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한민국 공군의 이름으로

대한민국 공군의 이름으로

이강화 (지은이), 이윤식
플래닛미디어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한민국 공군의 이름으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한민국 공군의 이름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전쟁사
· ISBN : 9788997094530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4-06-13

책 소개

KODEF 안보 총서 71권. 6.25 출격 조종사이자 기록사진가인 이강화 장군(예비역 공군 준장)이 겪은 6.25전쟁 이야기와 함께 자신이 직접 찍거나 소장하고 있는 당시 대한민국 공군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130여 장이나 싣고 있어서 주목된다.

목차

작가의 말
프롤로그 | 공군력을 통해 본 6·25전쟁의 재해석

‘음악가’의 꿈, ‘조종사’의 길
음악가를 꿈꾸다 | 무사시노 음악학교 입학을 위해 일본으로 유학 가다 | 바뀌어버린 인생 항로, 시작된 사진과의 인연 | 동원령으로 후지전기주식회사에 징용되다 | 일본 소년비행학교에 입교하다

탈출
일본 육군항공대 폭격기 조종사 시절 | 일본의 항복 | 탈출

고향 하동으로
나도 하동 사람이야 | 악극단을 조직하여 계몽운동을 하다 | 항공대 건설 동참 권유를 받다

‘항공군’을 만들자
해방 후 항공인들의 활동 | 항공부대의 탄생 | 공군 창군 7인의 주역 | 본격적인 항공부대의 창설

“부관! 총이냐, 칼이냐?”
출신별 갈등 | 사상적 갈등 | “부관! 총이냐, 칼이냐?”

‘공군사관학교’의 전신인 ‘육군항공사관학교’에 입교하다
여자항공교육대 창설 | ‘육군항공사관학교’는 ‘공군사관학교’ 전신이다 | 조선경비대 초대 항공사령관 백인엽 장군과의 조우

“야, 빨리 나와!”
창군 초기의 열악한 급식 | “그래, 동초? 그럼 서초는 어딨나?” | 공군 모자는 중학생 교모, 군복은 밀가루 포대로

“아, 지리산에는 언제 봄이 올 것인가?”
군 단결을 위한 공연 기획 | 지리산공비토벌작전

억울한 영창 생활
혼돈 | 공산주의자들의 항공기 월북사건 | “보초님, 보초님, 담배 한 대 주이소” | 또 하나의 월북사건

감격스런 공군 창군
1949년 10월 1일 | 대한민국 공군의 편제

“나를 놀라게 하지 마!”
6·25전쟁 발발 전 우리의 상황 | “나를 놀라게 하지 마!”

장작을 패다 맞은 6?25
평온한 일요일 아침 | 여의도 기지에서 수원 기지로, 다시 대전 기지로 | 아침은 서울에서, 점심은 평양에서, 저녁은 신의주에서

“쓰코미해라!”눈물 나는 신조어
정찰기에서 손으로 폭탄을 던지며 싸우다 | 김두만 중위의 ‘스핀 폭격’

제원도 모른 채 조종한 T-6기
원초적 조종 | 나에게 주어진 특수임무: “한강철교 파괴 여부를 확인하라”

3 대 1의 숨 막히는 공중전
조종사에게 색적은 최선의 방어 | 야크기의 기습공격 | 필사적인 귀환 | 미 군사고문단 L-5 연락기를 구조하다 | 채병덕 장군과의 기구한 인연 | 6146부대 헤스 소령과의 첫 만남

뜨거운 전우애가 이뤄낸 기적
“제가 김두만 중위와 함께 가겠습니다” | 전우애가 밝혀준 구원의 불빛 | 자신의 희생을 예견하고도 명령에 복종한 조종사들

맥아더 원수 눈앞에서 벌어진 공중전
맥아더 원수 눈앞에서 벌어진 공중전 | 전쟁 초기 미 극동공군의 대응

‘적전해산’이라는 오해를 부른 공군 철수작전
우왕좌왕한 철수작전 | 눈물을 머금고 후퇴하다

남측 조종사와 북측 포병 관측장교의 조우
나창준 조종사의 맹활약 | 전구서 상사의 용감한 행동 | 국민성금으로 마련한 T-6기와 7.7밀리 기관총의 활약 | 천봉식 중위의 피격 전사

낙동강 전선에서의 유엔 공군 항공작전
가공할 유엔 공군의 출현 | 낙동강 전선에서 실시된 융단폭격의 허와 실

영천대첩과 공군 정찰비행대의 활약
저평가된 낙동강 전선에서의 우리 공군의 항공지원작전 | 정일권 총사령관의 뛰어난 용병술 | T-6 정찰비행대의 눈부신 활약 | 행정장교 한해남 소령의 특수임무: 김천 간이비행장 건설 | F-51기의 대활약

