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8899709422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2-10-30
책 소개
목차
Point of No Return 세계의 특수작전 I권 목차
I 세계의 특수부대
강한 자는 모두 모여라
특수전은 무엇인가?
전군 표준장비의 등용문
Ⅱ 담대하고 기발한 특수작전
에방에마엘 요새 직접타격작전 코흐 특공대의 그라닛 작전
가장 무모하고도 위대한 타격작전 영국 코만도의 채리엇 작전
일엽편주에 목숨을 건 특공작전 프랭크턴 작전
고르고포타모스 교량을 폭파하라 그리스 최대의 파괴공작, 할링 작전
전자첩보전의 역사를 시작한 제1공수여단의 바이팅 작전
노르망디 상륙작전의 선봉에 서다 미 육군 레인저의 푸앵트뒤오크 전투
유인어뢰로 최강의 함대를 침몰시키다 이탈리아 해군 잠수특공대의 활약
Ⅲ 표적을 확보하라
자르카위를 사살하라 TF-145의 고가치표적 작전
빈 라덴을 사살하라 넵튠스 스피어 작전
독일군 수장을 납치하라 크라이페 장군 납치작전
목표: 프라하의 학살자 2차대전 유일의 표적사살작전, 안드로포이드
Ⅳ 특수부대는 만능이 아니다
노리에가의 퇴출로를 막아라 실패로 끝난 니프티 패키지 작전
아프가니스탄 최악의 참사 실 10팀의 레드 윙 작전
불가능은 존재한다 그레나다 침공의 선봉에 선 네이비 실의 실패
미군 최악의 구출작전 마야구에즈 피랍사건
합의되지 않은 특수작전의 처절한 실패 어그리먼트 작전
기본기 없는 작전 수행으로 재앙을 자초하다 이집트 777부대의 인질 구출작전
Point of No Return 세계의 특수작전 Ⅱ권 목차
I 오늘날 특수부대의 활약
석유를 지키기 위한 그림자 전쟁 영국 특수부대 SAS의 미르바트 전투
아르헨티나 공군력을 마비시켜라 SAS의 페블 섬과 리오그란데 기습작전
한 나라의 지도자를 세우다 텍사스 14와 데브그루의 활약
특수전 해상기지로 해상교통로를 사수하라 프라임 챈스 작전
미군 특수부대 편성표
영국군 특수부대 편성표
Ⅱ 인질 구출작전
신용카드로 부대를 구출하다 그레나다의 폴 스쿤 총독 구출작전
성공과 실패의 경계에 선 무자비한 대테러작전 모스크바 극장 인질 구출작전
1,200명의 인질을 구출하라 사상 최악의 베슬란 학교 인질사건
4개월간의 인질극을 끝낸 페루 특수부대의 차빈 데 우안타르 작전
프랑스 특수부대 GIGN의 활약 마르세유의 인질 구출
대테러작전 역사에 획을 그은 성공 SAS의 님로드 작전
아군의 학살을 막아라 카바나투안 포로 구출작전
미국판 아덴만 여명 작전 머스크 앨라배마 인질 구출작전
베트남 전쟁 최대의 조종사 회수작전 배트 21B 구출작전
기만전술로 총성 없이 인질을 구출하다 콜롬비아군 정보국의 하케 작전
모가디슈의 인질 구출극 포이어차우버 작전
동시다발 인질사건을 해결하다 네덜란드 특수부대 BBE의 인질 구출작전
유럽 최고사령관을 구출하라 윈터 하베스트 작전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Point of No Return 세계의 특수작전 I
담대하고 기발한 특수작전
현대적인 특수부대는 2차대전 당시 영국에서 시작했다. 전쟁 초기 수세에 몰린 영국이 비정규전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한 특수작전국[SOE]과 코만도(Commando) 부대가 그 시초라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독일 해군 전함 티르피츠(Tirpitz)의 활동을 방해하기 위해 생나제르(Saint-Nazaire) 항의 건선거를 파괴한 채리엇 작전(Operation Chariot), 보르도 항구를 공격한 프랭크턴 작전(Operation Frankton), 철도교를 폭파하여 독일군 군수지원을 차단하려 한 할링 작전(Operation Harling), 독일군 레이더를 탈취한 바이팅 작전(Operation Biting) 등 2차대전 당시 다양한 특수작전을 밝힌다. 영국군뿐만 아니라 독일군의 에방에마엘 요새(Fort Eben-Emael) 기습작전, 이탈리아 해군 잠수특공대의 유인어뢰 공격 등도 소개한다.
