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업공시 완전정복

기업공시 완전정복

(경영 전략과 투자의 향방이 한눈에 보이는)

김수헌 (지은이)
어바웃어북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4개 5,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000원 -10% 650원 11,050원 >

책 이미지

기업공시 완전정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업공시 완전정복 (경영 전략과 투자의 향방이 한눈에 보이는)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97382897
· 쪽수 : 494쪽
· 출판일 : 2015-08-31

책 소개

경영의 새로운 흐름과 기업 환경의 변화를 포착할 수 있는 최신 사례를 풍성하게 담아 알기 쉽게 해설한다. 또 감각적이고 위트 넘치는 인포그래픽은 자칫 어려운 주제라는 독자들의 편견을 날려버릴 만큼 내용 이해를 확실하게 돕는다.

목차

머리말 | ‘경영의 축소판’ 기업공시, 경영의 새로운 흐름을 기업공시로 포착한다!
추천사 | 공시에 담긴 정보의 무게와 파급력을 가장 정확하게 전달하는 책

Chapter 1. 경영권 분쟁, 인수·합병, 지배 구조 변화를 읽는 지분 변동
- 감쪽같았던 녹십자 군단의 기습, 어떻게 가능했을까?
- 지주회사 전환을 놓고 벌인 1라운드, 일동제약은 왜 쓴맛을 봤을까?
- SK그룹 최태원 회장에게 배우는 지분 변동 공시의 기본
- 신일산업 ‘슈퍼개미의 난’으로 본 5% 룰과 10% 룰의 존재 이유
- 동국제강 회장님의 주머니 사정을 투자자가 짐작하는 방법
- 회장 아들딸의 지분 공시에서 동부그룹 회사채 상환 가능성을 엿보다!
- 대주주 총지분율은 그대로인데 회사에는 ‘별일’이 있었다! _ 휘닉스홀딩스
- 세 개의 공시로 풀어본 녹십자 vs. 일동제약 경영권 분쟁기
- 샀다는 사람은 있는데 팔았다는 사람은 없는 유령 매각? _ 농우바이오

Chapter 2. 자금 조달 수단이자 매력적인 투자 상품, 주식연계채권
- 스타인웨이를 못 품은 삼익악기, 사모펀드에 대박을 안기다!
- CB와 BW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
- 사모펀드들의 수익 회수 과정을 공시에서 배우다
- IBK기업은행은 왜 2억 원을 받고 56억 원짜리 물건을 내줬을까?
- ‘고맙다! 자사주’, 교환사채 발행
- 피터 틸과 진대제가 손잡고 한미반도체에 손대다!
- 스카이레이크 사례로 살펴보는 PEF 운용 구조
- EB 투자와 구주 인수로 꿩 먹고 알 먹기
- 320억 원의 BW를 발행했는데, 회사로 들어온 돈은 160억 원뿐?
- 손해가 예정된 워런트 매입?
- 차입매수야 주식 맞교환이야?
- 젬백스는 어떻게 현금 한 푼 들이지 않고 삼성제약을 인수했을까?
- CB 발행으로 위장한 유상증자, LG이노텍의 절묘한 콜옵션

Chapter 3. 갈수록 화려해지는 자본 조달 기술, 증자
- 세 개의 SPC를 동원한 자금 조달, 시장을 깜짝 놀라게 하다!
- 두산그룹은 어떻게 자금 조달의 명수가 되었나?
- 돈만 받아도 좋은데 돈 되는 사업까지, 두산건설의 일타쌍피 증자
- 유상증자 신주 가격, 어떻게 결정되나?
- 휘닉스홀딩스의 자금 조달인가? YG엔터테인먼트의 인수·합병인가?
- 1주에 192억 원짜리 대한민국 주식을 아십니까?
- 기업의 자금줄이 된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해부한다!
- 600억 원 결손의 코오롱글로벌이 3300억 원이나 감자하는 까닭은?
- 상환전환우선주의 네 가지 얼굴
- 두산건설의 궁여지채(債)
- 한화 상환전환우선주가 코오롱보다 아홉 배나 비싼 까닭은?
- 회계상 이벤트인 무상증자에 왜 주가는 긍정적으로 반응할까?
- 중외제약, 무상증자의 외피를 쓴 배당
- 무상증자를 ‘미끼 상품’으로 유상증자에 나선 아이디스

