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군사전략/무기
· ISBN : 9788996584049
· 쪽수 : 297쪽
· 출판일 : 2018-04-30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이론적 배경 : 정보의 기념과 정보실패
제1절 정보의 개념 / 제2절 정보실패의 개념과 구분 / 제3절 정보순환과정과 정보실패 요인 / 제4절 정보 생산자와 사용자 간의 문제
제3장 6·25전쟁 발발과 정보실패
제1절 6·25전쟁 발발 전 주요사건: 1945년 _ 1950년
제2절 6·25전쟁 발발에 대한 정보실패 요인 분석
제3절 소결론
제4장 중공군 개입과 정보실패
제1절 중공군 개입과 제1차 공세
제2절 중공군 개입에 대한 정보실패 요인 분석
제3절 소결론
제5장 한국의 국가정보체제 발전에 주는 교훈
제1절 교훈
제2절 대책: 통합정보체제의 필요성
제3절 정책적 건의
제6장 결 론
표차례
참고문헌
부록
영문약자
저자소개
책속에서
6·25전쟁의 정보실패가 우리에게 주는 가장 중요한 교훈은 냉전체제가 지속 중인 한반도에 아직도 그대로 되풀이될 수 있다는데 있다. 예를 들면 ‘늑대와 소년 현상’, ‘거울 이미지 오류’와 ‘합리적 선택 오류’는 현재 한반도에도 또 다시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략). 북한은 한국을 향해 미사일을 발사하고 핵무기를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소망적 사고’ 그리고 북한의 기술과 경제력은 한국보다 못하고 낮다는 선입관과 고정관념이 주는 편견에 의한 ‘관성적 사고’를 정책결정자들이 갖는다면 우리는 또 다시 한반도에서 치명적인 정보실패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중략) 우리 정치지도자들은 인지적 요인에 의한 ‘안보불감증’은 명령이나 지시에 의해 불식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하고 동시에 체제나 제도개선을 통해 이를 개선해나가도록 노력해야만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