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206513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7-02-24
책 소개
목차
저자의 글 4
추천의 글 8
프롤로그 14
1장. 학교협동조합에 주목하는 이유
교육 자치: 학교의 주인으로 거듭나기 / 25
학교, 소비와 생산을 바꾸다 / 28
삶에 기반한 생생한 경제 교육 / 35
마을과 학교가 만나다 / 40
제4차 산업혁명을 맞이한 미래세대를 위한 새로운 교육 / 45
2장. 학교협동조합이란?
공동의 필요를 추구한다 / 55
학교협동조합도 사업체다 / 61
규칙이 있는 모임으로서의 협동조합 / 67
3장. 학교협동조합의 운영원리
자발적이고 개방적인 조직 / 77
조합원들이 민주적으로 관리하는 조직 / 81
조합원이 경제적으로 참여하는 조직 / 86
자율성과 독립성을 가진 조직 / 91
교육, 훈련 및 정보를 제공하는 조직 / 97
협동조합 간 협동의 조직 / 100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조직 / 105
4장. 학교협동조합 국내 사례
학부모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마을 학교 / 113
중·고등학교 협동조합 방식의 매점 / 122
초등학생들의 조합원 활동 / 131
5장. 학교협동조합 외국 사례
학교협동조합 공화국, 말레이시아 / 147
협동조합 방식으로 학교를 설립한 영국 / 155
학생 자치 프로젝트로 민주 시민을 양성하는 프랑스 / 164
6장. 학교협동조합 설립 및 운영에 필요한 교육 설계
학교협동조합 교육의 시작점 / 177
학교협동조합과 친숙해지기 / 182
학교협동조합, 어떻게 조직할까? / 206
협동조합 체계 만들기 / 217
학교협동조합 프로젝트 과정 익히기 / 223
7장. 학교협동조합과 혁신교육의 아름다운 만남
시장과 정부의 실패를 넘어 / 237
공동체를 주목하다 / 242
삶의 양식으로서 민주주의 / 248
통합으로서 삶을 위해 / 251
에필로그 257
부록 262
참고문헌 276
책속에서
이처럼 학생들은 실제적인 문제상황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를 학교협동조합을 통해 배워 나간다. 또한 타인을 배려하는 방법, 참을성을 기르는 법,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협동 정신과 더불어 자립성까지 키워간다. 현재는 고등학교 사례뿐이지만, 초등학교, 중학교의 경우에도 상황과 역량에 맞춰 학교협동조합을 도입하면 비슷한 교육적 효
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렇게 학교는 다양한 지역 자원들이 결합될 수 있는 중요한 공간이다. 교육청과 지자체의 결합, 다양한 지역 시민단체, 경제활동 기구 등이 교육을 매개로 커다란 협력체를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학부모는 마을 주민이자 직업인인 만큼 각 분야의 다양한 전문적 기술과 지식, 경험도 학교라는 플랫폼을 통해 상호 공유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협력적 경험은 학교에서만이 아니라 마을, 직장 등 다양한 곳에서 연쇄작용을 일으키며 협력적 사회를 구축해나가는 밑바탕이 될 수 있다. 이 출발점을 만들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촉매제가 학교협동조합이며, 조합도 이 지역 자원의 결합 속에서 크게 성장할 수 있다.
말레이시아 사례를 통해 학생이 학교협동조합을 통해 적극적으로 다양한 사업에 참여하며 경제교육을 삶에서 습득할 수 있다는 점을 보았고, 영국 사례를 통해 학교의 운영원리가 바뀔 수 있다는 점을 보았다면, 프랑스의 경우는 학생과 교사의 협력적 관계 모색을 통한 삶의 방식 찾기를 보았다. 각 사례들은 우리나라에 각기 다른 시사점을 주며, 특히 앞으로의 학교협동조합을 둘러싼 교육부, 기재부, 협동조합연합회 등 다양한 조직들간의 관계 모색과 제도적 설계를 위한 아이디어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