Chapter 4. 품종 구별 잘해야 하는 감자
- 감자로 결손금을 털어내고 재무 구조 개선
- 대성엘텍 대주주는 왜 스스로 60억 원 감자를 선택했을까?
- 국제종합기계의 완전감자가 어떻게 회장님에게는 대여금 회수 기회가 됐을까?
- 완전감자했다가 세금 폭탄을 맞을 뻔한 코스모앤컴퍼니 오너 일가
- 이수건설, 90% 감자한다는데 왜 발행 주식 수에는 변화가 없을까?
- 대가를 지급하고 자본금을 줄이는 유상감자
- 논란을 빚은 효성가(家) 유상감자 사연
- 싱가포르투자청(GIC)의 유상감자를 통한 한국 부동산 대박 투자기

Chapter 5. 흩어져서 가치를 키우는 기업분할
- 네이버 역사에 남아있는 합병, 인수, 분할의 자취들
- 신설법인의 주식을 누가 갖느냐, 인적분할 vs. 물적분할
- 이준호는 어떻게 NHN엔터테인먼트의 지배력을 확장했을까?
- 기업분할로 구조조정의 진수를 보여준 한화그룹
- 한화그룹이 건자재 사업은 물적분할하고 의약품 사업은 인적분할한 까닭은?

Chapter 6. 3단 변신으로 완성하는 지주회사
- “회장님, 경영권이 불안하십니까?” 컨설팅 회사가 제안한 해결책
- 지주회사가 되기 위해 넘어야 할 커트라인 _ 코스맥스 지주회사 전환 과정
- 한국콜마는 왜 분할 계획을 수정할 수밖에 없었을까?
- 국민연금이 ‘박카스’의 지주회사 편입을 반대한 까닭은?
- 사업자회사 지분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동일고무벨트의 몸부림
- 골프존의 지주회사 전환에 왜 사모펀드가 걸림돌이 되었을까?

Chapter 7. 잘 뭉쳐 보세, 합병
- 삼성 vs. 엘리엇, 치열했던 53일간의 합병 전쟁
- 상장사냐 비상장사냐, ‘신분’에 따라 바뀌는 합병 비율 산정법
- 비상장사의 합병가치 평가에서 나타난 미래 가치의 마법
_ 다음커뮤니케이션과 카카오
- 삼성도 못 피해간 주주총회와 주식 매수 청구를 동국제강은 어떻게 면제받았을까?
- 분할과 합병의 절묘한 결합, 현대하이스코의 알짜 사업을 인수한 현대제철
- 한진해운가(家) 영욕의 스토리에서 배우는 기업 구조조정
- 보해양조, 100% 자회사를 합병하면서 왜 신주를 발행했을까?
- 사라질뻔한 ‘116억 원의 절세 효과’를 본 CJ E&M
- 효성도 모르게 진행된 삼양사의 효성 PET 인수
- 내 주식도 같은 조건에 처분해주시오! _ 드래그얼롱,
당신 주식도 같은 조건에 처분하겠소! _ 태그얼롱

Chapter 8. 선택과 집중의 사업 재편, 영업양수도와 자산양수도
- 닮은 듯 다른 영업양수도와 자산양수도
- 삼성 계열사들의 수천억 원, 수조 원짜리 사업 주고받기
- SKC와 미쓰이화학, 영업양도 현물 출자로 합작사 설립
- 꽃놀이패 잡은 포스코특수강 FI, 속타는 세아베스틸
- 파는 사람도 사는 사람도 웃는 언아웃 _ 세아베스틸의 포스코특수강 인수
- 사모펀드에 밀린 한라그룹의 한라비스테온공조 되찾기
- 삼성SDS가 상장하는데 왜 삼성전기 주주들이 뿔났을까?