인천상륙작전 당시 유엔 공군 항공작전
적의 허를 찌르는 맥아더의 구상 | 인천상륙작전을 위한 항공작전 전개 시작 | 우리 공군 정찰비행부대와 미 제5공군 전투비행부대의 긴밀한 협동 | 인천상륙작전 성공을 위한 공군과 해군의 항공작전 | 인천상륙작전 성공 뒤에는 철저한 항공작전이 있었다 | 인천상륙작전 성공 후 인민군의 패주

여의도 기지와 평양 미림 기지 전개
폐허가 된 수도 서울의 참혹한 광경 | 서울 수복 후 북으로의 진격 | 중공군의 출현 | 여의도 기지 전개 | 여의도 기지 작전 | 평양 미림 기지 전개 | 평양 미림 기지에서의 정찰작전 | 영천대첩 후의 정찰비행부대 활약상

미 공군 정보장교 니콜스와의 만남
폐허가 된 인민군 사령부 | 인민군에게 끌려온 여학생들을 구하다

전란 와중에 없어진 포터블 축음기 평양에서 되찾다
박범집 장군의 비행 사고 | 전란 와중에 없어진 포터블 축음기 평양에서 되찾다 | 평양의 어느 여인

전쟁이 낳은 만남과 이별
영하 20도의 맹추위 속에서 버스를 몰다 | 엇갈린 만남 | 예상치 못한 미 공군대학 교육 | 전쟁이 낳은 인연

전쟁고아 긴급 공수작전
장난감 자동차 작전 | 전장에 핀 꽃

장진호에서의 유엔 공군 항공작전
전멸 위기 | 역사적인 항공수송작전

미그-15기 부품 탈취작전
제트기 간의 최초 공중전 | F-80과 미그-15기의 최초 공중전 | 미그-15기 부품 탈취작전 | F-86 신예기의 활약

불꽃 튀는 대공포화 속으로
단 2회의 F-51기 기종전환훈련 | 불꽃 튀는 대공포화 속으로 | 성질 더러운 야생마, F-51 무스탕 전투기

헤스와의 동반 출격
전투기 조종사 에이스, 헤스 중령 | 헤스의 주도면밀한 지상공격 | 헤스 중령이 품고 있던 마음의 상처

김정렬 참모총장의 결단
김정렬 참모총장의 단호한 결단 | 육군항공대 창설을 위한 비행교육 | 가족과의 재회

작전장교의 동분서주한 출격
인정받은 대한민국 공군의 작전능력 | 독자적인 군사행동을 위한 체계 구축 | 지리산공비토벌작전과 ORI 검열 | ‘팔만대장경 수호’의 진실

대한민국 공군의 첫 단독작전 출격
유엔 공군의 일원이 되어 성공적으로 완수한 첫 단독출격임무 | 저공비행공격을 막기 위해 계곡 안에 쳐놓은 적의 그물망 | 우리 공군기와 미 공군기가 뒤섞인 지상공격 | 휴전협상 개시 후 미 공군의 치열한 공격과 막대한 피해

미 공군대학 도미 교육
지휘관참모과정 교육을 위한 도미 | 미국식 민주주의와 흑백인종차별

우리 지상군은 우리가 직접 공중지원한다
공지합동작전 준비 | 대한민국 공군의 높은 임무성공률

공지작전학교(AGOS) 개설
제10전투비행단 창설과 공지작전학교 개설 | 351고지 전투 지원작전 | 유엔 공군의 헌신과 희생에 대하여

진급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군인정신’과 ‘신념’을 지키는 것이다
집 마루에 놓인 쌀 한 가마 | ‘강릉 호랑이’ | 부대에 생긴 커다란 변화

빨간 마후라에 관한 여러 설과 진실
빨간 마후라와 김영환 장군 | 대한민국 공군의 상징이 된 빨간 마후라

자유당 의장에 대한 사과를 거부하다
여당에 유리한 강연을 거부하다 | 자유당 의장에 대한 사과를 거부하다 | 마침내 좌천되다

비행단장의 꿈은 멀어지고
국방대학원 ‘1년’이 ‘4년’이 되다 | 비행단장의 꿈은 멀어지고 | 미 태평양지역 연합참모대학에서 연수를 받다

영화 <빨간 마후라>의 숨은 에피소드
영화 <빨간 마후라>와의 인연 | 영화 <빨간 마후라> 시나리오 검토 | 미증유의 히트곡 <빨간 마후라> 주제곡이 나오기까지 | 기록은 곧 역사

5억 달러 군사원조지원금을 둘러싼 각축전
“이 장군, 좀 양보해주시게나”

실전 경험의 기회를 놓친 공군
좌절된 전투비행대대 월남 파병 | 월남이 더 간절하게 바랐던 한국 공군 전투비행대대 파병 | 최초의 공군 해외파병부대인 ‘은마부대’의 탄생 | 티우 대통령과의 재회

전차를 동원하여 비리를 밝히다
박정희 대통령이 만든 특검단 | 특검단에 들어가기까지 | 전차를 동원하여 비리를 밝히다

조건부 진급 제안을 거부하다
조건부 진급 제안 | ‘일심보검’

