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지구과학 > 기상학/기후
· ISBN : 9788995679654
· 쪽수 : 124쪽
· 출판일 : 2011-12-01
목차
Ⅰ. 기본 상식편
문 1) CO2는 인간에게 무엇인가?
문 2) CO2의 누출시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문 3) CO2는 왜 처분해야 하나?
문 4) CO2의 저장방식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문 5) 지중에 저장되는 CO2는 기체인가 혹은 액체인가?
문 6) CO2는 법적으로 폐기물인가?
문 7) CO2 저장부지로 적합하려면 어떠한 특성을 가져야 하는가?
문 8) 우리나라에 CO2 지중저장이 가능한 부지는 존재하는가?
문 9) 지중에 저장된 CO2는 어떠한 변화를 겪는가?
문 10) 지중에 저장된 CO2는 안전하게 보관되는가?
문 11) CO2 지중저장시 어떠한 감시방법이 사용되는가?
문 12) CO2 누출시 어떠한 방법으로 보수할 수 있나?
문 13) 저장부지의 법적 소유권은 누가 갖는가?
문 14) 국내의 연구개발 동향은?
문 15) 국내의 관련 기술수준은?
문 16) 가장 중요한 기술과 어려운 기술은?
문 17) 해외의 연구개발 동향은?
문 18) 우리나라 정부의 지중저장 계획은?
문 19) 우리나라가 가입한 지중저장 관련 국제기구는?
문 20) 지중저장 사업의 소요기간은?
문 21) 지중저장의 경제성과 사업성은?
Ⅱ. 전문 지식편
문 22) 저장부지의 공학적 선정기준은?
문 23) 저장부지의 저장용량 산정법은?
문 24) 해외의 대규모 CO2 지중저장사업과 부지의 특징은?
문 25) 해외의 CO2 지중저장 사업중 특히 관심을 가질만한 것은?
문 26) CO2 압축시 고려사항은?
문 27) CO2 수송용 배관설계시 고려사항은?
문 28) CO2를 선박으로 수송시 주의점은?
문 29) 주입정 굴착시 주의사항은?
문 30) CO2를 주입정을 통하여 주입시 고려사항은?
문 31) 지중에서의 CO2 확산거동을 예측하는 방법은?
문 32) 저장부지의 유지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문 33) 지중저장시 모니터링 기법의 구체적 내용?
문 34) 저장시설의 폐쇄절차는?
문 35) 환경영향평가는 어떻게 수행되는가
문 36) 지중저장된 CO2의 누출 위험은 어떻게 평가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