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97255191
· 쪽수 : 479쪽
· 출판일 : 2011-11-05
책 소개
목차
저자서문
역자서문
서장 일본해란
일본해의 명칭/동서의 일본해/사방의 바다/코리아의 바다/일본해의 명명/일본해의 개방/보급되는 일본해/우리들의 바다/불쾌한 일본해/21세기의 바다/소멸의 일본해/푸른 바다/선린의 바다/새로운 바다
제1부 죽도와 독도
제1장 죽도의 발견
혼란의 죽도/세 개의 죽도/다쥬레도의 발견/아루고노토도의 발견/시볼트의 이해/리안쿠루암의 발견/프챠친의 항해/페리의 항해/영국해군의 조사/카쓰 카이슈우(勝海舟)의 이해/문명개화의 바다/랸코도의 등장
제2장 혼란의 송도와 죽도
요시다쇼우인(吉田松陰)의 의욕/유신기의 혼란/조선국교제시말탐서/죽도개척의 염원/송도개척의 염원/지적편찬의 시기/태정관 조사국의 견해/조일수호조규/군함 아마기의 조사/울릉도 도항금지령
제3장 독도의 등장
울릉도의 일본인 진출/독도의 발견/동해의 두 섬/소재불명의 두 섬/독도의 어원/대한제국칙령/석도의 해석/석도와 독도/울릉도관찰사의 보고/울릉도의 행정관
제4장 신 영토 ??「죽도」의 창출
일러의 세력 격돌/나카이 요우자부로우의 강치사냥/새로운 도명/랸코도의 군사적 입지/바다의 정보전/일본해 해전/전시하의 섬의 접수/일본령 편입의 고지/대륙진출 시기
제5장 독도의 주권 선언
미군의 접수/맥아더라인의 설정/미군령의 리안쿠루암/한국해역의 리안쿠루암/GHQ의 정책 전환/다레스의 등장/평화조약 초안/다레스의 조정/이승만의 해양주권 선언/평화조약의 기술/이승만의 사념/한일 견해의 상위/미군지배의 종료/한일의 분쟁/한일기본조약/한일어업협정/한일신어업협정/평화스런 극동내해
제2부 죽도와 의죽도
제1장 철포와 은
철포의 전래/철과 동과 은의 다이묘우(大名)/총과 경제/이와미은과 바다의 지식/산인만의 죽도
제2장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
해적 정지령/나고야성의 히데요시/오란카이의 위치/ 오란카이의 침입/바다의 병참선/타몬인 일기/의죽도의 명칭/일본도병풍/임진왜란 무렵/밀무역의 섬
제3장 전후의 평화교섭
전후의 쓰시마/새로운 시대/고심의 국서/기유약정의 무렵/권익확장의 노력/이소타케야자에몬/히데요시군의 전범/후금의 건국
제4장 토쿠가와 이에야스의 통상교역
이에야스의 대외정책/사할부제의 도입/동아의 통화질서/북과의 교류/북의 정보/사루후의 싸움/막번체제와 상업무역/명청교대기 무렵/새로운 도해교역로
제5장 토쿠가와 히데타다의 선린우호
죽도도해유래기/오오야케의 죽도도해/무라카와케의 막각알선/아베시로우고로우마사유키/죽도도해면허장/히데타다 측근들의 활동/도이 토시카쓰의 심려원모/톳토리한의 우유부단함/도항의 중계지 오키
제3부 죽도와 울릉도
제1장 죽도도해 사업
은주시청합기/죽도의 도항/도항의 모습/도내의 모습/항해의 기억/죽도의 지식/이소타케의 섬
제2장 죽도일건
겐로쿠5년의 사건/겐로쿠6년의 사건/쓰시마한의 교섭/인호의 파탄/안용복의 답변/쓰시마에서의 안용복/톳토리에서의 안용복/톳토리한의 이해/노중들의 대응/톳토리한의 답변/막각의 최종 판단/톳토리한의 방기/조선의 감찰제도
제3장 안용복사건
안용복의 재래항/안용복과 톳토리한/안용복의 출생/안용복의 시대/안용복의 관명사칭/양도의 감세장/안용복의 증언/톳토리의 대응/안용복의 모험/소장제출의 건/안용복의 귀국/쓰시마한의 전달/안용복의 공적/새로운 우산도/전해지는 두 섬
제4장 도해교역의 제한
울릉도 조사관/조사관들의 인식/가지도의 탐색/도해교역의 속행/송도와 죽도의 상위/아이즈야 하치에몬 사건/제니야 코베에의 항해/삼국통람도설/만국공법의 시대
제4부 우산도와 무릉도
제1장 고대의 바다 교류
무의 섬/우루의 섬/우루마의 섬/우사의 섬/오신과 토신/호공의 전설/우산국의 고기록
제2장 신라와 발해의 시대
발해의 입국/발해의 융성/바다의 상인의 활약/시장의 반란/상적과 토호/후삼국시대의 울릉도
제3장 고려시대
발해국의 멸망/도이의 침공/울릉도 이주정책/도적의 섬/왜구의 등장/몽고의 진출/극동의 교역로/모험상인의 항로/동아의 대혼란기/고려왕조의 붕괴
제4장 조선의 등장
조선왕조의 설립/관리무역의 개시/공도정책/산인지방의 일조교역/태종시대의 울릉도/우산무릉의 이도/박습의 보고/김인우의 보고/도민의 강제송환/허무한 공도정책/영주?·?세종의 즉위/세종시대의 울릉도/공도화의 되풀이/경차관의 파견/경차관의 보고/정비된 경제기구
제5장 성숙의 조선
세종실록 지리지/우산국의 이도/요도의 발견/세조시대의 울릉도/세조에서 성종으로/삼포왜관의 설치/삼봉도의 등장/삼봉도의 정체/연산군의 시대/삼포의 란
종장 시대의 황파를 넘어서
고대에서 중세로/중세에서 근세로/전문전승의 이도/우산무릉의 이도/
상호가 출입하는 섬/섬의 가치/ 무주지 선점론/바다의 가치
참고문헌 참고도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