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지/출판 > 서지/문헌/도서관
· ISBN : 978899716245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3-10-2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책과 사람, 삶을 만나는 작은도서관
‘작은도서관’은 ‘작은 도서관’이 아니다 :작은도서관 개념
‘도서관’에 문제를 제기하다 | 민간, 도서관을 고민하다 | 작은 도서관? 작은도서관!
작은도서관의 꿈 | 작은도서관과 마을 만들기 운동
작은도서관의 필요충분조건 :작은도서관 조직과 운영
인기 있기 없기 | 작은도서관의 특성 | 전문, 전담 인력 | 운영위원회
자료선정위원회 | 동아리(주민 커뮤니티) | 후원회 | 자원봉사조직
작은도서관은 책을 어떻게 고르는가 :작은도서관과 책
작은도서관의 장서계획 세우기 | 작은도서관의 특성에 맞는 도서자료의 이해
적합한 도서자료 선정을 위한 조직과 보조매체 | 도서관의 자료 선정과 관련한 주요 논쟁
도서자료의 추천과 활용 | 작은도서관 자료의 관리 |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책 고르기
작은도서관에서 놀자! :작은도서관 문화예술 활동 기획과 실제
도서관과 문화예술의 관계를 말하다 | 작은도서관에서 문화예술을 말하다
작은도서관에서 놀아볼까 | 문화예술을 기획하고 진행하고 평가하자
문화예술 활동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
작은도서관으로 살아남기 :작은도서관 재정
공립 작은도서관이라면 | 작은도서관의 진단 및 평가 | 작은도서관 지원의 효율성
작은도서관 평가, 그것 참 | 민간 작은도서관의 자생력 | 민간 작은도서관의 자생 방법
나눔과 협동을 허하라 :작은도서관과 네트워크
작은도서관을 조성하다 | 작은도서관 태생이 나눔인 것을 | 작은도서관 네트워크, 무엇을 하는가?
지역네트워크의 필요성 | 나눔으로 더욱 풍부해지는 네트워크
지역네트워크를 통해 작은도서관이 이루려고 하는 과제
저자소개
책속에서
첫째, 규모는 작을 수 있으나 생활공간과 더 가까이에 있는 ‘우리 동네 도서관’이다. 마을주민들이 책을 매개로 꿈꾸고, 관계하고, 공동체를 구성해나가는 마을공동체의 거점이다.
둘째, 시험공부하는 공간, 신분상승을 위한 공간으로 특정의 목적을 가진 대상이 모이는 곳이 아니라 노인, 어린이, 주부, 장애인 등도 쉽게 찾을 수 있는 문턱이 낮은 도서관이다.
셋째, ‘작게 낮게 느리게’를 말하는 대안교육의 실험장이며 문화를 누리고 창작하는 공간이다. 이곳은 독서진흥과 공동체성, 생태, 다양성 등을 학습하는 평생교육의 기능을 수행한다. 지역주민들은 단순히 교육대상자를 넘어 적극적인 교육의 주체가 된다. 엄마들은 품앗이로 육아와 교육을 이끌고, 어른들은 삶을 전수하는 또 하나의 책이 되어 ‘리빙 라이브러리’
를 이끈다.
넷째, 공동체를 이루는 만큼 그 안의 사람이 중요한 곳이다. 크고 작은 공동체 활동들을 통해 평범한 엄마가 선생님이 되고, 이웃들이 함께 문화기획자가 되어 마을의 책 축제를 완성해가는 등 사람 만들기의 전형을 확인하는 곳이다.
다섯째, 지역사회를 알고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하는 곳이다. 작은도서관에서의 역동성을 도서관 담 넘어 지역사회로 확대 재생산해내는 곳이다. - 작은도서관의 꿈 중에서
살아있는 변화무쌍한 유기체로서 지속 가능한 작은도서관이 되기 위해서는 도서관으로서의 기본 정체성을 세우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서관의 기본 기능과 목적에 충실하지 못하면 작은도서관은 특성과 기능이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북카페, 책 사랑방, 문화센터, 책정거장……. 작은도서관은 북
카페가 될 수 있고 사랑방, 문화센터, 책정거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공간이 모두 작은도서관이 될 수는 없다. - 작은도서관의 필요충분조건 중에서
작은도서관에서 벌어지는 문화예술 활동의 경우 처음에는 ‘전문가’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형태가 많았다 할지라도 시간이 지나 사람이 모이고 공동체가 형성되면 그 사람들이 문화예술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사람들이 된다는 것이다. 경기도 부천에 있는 작은도서관 ‘복사꽃필무렵’에서는 엄마들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책놀이 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단순 품앗이 활동이 아니라, 어린이책을 읽고 공부하는 독서동 ‘왕왕작작 놀이터’ 활동아리 회원들이 다양한 책놀이 활동을 창작하고 만들어서 아이들과 함께 나누는 과정을 갖고 있다. 이것이 바로 작은도서관에서 벌어지는 이용자가 기획하고 창작하고 진행하고 대상이 되기도 하는 활동 사례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겠다. - 작은도서관에서 놀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