창공회 결성과 한국항공청소년단 창설
창공회 결성 | 한국항공청소년단 창설

성공이든 실패든 반드시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
공군사 재정립은 나의 마지막 임무 | 1단계 공군사발굴보완위원회 발족 | 2단계 공군사발굴보완위원회 활동 및 중단 | 3단계 공군사발굴보완위원회 활동 재개 | 연구 결과 | 공군사, 계속 보완해야 한다

에필로그 | 나의 마지막 임무

저자소개

이강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6년 경상남도 하동에서 태어났다. 음악가의 꿈을 안고 14살 어린 나이에 일본 유학길에 올라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조종사의 길을 가게 되었다. 해방 후 우리 항공인들의 노력으로 대한민국 공군이 창군되면서 다시 조종사의 길을 걷게 되었다. 6?25전쟁 당시 풍전등화와 같은 조국을 위해 대한민국 공군 작전장교로서, 그리고 조종사로서 활약하면서 당시 우리 공군의 다양한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전쟁이 끝나고 공군 현대화의 일환으로 미국에서 F-86 제트기 비행훈련을 받았다. 1950년대 말부터 국방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국방대학원 현대화에 기여했고, 1963~1964년 공군대학 총장을 역임했다.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전투비행대대 월남 파병을 추진하기도 했다. 1969년 박정희 대통령 특명으로 국방부 산하 특명검열단을 조직하고 제4부장으로 활약하면서 군의 부정부패와 비리를 없애는 데 앞장섰다. 전역하기 전 미래 항공전력을 위한 꿈나무를 육성하기 위해 한국항공청소년단(KCAP)을 창단했다. 전역 후 공군참전군인회의 공군사발굴보완위원회를 설립하여 공군사를 발굴?보완하는 일에 앞장섰으며, 공군역사기록단 자문위원으로 활약했다. 전쟁 초기 이승만 대통령이 지시한 특수정찰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한 공로로 1950년 11월에 공군 제1호 을지무공훈장을 받았고, 1952년 공지합동작전 시스템을 구축한 공로로 금성충무무공훈장을 받았다. 그리고 1967년 공군 수송부대 파월 공로로 월남 정부로부터 명예1등훈장을 받았다. 1943년 일본 다치아라이(太刀洗) 육군비행학교 졸업 1949년 4월 대한민국 육군 항공 소위 임관 1950년 6월 공군비행단 작전처장 1952년 6월 제1전투비행단 제10전투비행전대 작전과장 1952년 8월 미제5공군 파견(ALO) 1953년 3월 제10전투비행단 작전처장 1955년 10월 제1훈련비행단 제1훈련비행전대장 1958년 10월 국방대학원 교수 1963년 2월 최고회의(중앙정보부) 파견 근무 1963년 7월 공군대학 총장 1965년 1월 공군본부 작전국장 1965년 12월 공군본부 기획국장 1966년 10월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인사기획국장 1969년 7월 국방부 특명검열단 공군검열반장, 제4부장 1970년 9월 한국항공청소년단 단장(군외직) 1971년 3월 공군 준장 예편 을지무공훈장, 금성충무무공훈장 등 12개 훈포장 수상. 1951년 2월 25일~1952년 4월 25일 미 공군대학(Maxwell Air University) 교육 1952년 6월 10일~1952년 7월 10일 미 공지합동작전학교(Air Ground Operation School) 교육 1954년 9월 7일~1955년 4월 28일 미 고등비행훈련학교(Flying Training School Nerise A.F.B(USA) 제트기 비행교육 1956년 10월 5일~1957년 7월 29일 대한민국 국방연구원 1기생 연수 1958년 5월 6일~1958년 7월 20일 미 태평양지구연합참모대학(Pacom Joint Combaind Planing School Okinawa) 교육 1961년 단국대학교 법학과 졸업 1965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펼치기
이윤식 ()    정보 더보기
1957년 서울에서 태어나 건국대 법학학과와 한국외대 철학과 대학원(석사)을 졸업했다. 1999년 『문학사상』소설 부문 신인 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그는 『비행기로 민심을 격발하고 장래 국내에 대폭발을 일으키기 위함이라』(민미디어, 2003년), 『항공독립운동과 대한민국 공군의 아버지, 창석 최용덕의 생애와 사상』(공군본부, 2008년), 『히말라야의 별』(책과 상상, 2008년), 『대한민국 공군의 아버지, 조국의 별 최용덕』(비씨스쿨, 2009년), 『대한민국 공군 정훈 60년사』(공군본부, 2009년) , 『항공독립운동과 대한민국 공군 청군가, 신화의 시간』(비씨스쿨, 2012년), 『항공독립운동과 임도현 비행사』(한국학술정보(주), 2012년)를 발표했다. 번역서로 『습관을 알면 문화가 보인다』(청림출판, 1997년)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