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96785903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1-12-26
책 소개
목차
제1장 중국에서 바라보는 북한
제2차 핵 실험
우회적인 비판
북한 대사관
최진수 대사
외교관 월급은 500달러
북한 유학생
일본의 대북 정보 수집 능력
중국의 북한 식당
중국 동북 지방은 북한의 달러 상자
북한의 높은 정보 기술, 저렴한 인건비
휘장 만들기
가짜 비아그라
암거래를 하는 금융
마카오와의 뒷거래
핵과 미사일에 대한 중국과 북한의 협력 가능성
일본인 기술자
제2장 1300km의 북중 국경 지역
탈북자들이 숨어드는 도시, 연길
북중 무역의 거점, 연변
단동 - 북중 간의 활발한 왕래
단동의 어두운 역할
단동 시장의 “북한을 잊어라”
시장의 70%를 독점
수풍댐
물류와 역사의 고장 - 집안集安
일제 강점기 시대의 다리로 연결된 중국과 북한
30m 앞의 다른 나라
중국 공안의 미행
북에서 팔려온 신부
투먼으로부터의 편지
한족이 지배하는 수용소
국경의정서
불법 월경에 대한 단속 강화
친척 방문의 제약
신병新兵이 꺼려하는 국경 경비
제3장 무역과 식량 그리고 석유
중국의 대북 원조 정책 - 긴급 수혈에서 조혈로
북한의 대중 무역 의존도
중공업이 붕괴된 북한
가장 필요한 물자는 유리창
신의주 개발과 중국
특별행정구에 대한 거부
중국의 대북 무상 원조 실태
중국 중앙이 주도하는 식량 원조
원유 수송을 위한 송유관
군이 지키는 비밀 기지
우정의 상징인 중조우의관
미국도 관심을 갖고 있는 대북 원유 지원
화력 발전에 꼭 필요한 원유
석유 수입량은 연간 100만 톤
7.1 경제관리개선조치와 투자 유치 매뉴얼
세계 최저 수준의 임금과 세금
최우선 과제인 용광로의 현대화
북한의 외화 유치 정책
동아시아 최대의 운산 금광
무산 철광산
해저 유전의 공동 개발
원유 생산에 대한 집착
중국의 에너지·자원 외교
사기가 횡행하는 대북 투자
제4장 전쟁으로 맺어진 우정
이례적인 국빈 대우
피로 맺은 우의를 젊은 세대에게
전쟁에서는 사람이 죽는 것이다(마오쩌둥)
건국 직후의 ‘전쟁’
‘타이완’ 언급에 대한 반발
군사 훈련으로써의 한국 전쟁
1961년 군사 동맹 체결
여전히 유효한 중국과의 군사 동맹
문화 대혁명 시기 주석은 ‘대부호’라는 중국의 비판
마오안잉의 묘지 훼손
백두산 천지를 분할하는 협상
대외 관계의 근본적 재검토
동맹의 종언 - 후야오방의 방북
한국과의 국교 수립을 위하여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인용하며
소련과 중국이 보인 대응의 차이
역사상 가장 짧았던 회담
북한 핵 개발의 원인은 한중 국교 수립
대규모 원조에 의한 관계 회복
장쩌민 주석의 방북
제5장 지도자 간 개인적 유대감의 약화
저우언라이와 김일성
하나밖에 없는 외국인 동상
덩샤오핑의 되풀이되는 교화
개혁.개방 직전에 덩샤오핑의 평양 방문
쓰촨四川에서 배우다
형제당 불간섭 원칙
후계자는 인민이 선택해야만 한다
김정일에게 경제와 근대화를 말하다
두 개의 손
만수대의 김일성 동상
김정일 총서기의 중국관
개혁.개방에 관한 학습의 성과
중국 최고 지도자의 첫 해외 방문지 북한
최고 지도자에 대한 열렬한 환영 ? 지도부와 군중의 총출동
갑작스러운 자기비판
장래의 양당.양국 간의 파이프라인
이색적인 류샤오밍 대사
북중 교류의 현황
복권된 실권 - 장성택
제6장 두 차례의 북한 핵 실험, 그리고 중국의 실패
핵 실험을 둘러싼 국가주석의 격노
긴장 회피
중국의 경고
한란悍然의 의미
고농축 우라늄 의혹
중국의 ‘셔틀 외교’
낙관이 지나쳤다
김일성 주석의 유훈
BDA 문제에 대한 중국의 소극적 태도
미사일 발사 관련 결의안을 둘러싼 북중 간의 충돌
국익에 따른 핵 실험
전략적 선택으로써의 핵 보유
북중은 동맹 관계가 아니다
국가주석의 북중 동맹 부정
압력을 가할 수 없는 국가 - 북한
북중 간의 경계와 의심의 강화
외교부장의 사태 수습
배신하지 않는다는 김정일의 약속
‘테러 지원국’ 해제
북한의 제2차 핵 실험
제7장 중국은 북한을 어떻게 할 것인가?
관계 회복의 계기가 된 북중 수교 60주년
무상 원조와 압록강대교
중국의 북한 연구
북한에 대한 중국의 세 가지 대응 방식
한국 국방 연구원 내부 조사로 본 후계 구도
북한 급변 사태에 관한 보고서
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군사적 개입 가능성
급변 사태 보고서에 대한 중국의 격렬한 항의
중국 인민해방군의 급변 사태 개입에 관한 통일 연구원과 랜드연구소의 보고서
북한과 중국은 보통 국가 관계
중국의 대북 피로감
중국의 대북 비판 여론
북한 핵 폐기를 위한 중국의 지속적인 노력
북한 핵의 폐기를 위한 안전 보장
동맹 조약의 ‘자동 군사 개입 조항’
북한과 미국의 동시 견제를 위한 조약의 유지
완충 지대로써의 북한
당제 관계黨際關係의 재검토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개입
일본어판 후기
부록 : ■ 북한에 대한 중국의 무상 지원 목록
■ 1980년대 이후 북중 지도부 교류 현황(1980년부터 2011년 상반기까지)
■ 중조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