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96869733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3-05-1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rologue
1장 - 사회적 도시 경험 디자인을 위한 고글로벌 프로젝트
Part 1. GoGlobal Project for Designing Social City Experiences
01 서문 Foreword
02 고글로벌: 서울 소셜 시티 소프트웨어 소개 Introduction to GoGlobal: Seoul Social City Software
03 디자인 요청 내용 Design Brief
04 컨텍스트 개요 Context Overview
05 참여 기관 Participating Organizations
06 문화적 관계의 도구로써의 디자인 Design as a Tool of Cultural Relations
07 디자인 프로세스 Design Process
08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 프로젝트 튜터들의 소고 Reflections by Tutors of ID KAIST
09 디자인 태클과 도구들 Design Tackle and Tools
10 제조 기반 혁신: 생태디자인으로의 패러다임 변화 Manufacture Based Innovation: Paradigm Shifting into Designing Ecologies
11 디자인과 도시 Design and Cities
12 영시 Poems
2장 - 디자인 제안
Part 2. Design Proposals
13 주제 및 컨텍스트 Themes and Context
14 사회적 연결 Social Connection
- 나비콘 NAVeacon
- 동대문 쇼핑 카페 Dongdaemun Shopping Cafe
- 재자리 JAEJARI
- 만남의 장터 Hub Restaurant
- 패셔니스테이션 Fashionistation
- 디자이너의 주방 Designer’s Kitchen
- 모아 MOA
- 탈먼트 Talment
15 되살림 Revival
- 동대문 디자인 팩토리 Dongdaemun Design Factory
- 그림 우물 Digital Puddle
- 동대문 대학 Dongdaemun University
- 나를 따르라 Follow-Me
- 동대문 오감여행도 Sense Track
- 창의적인 네이버후드 Creative Neighborhood
- 울림고 Ullimgo
- 막 The MAK
에필로그 Epilogue
저자 약력 Biographies of Authors
책속에서
1부에서 소개되는 에세이들은 수 차례 학과 방문을 통해 학생들을 함께 지도하면서 식사 시간 및 휴식시간 동안 교수들과 튜터들 간에 이루어진 토론의 결과물이다. 복잡하고 난해한 사회적 디자인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식으로 디자인 활동을 전개할지에 대한 견해와 발견점들을 공유하고 있다.
The essays that follow have resulted from discussions between professors and tutors during lunch and dinners, over coffee breaks, as we taught together and on educational visits. Such discussions allowed us to share thinking and insights on how design activity can shape and be shaped by tackling complex and wicked social design challenges.
서울은 2천만 인구의 큰 도시이지만 일부 시민들은 아직도 서울과 원활히 연결된 생활을 하지 못하고 있다. 저소득이 경제적으로 사회적 연결을 방해하고, 물리적, 인지적인 연결 장애는 새로운 방법이나 접근점을 필요로 한다. 현재의 생각을 발전시키고, “새로운 방법으로 개선된 미래를 지향하기 위해 우리는 어떠한 미래 시나리오를 그려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 디자인 팀에게 주어진 첫 번째 주제였다.
Seoul is a mega city with a 20 million population, yet some inhabitants are unable to connect to the city, economically (to increase business, low income reduces access) and, due to disability, physically (physical and cognitive so need new methods and access points). How can we envision future scenarios to lead current thinking and initiate the delivery of an improved social future through connecting in new ways?
또한 초현대적 도시인 서울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데이터 네트워크와 빠른 교통 체제를 가지고 있지만 시민들은 그러한 물리적, 정서적인 양질의 혜택이 반영된 도시 구조 속에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는데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문화적 소통은 인간의 중요한 속성임과 동시에, 정체성과 소속감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물리적, 정서적 도시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디자인은 어떻게 문화적, 환경적 요인들을 되살릴 수 있으며 시민들을 한국이라는 하나의 정서로 연결시킬 것인가?” 이것이 두 번째 세부 주제이다.
Seoul is in Korea; it’s an ultra-modern city with the world’s fastest data networks and rapid transit systems, yet inhabitants find it difficult to see their Korean identity reflected in the physical and emotional qualities of the city fabric. Cultural connection to place is an important human attribute and one that reinforces identity and belonging. How can we use design thinking to connect people to a feeling of Korean-ness through a revival of 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support enhanced physical and emotional city connect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