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96740001
· 쪽수 : 325쪽
· 출판일 : 2011-10-26
책 소개
목차
1부 천경신고(天經神誥)와 전계(佺戒)
제1장 천부경(天符經)
1. 천부경의 유래와 의미
2. 천부경을 위한 개념의 이해
3. 천부경의 수리체계
4. 천부경 본문
제2장 삼일신고(三一神誥)
제 1장 허공(虛空) / 제 2장 일신(一神) / 제 3장 천궁(天宮)
제 4장 세계(世界) / 제 5장 인물(人物)
제3장 참전계(參佺戒)
1. 참전계 이해 / 2. 전계 본문 / 3. 전선종(佺仙倧)
2부 천부(天符)의 세계
제1장 천부경의 상징체계
1. 우주나무 / 2. 세계수 / 3. 생명나무 / 4. 장군총과 천부사상
5. 고구려 고분과 천부원리 / 6. 윷놀이와 천부원리
제2장 을밀선인과 다물흥방가
제3장 광개토태왕과 천하중심
광개토경호태왕과 비밀문양 / 어아의 노래
제4장 위대한 구도자 을지문덕
제5장 용봉(龍鳳)문화와 삼족오
제6장 삼칠일(三七日)이 뜻하는 우리의 문화
제7장 제천(祭天)의 노래 아리랑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이 만인에게 공감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된 그 첫째 이유는 환단고기의 원문에 나와 있는 대허(大虛)·일신(一神)·삼신(三神)·일기(一氣)·대기(大氣)·대일(大一)·삼극(三極) 등의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운삼사(運三四) 성환오칠(成環五七)의 원리를 〈태백일사〉[삼신오제본기]에 나와 있는 “승경일주삼(承徑一周三) 경일잡사지기(徑一?四之機)”와 〈태백일사〉[소도경전본훈]에 나와 있는 “환역의 체(體)는 원(圓)이며, 용(用)은 방(方)이다. 모양이 없음으로부터 실(實)을 알게 되니, 이것이 하늘의 이치이다.”라고 하는 내용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이유는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지 꿰지 못하면 보배가 되지 못한다는 말과 같이 이 책에서는 천부경의 전체 내용이 서술적이지 않고, 하나로 관통되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