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95695937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06-08-31
책 소개
목차
I. 황제와 제국의 상징
첫 번째 이야기 - 옥새의 명칭과 기원
1. 천자의 상징 새(璽)
2. 천부인
3. 태양의 상징 청동거울
4. 정치적 상징 비파형 동검
5. 곡옥의 수수께끼
6. 청동솥과 황제
7. 낙랑의 봉니(封泥)
두 번째 이야기 - 옥새의 역사
1. 고구려, 발해, 신라의 옥새
2. 백제의 옥새
3. 일 천황의 삼종신기(三種神器)
4. 철저히 파괴된 고려 옥새
5. 종합예술의 결정체 조선 옥새
6. 잊혀진 대한제국 옥새
7. 대한민국 국새는 없다
8. 금이 간 대한민국 국새
II. 궁중 문화의 꽃
첫 번째 이야기 - 옥새의 위상
1. 정치적 위상
2. 예술적 위상
3. 옥새와 전각
두 번째 이야기 - 옥새의 의식
1. 왕의 즉위식
2. 왕의 행차와 옥새
세 번재 이야기 - 옥새의 종류
1. 옥새 중의 옥새 대보
2. 쓰임에 따른 다양한 옥새
3. 황제국의 옥새
4. 금장(金章)과 동장(銅章)
네 번째 이야기 - 옥새의 관리기관
1. 인부랑(印符郞)
2. 상서원(尙瑞院)
3. 행자부 의정관리국
4. 옥새의 위조
III. 옥새의 숨겨진 비밀
첫 번째 이야기 - 천지통합 기운을 담은 인면(印面)
1. 인면에 담은 철학
2. 천지의 힘 담는 비전
두 번째 이야기 - 임금을 상징한 인뉴
1. 제후국의 상징 거북
2. 황제의 상징 용
3. 용의 얼굴
4. 봉황과 삼족오
IV. 옥새의 제작
첫 번째 이야기 - 옥새 제작과정
1. 임금의 전교
2. 옥새 제작 작업과정
두 번째 이야기 - 옥새전각장
1. 옥새전각장의 계승
2. 옥새전각장이 갖추어야 할 9가지 덕목
3. 옥새의 비전 영새부
4. 영새부로 보는 대한민국 국새
세 번째 이야기 - 세계 유일의 옥새전각장
1. 21대 옥새전각장 민홍규
2. 연금술사와 옥새전각장
옥새전각장 계보도
저자소개
책속에서
을사조약은 (...) 협상대표에 대한 고종의 위임장과 조약체결에 대한 비준서 등의 국제조약에 필요한 형식적인 요건을 갖추고 있지 못해 국제조약으로 인정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이 조약에 찍힌 외부대신 인장은 일제에 의해 강제로 날인된 것이다. 지금까지는 '강제이긴 하지만 대한제국 측이 직접 찍었다'고 알려져 왔다. 그 당사자인 박제순은 을사5적의 한 사람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을사조약의 경우 외부대신지장(外部大臣之章)을 일본인이 무력으로 탈취해 찍었다. 당시 <황성신문>과 일본외교문서에 의하면 '이토와 하야시가 마에마 교사쿠를 시켜 인장을 탈취하여 조약문에 날인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인 도츠카 에쓰로도 <일본의 대한제국 강점>에서 "일본 헌병이 외부(外部)에 가서 공인(公印)을 꺼내 왔고, 1905년 11월 17일 일본인의 손에 의해 날인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비준서에 해당하는 공포 칙유에 고종황제의 서명이 없기 때문에 국제법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을사조약은 성립되지 않는 것이다. - 본문 163~164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