표적을 확보하라
미군은 ‘이라크 자유 작전(Operation Iraqi Freedom)’을 통해 테러위협을 완전히 없앨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그 기대는 서서히 무너져갔다. 미군에 의해 점령된 이라크가 4세대 전쟁의 무대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에 미군은 알-자르카위(al-Zarqawi)와 오사마 빈 라덴(Osama bin Laden) 같은 ‘고가치표적[HVT]’의 체포 또는 사살을 목적으로 한 작전에 주력하게 된다. 이러한 작전이 현대전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2차대전 당시 크레타에서는 SOE 요원들과 현지 레지스탕스가 힘을 합쳐, 독일 점령군 사령관 크라이페(Kreipe) 장군을 납치하기도 했다. 체코에서도 현지 총독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Reinhard Heydrich)를 암살했다.
특수부대는 만능이 아니다
특수작전이 항상 성공을 거두는 것은 아니다. 우수한 자원이 모였음에도 작전 주체 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작전계획도 부실하여 결국 재앙으로 이어진 어그리먼트 작전, 파나마 침공 당시 노리에가의 탈출을 막으려 한 니프티 패키지 작전, 그레나다 침공 시 네이비 실의 실패 등 특수부대를 투입하고도 실패로 끝난 작전 등을 소개한다. 특수부대가 아무리 뛰어나다 하더라도 취약한 지휘통제체계, 부족한 장비, 타군의 협조 미비 등 작전이 실패할 여지는 많이 있다. 여러 특수작전이 실패한 이유와 그로 인해 얻은 교훈을 밝힌다. 작전계획은 될수록 단순하게 하고, 예비용 장비를 반드시 휴대할 것, 합동훈련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부대하고만 실제 작전을 함께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특히 특수부대가 할 수 없는 임무가 있다면 할 수 없다고 솔직 명료하게 지휘부에 알려야만 한다. 통상 정규부대 출신이 많은 지휘부는 특수부대가 어떤 일을 할 수 있고 어떤 일을 할 수 없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한편 미국에서는 이러한 실패를 바탕으로, 미군 내의 모든 특수작전을 총괄하고 실질적인 지휘권과 작전통제권을 가진 통합조직인 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를 창설했다.
Point of No Return 세계의 특수작전 Ⅱ
오늘날 특수부대의 활약
특수부대가 수행하는 특수작전은 타격작전, 특수정찰, 비정규전, 대게릴라작전, 해외방어원조, 대테러작전, 민사심리작전, 정보작전, 기타 군 통수권자나 국방장관이 지정하는 모든 임무 등 그 범위가 매우 넓고 다양하다. 여기서는 현대전에서 특수부대가 투입된 다양한 특수작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석유자원을 둘러싼 보이지 않는 암투가 바탕이 된 오만 반군과 영국 SAS의 미르바트 전투(Battle of Mirbat), 아프가니스탄 차기 정부 성립에 관여한 그린베레(Green Beret) 작전팀 ‘텍사스 14’, 요인 경호를 맡은 데브그루(DEVGRU),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해상수송로를 사수하기 위한 해상기지 설립 등 현대전에서 특수부대를 다양한 작전에서 활용하는 모습을 만날 수 있다.
인질 구출작전
특수부대의 모습을 일반 대중에게 가장 잘 알린 것은 바로 인질 구출작전일 것이다. 전쟁 중 비밀리에 수행한 다른 특수작전은 잘 알려지지 않지만, 인질 구출작전은 그 특성상 외부에 노출된 채로 진행할 수밖에 없다. 모스크바 극장과 베슬란 학교 인질 사건, 페루 주재 일본 대사관 인질 구출[차빈 데 우안타르(Chav?n de Huantar) 작전], GIGN 항공기 인질 구출, SAS의 이란 대사관 인질 구출[님로드 작전], GSG-9의 모가디슈의 피랍 항공기 인질 구출[포이어차우버(Feuerzauber) 작전], 동시에 두 곳에서 일어난 인질 억류사건을 해결한 네덜란드 특수부대 BBE 등 각국 특수부대가 수행한 인질 구출작전을 다룬다. 성공적인 작전이 있었는가 하면 무참히 실패한 작전도 있었다. 또한 프랑스 특수부대 GIGN, 독일 경찰 특공대인 GSG-9, 네덜란드 특수부대 BBE 등 영국과 미국 외 나라의 특수부대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