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88995929322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3-12-20
책 소개
목차
1. 미술 논문과 마주하기
1-1. 창작만 하면 되지, 논문까지?
❙미술인이 왜 논문을 써야 할까?
❙논문을 쓰면 어떤 점이 좋을까?
❙논문은 왜 어려울까? 쉽게 써도 되나?
❙논문은 ‘연구’로 지은 집이다
❙미술 논문도 ‘과학’이다
1-2. 논문, 이렇게 쓰면 망한다
❙설계도 없는 부실한 기획
❙연구가 빠진 빈 깡통 논문
❙붓 가는 대로 쓰기, 잠꼬대 늘어놓기
❙남의 것 몰래 따기, 짜깁기하기
1-3. 논문 시작과 기틀 굳히기
❙논문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논문이 ‘틀(Style)’을 갖추어 발전
❙논문의 틀, MLAㆍAPAㆍCMS …
❙논문이 갖춰야 할 것들
2. 생각을 이어 논문 쓰기
2-1. 논문의 첫 기틀 세우기
❙논문 구성 훑어보기
❙차근차근 연구 단계 밟기
❙미니어처로 연구 아이디어 이루기
2-2. 제목과 주제 잡기
❙제목은 ‘첫인상’이자 ‘연구 핵심’
❙매력 끄는 좋은 제목 만들기
❙케케묵은 제목 털어내기
❙잘못 붙이면 군더더기 되는 부제
2-3. 주제를 잡는 묻고 답하기
❙피해야 할 연구 주제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연구 괜찮나?
❙연구 주제 폭넓게 잡아도 되나?
❙남이 연구한 주제, 다시 해도 될까?
2-4. 초록부터 결론까지 톺아보기
❙초록; 살뜰하게 간추린 글
❙서론; 첫말로 공감을 일으키자
❙용어 개념; 시작부터 또렷이 밝히자
❙선행 연구; 내 연구와 이어지는 고리다
❙연구 방법; 어떻게 요리할지 생각하자
❙연구 결과; 열매가 맺었는지 살피자
❙결론; 연구 결과를 풀어 쓴 것이다
3. 논문의 씨앗, 연구 방법론
3-1. 두 가지 연구 방법
❙딱 부러지고 곧은 ‘양적 연구’
❙꿰뚫어 보며 판가름하는 ‘질적 연구’
❙질적ㆍ양적 연구, 어느 것이 유리?
3-2. 가설 세우기와 검증
❙‘가설’은 가짜 말인가?
❙입증과 반증으로 논리 전개
❙연구 문제와 가설을 세우는 방법
❙‘왜’에서 비롯되는 연구 문제와 가설
3-3. 조작 정의와 변인
❙개념보다 또렷한 ‘정의’
❙헤아릴 수 있게 하는 조작 정의
❙연구에도 변수가 있다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의 관계
3-4. 연구 조사와 통계
❙연구의 꽃, 조사와 통계
❙실과 바늘, 모집단과 표본
❙표본 오차와 신뢰 수준
❙통계 추론과 신뢰 구간, 오차 한계
❙적당한 표본 크기 정하기
❙설문 조사와 응답률 높이기
❙응답률 높이는 설문 만들기
❙오류 없는 통계와 마무리
4. 바른 학술 글쓰기
4-1. 학술 글쓰기의 시작
❙글쓰기에 앞서 새겨 두기
❙문제점을 알고 실마리 풀기
❙바르게 쓰며 펼쳐가는 방법
4-2. 좋은 글을 이루는 것들
❙좋은 글쓰기의 ‘일곱 고개’
❙서술어ㆍ수식어 옳게 쓰기
❙군더더기와 겹말 없이 쓰기
❙피동에서 벗어나 능동으로
4-3. 나쁜 버릇 솎아내어 좋은 글쓰기
❙나쁜 버릇 고치면 좋은 글 된다
❙우리말에서 ‘-적(的)’ 내쫓기
❙‘-의’를 줄이면 글이 깔끔하다.
❙‘것ㆍ들’도 줄일수록 좋다
❙접속사도 덜 써야 돋보인다.
❙피해야 할 ‘돌려 말하기’
4-4. 줄여야 할 한자ㆍ일본말
❙중국말에서 풀려나기
❙헷갈리는 한자말 고쳐 쓰기
❙일본 한자말 덜어내기
❙일본 번역 말투 털어내기
5. 문장부호ㆍ외래어ㆍ인용ㆍ주석
5-1. 문장부호도 요긴한 것
❙얼렁뚱땅 넘길 수 없는 문장부호
❙마침표와 쉼표; Period/Comma
❙쌍점과 쌍반점; Colon/Semicolon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 Quotation Marks
❙줄표ㆍ붙임표ㆍ빗금ㆍ가운뎃점; Dash…
❙여러 가지 괄호; brackets
5-2. 외래어ㆍ외국어 바로 적기
❙외래어도 국어다
❙외국어도 우리 말법에 맞게
5-3. 인용은 죄가 없다
❙남의 것 끌어 쓰기
❙저작권과 표절 문제 풀어내기
5-4. 주석만 잘 붙여도 탈 나지 않는다
❙두루 쓰는 주석
❙주석을 붙일 때는
❙국내 자료의 주석
❙외국 자료의 주석
5-5. 참고문헌 목록 붙이기
❙국내 자료의 참고문헌
❙외국 자료의 참고문헌
붙임
❙논문과 미술디자인에서 쓰는 줄임말
❙미술대학 논문규정 본보기
❙간추린 한글 맞춤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