Chapter 9. 완전 모자회사를 만드는 주식의 ‘포괄적’ 교환과 이전
- 주식의 포괄적 교환과 이전,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
- 자식 데리고 SK와 재혼한 하이닉스의 실리콘화일 제자리 찾아주기
- 하나금융그룹을 완성한 주식의 포괄적 교환과 이전
- 주식의 포괄적 교환과 이전으로 금융지주사 체제 완성 _ JB금융지주와 BS금융지주

Chapter 10. 경영권 분쟁의 해결사 또는 적대적 인수·합병의 도구, 공개매수
- 골칫덩어리 2대 주주를 공개매수로 콕! 찍어내기 _ 대구백화점
- 대주주의 경영권을 지키는데 왜 회삿돈을 쓸까?
- 불씨를 남긴 대구백화점의 찝찝한 공개매수 결과
- 샘표식품과 마르스의 ‘6년 전쟁’
- 적대적 인수·합병에 휘말린 에스디, 2차례 공개매수 공격에 손들다!
- 아세아텍의 공개매수, 경영권 안정용일까 주주 가치 제고용일까?
- 상장폐지를 향한 경남에너지의 집념
- KCW와 보쉬전장, 합작사를 설립하는데 왜 공개매수를 할까?

Chapter 11. 여덟 가지 이유로 사고팔고 소각하는 자기주식
- 기업이 자기주식을 사고팔면 재무 구조는 어떻게 변할까?
- 정부는 왜 자기주식 처분 규제를 풀었을까?
- 자사주 매입 약발, 삼성전자에는 먹히고 현대차에는 안 먹힌 까닭은?
- 7년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오던 HK저축은행은 왜 감자를 했을까?
- 자본금 감소 없는 자사주 소각 _ 인터파크, 대성산업가스
- 인수·합병과 전략적 제휴에도 사용되는 자사주 _ 티에스이, 다윈텍, 이스트소프트

Chapter 12. 소액주주 보호 장치인가 경영의 걸림돌인가, 주식 매수 청구권
- 주주총회도 통과한 삼성엔지니어링과 삼성중공업의 합병이 막판에 무산된 까닭은?
- 주식 매수 청구권은 언제 부여하나?
- 사장님의 주식 매입 카드로도 막을 수 없었던 주가 하락세
- 주식 매수 청구권을 행사하려면 덮어놓고 반대부터 해라!
- 2800억 원의 자사주 매입으로도 매수 청구 가격 아래에서 허우적대는 주가
- 주식 매수 청구액이 상한선을 넘었을 대 기업별 대처법
_ 현대하이스코, 하나금융지주

Chapter 13. 주가라는 성적표에 울고 웃는 증시 데뷔, 기업공개와 상장
- ‘일개’ 밥솥 회사가 터트린 상장 대박 _ 쿠쿠전자
- 기업은 왜 증시에 입성하려 하는가?
- 성공적인 상장을 위한 공모 가격 산정 방법
- 실전! 공모 가격 산정 ① _ PER을 사용한 쿠쿠전자
- 실전! 공모 가격 산정 ② _ PER과 EV/EBITDA 사용한 삼성SDS
- 공모 대박, 수요 예측 단계에서 알 수 있다!
- 상장과 경영권 승계라는 두 마리 토끼를 노린 쿠쿠전자
- 코스피 지수까지 떨어트리며 돌풍을 일으킨 삼성SDS의 위용
- 상승하는 주가의 발목을 잡는 오버행 제대로 이해하기

저자소개

김수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머니투데이방송(MTN)에서 기업경제 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MTN <경제야 놀자> 채널에서 ‘김수헌의 이슈 체크’ 코너로 매주 시청자와 만나고 있다. 종합지, 경제지, 국제금융시장 분석 전문지 등의 언론에서 사회 및 경제 분야 기자와 데스크를 거쳤다. 기업의 국내외 거래를 둘러싼 뒷거래를 추적하는 여러 건의 탐사보도 특종으로 기자협회 기자상을 수상했다.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채널에서 기업과 자본 시장 이슈를 해설해 왔다. 삼성전자 등 대기업과 증권사, 언론사,법원, 대학 MBA 과정 등 다양한 곳에서 강연을 하며 한국회계기준원 자문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0