新生)≫ 편집장(1931), ≪시조(時兆)≫ 편집장(1935) 등을 역임하면서 잡지와의 인연을 이어갔다. 1954년에는 춘해프로덕션 사장을 맡으며 영화에 잠시 간여하기도 했다.작가로서 방인근은 초기에 <하늘과 바다>(1923) 등의 시를 쓰기도 했으나 소설로 전향하여 <눈 오는 밤>(1920), <어머니>(1924), <비 오는 날>(1924), <살인(殺人)>(1924), <죽지 못하는 사람들>(1925), <자동차 운전수>(1925) <마지막 편지>(1925), <최 박사>(1926), <강신애>(1926) 등 30여 편의 단편들을 발표한다. 그러나 방인근이 본격적으로 작가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30년대 들어 신문에 대중소설을 연재하면서부터인데, ≪마도(魔都)의 향불≫(1932), ≪방랑의 가인≫(1933), ≪쌍홍무(雙紅舞)≫(1936) 등이 이 시기의 대표적인 장편소설들이다. 해방 후에도 ≪인생극장≫(1954), ≪청춘야화≫(1955) 등 애정, 추리, 탐정을 소재로 한 통속 대중소설에 몰두해 대중의 관심과 인기를 얻었다. 이 밖에도 <금십자가(金十字架)>(1932) 외 몇 편의 희곡과 <농민문학과 종교문학>(1927) 등의 평론이 있다.당대의 독자들에게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았음에도 문학사에서 작가로서 가치를 평가받지 못한 방인근, 그의 말로는 비참했다. 1954년 가산을 정리해 설립한 춘해프로덕션의 운영이 어려워지고 그가 발표한 소설들이 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판매되지 못했던 탓에 삶이 피폐해졌던 것이다. 숱한 연애 편린과 전설적인 주당(酒黨), 잡지 발간자, 대중소설로 이름을 알렸으되, 문학사로부터 그 이름 앞에 작가라는 명예로운 직함을 부여받지 못했던 풍운아 방인근은 1975년 파란만장하고 자유분방했던 생을 조용히 마감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